•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s Living in Center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3초

Echinostoma aegyptica (Trematoda: Echinostomatidae) Infection in Five Riparian People in Savannakhet Province, Lao PDR

  • Chai, Jong-Yil;Jung, Bong-Kwang;Chang, Taehee;Shin, Hyejoo;Sohn, Woon-Mok;Eom, Keeseon S.;Yong, Tai-Soon;Min, Duk-Young;Phammasack, Bounlay;Insisiengmay, Bounnaloth;Rim, Han-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8권1호
    • /
    • pp.67-72
    • /
    • 2020
  • Human infection with Echinostoma aegyptica Khalil and Abaza, 1924 (Trematoda: Echinostomatidae) is extremely rare. In this study, we confirmed E. aegyptica infection in 5 riparian residents living along the Mekong River in Savannakhet Province, Lao PDR. The patients revealed eggs of Opisthorchis viverrini/minute intestinal flukes, echinostomes, and other parasites in fecal examinations using the Kato-Katz technique. Following treatment with praziquantel 30-40 mg/kg and pyrantel pamoate 10-15 mg/kg in a single dose and purging with magnesium salts, adult specimens of various helminth species were collected. Among the trematodes, echinostome flukes of 4.5-7.6 mm in length (n = 134; av. 22.3 specimens per case) were of taxonomic interest and subjected in this study. The flukes were morphologically characterized by having total 43-45 collar spines arranged in 2 alternating rows (corner spines usually 5 on each side) and compatible with previous descriptions of E. aegyptica. The patients were mixed-infected with other helminths, so specific clinical manifestations due to this echinostome fluke were difficult to determine. The present paper describes for the first time human E. aegyptica infections in Lao PDR. This is the second report of human infection (2nd-6th cases) with E. aegyptica in the world following the first one from China.

환경보건 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저소득 집단의 카드뮴 노출과 신장질환 영향 (Cadmium Exposure and Renal Damage in Individual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in Environmentally Vulnerable Areas)

  • 조용민;진호현;강지윤;김차훈;한다희;김수현;한서희;홍영습;김기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8-56
    • /
    • 2023
  • Background: Few studies have assessed exposure to chemicals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vulnerability with a focus on exposure among populations living in certain geographical areas.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admium exposure levels and kidney damage indices in environmentally and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populations, with further subgrouping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Methods: Four areas were selected to represent geographical vulnerability (two environmentally vulnerable populations and two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populations). Among them, population groups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SES) were separately classified. Urinary cadmium (UCd), beta2-microglobulin (β2-MG), and N-acetyl-β-D-glucosaminidase (NAG) levels were analyzed in samples from 245 residents of these four areas. Results: Geometric means of concentrations of UCd (0.97~2.02 ㎍/g creatinine) in all selected populations (N, 245; mean age, 67.8~70.9 years old) were higher than the national reference values (0.39 for adults and 0.78 ㎍/g creatinine for people in their 60s). Participants with a lower SES had higher UCd and NAG concentrations than did non-low SES participants. In the lower SES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UCd and NAG concentrations; however, there was no such correlation in the non-low SES group. Conclusions: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evaluating chemical exposure and associated health effects in specific popul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a low SES may be more vulnerable to exposure and related health effects.

가구형태와 사회적 관계의 객관적·주관적 측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household types and social relationships on depression :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 최유정;이명진;최샛별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51
    • /
    • 2016
  • Objectives: This research started with the attempt to comprehend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type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y linking single-person households to the emotional index "depression." Method: For this purpose, we first compare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socio-demographic variables, social relationships, the degree of depression between single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and to comprehend the relative influence that household types have on depression by taking other factors under consideration. Results: Then based on the results, we compare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egree of depression o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respectively. To summarize the results, first of all, residents in single-person households are somewhat older but show lower level of income, education, and health condition compared to peers inmulti-person households. They also had a consistently high level not only in the frequency of contact and emotional connection with families, relatives, and friends, but also in the degree of depression when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Secondly, for depression, considering the various factors targeting all the households, the following had a strong influence in the order of "health condition compared to peers," "emotional connection with family," "household types," "emotional connection with colleagues," "frequency of contact with neighbors," "gender," and "age."The degree of depression increases in the following conditions: if the health condition is worse, lower emotional connection with family, single-person household, lower emotional connection with colleagues, lower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neighbors, female, and older the age. Thirdly, comparing the factors that affect depression by dividi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health condition compared to peers" and "emotional connection with family" had the largest effect in common, respectively. In cases of living alone, regardless of other factors, the degree of depression increases with "health condition compared to peers" and "emotional connection with family." Conclusions: On the contrary, in multi-person households, "health condition compared to peers," "emotional connection with family," "emotional connection with colleagues," "income," and "gender" are important.

도시(都市) 저소득층주민(低所得層住民)의 의료이용실태(醫療利用實態) (A Study On Medical care Utilization of Low Income People in Designated Areas)

  • 김진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5권1호
    • /
    • pp.28-40
    • /
    • 1990
  • Rapid industrialization has induced the migration of rural people to urban areas. Such migration has created enlarged the existing low income group. Residents of low income area have increased health risk owing to their poor living environment, low income. overwork and inappropriate health care. The gener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group the pattern of medical care utilization of low income group.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to identify disease prevalence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of low income group. To mee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household interview method was applied. A total of 1845 households in 5 areas such as Bongchon 5th Dong, Bongchon 2nd Dong, Sanggae 5th Dong, Sanggae 4th Dong, and Shinrim 7th Dong were visited and interviewed by field team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 to May 3. 1989. The major findings obtain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ed were as follows : The Number of room per household used was one to two rooms. The employment state of the head of household disclosed that 88.6% had a job and the remaining 11.4% were unemployed. The average monthly income was 502,770won. however, 30% of the total income was less than 300,000 won in Bongchon 5th dong area. and 34.5% in Shinrim 7th Dong area. 41.3% of households had debts, which was consisted of household expense(33.4%), income formulation(22.7%) and medical care cost(15.9%) etc. Prevalence rate of diseases during the preceding 30days before the date of the household interview was 387.7 per 1000 persons. The prevalence rate of female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8.9% of the sick persons wasn't receiving any medical treatment, and the main reasons of which were lack of economic availability(43.3%) and feeling of non treatment needed(33.7%).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revalence rate of chroic diseases and the disabled in low income resident area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areas. Therefore, the health status of this group should be improved through PHC approaches.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diseases and promote the health of those people, the health center as well as health subcenter should be strengthened.

  • PDF

저소득층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형 연구에서 지역사회 주민 조직의 구성과 운영 (Operation of Community Resident Groups in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Low-income Older Adults)

  • Yoo, Seung-Hyun;Butler, James;Elias, Thistle I.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5-26
    • /
    • 2009
  • 목적: 지역사회 참여형 보건 연구에서 현장의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주요 보건문제를 파악하고 대응하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역사회 주민 조직의 구성과 운영상의 특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방법: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12개 저소득층 정부임대 아파트의 노인 입주자들을 대상으로 각 아파트마다 자발적인 주민조직을 구성하여 사회생태학 모형을 활용한 6단계 지역사회 역량강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주민조직의 과정과 성과를 기록한 200여건의 문건에 대해 질적 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2년간 주민조직 월례회의를 통하여 낙후된 아파트 건물상태, 신선한 식재료 마련, 주민 간 관계개선 등을 지역사회 건강증진의 우선순위로 선정하고, 자체적인 해결방안을 구상하여 추진하였다. 주민조직 내의 리더십, 주민조직에 꾸준히 참여하는 핵심 회원, 주민조직 회의 개최의 일관성이 주민들에 의한 자치적인 지역사회 건강증진 활동의 주요 특성으로 드러났다. 리더십이 형성되고 회원의 참여와 회의의 개최가 꾸준한 주민조직일수록 지역사회 건강증진 목표 및 관련활동이 집중적인 경향이 있었다. 결론: 리더십, 참여, 일관성 등은 참여적이고 자치적인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위한 역량요인이며, 이러한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하는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과 과정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키리바시 타라와의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 지원을 위한 해수플랜트 기술 활용 (Application of Seawater Plant Technology for supporting the Achievement of SDGs in Tarawa, Kiribati)

  • 최미연;지호;이호생;문덕수;김현주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6-143
    • /
    • 2021
  • 키리바시를 포함한 태평양 도서국가들은 기후 변화, 지하수 오염 및 식생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및 해안 침식으로 인해 생활 공간의 감소 뿐만 아니라 필수 자원 부족으로 고통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글로벌 활동은 SDGs 이행을 위한 UN의 노력으로 진행되고 있다. 태평양 도서 국가들이 풍부한 해양 자원을 이용하여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모색해 왔다. 즉, 해수 플랜트는 이러한 태평양 도서 국가에서 SDG # 14를 기반으로 SDG #2, #6 및 #7을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는 2016년에 설립한 지속가능 해수이용 아카데미(SSUA)를 통해 키리바시 SSUA협회를 결성하고, 해양수산부(MOF)의 해양수산 ODA사업으로 키리바시에 해수플랜트를 지원하였다. 키리바시 SSUA협회는 해수 및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해수플랜트를 이용하여,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지역 사회에 식수와 채소를 공급하는 공익사업을 하고 있다. 역량강화 과정을 통해 키리바시 SSUA협회는 기술 이전을 받았고, 지역사회에 수경재배 시스템의 설치, 모종과 비료 보급, 재배관리 기술지도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협회는 3년 동안 140여 가구에 수경재배 시스템(일부는 태양광발전 패널 제공)을 보급하고, 다양한 채소를 재배하여 자가 소비 또는 판매하게 하였다. 또한, 태양광발전 연계 해수담수화 시스템을 설치하여 식수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만족도 조사를 통해 대부분의 수혜 가구가 만족하였고, 주변 지역 및 도서로 보급확산을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키리바시 SSUA협회는 공동체 이용 및 관리 체계화를 지원하는 자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이러한 활동은 태평양 도서국가들의 SDGs 달성을 지원하기 위한 ODA 프로그램으로 확산될 수 있을 것이다.

일개 보건소 대사증후군 관리프로그램의 효과분석 (The Effect of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in a Public Health Center)

  • 서재룡;배상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4호
    • /
    • pp.264-279
    • /
    • 2011
  • 이 연구는 서울시 1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관리프로그램 등록자의 등록 당시와 6개월 후의 생활습관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대사증후군 관리사업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자는 처음 사업을 시작한 2009년 6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서울시 1개 보건소에 등록하고, 6개월 후 재방문하여 설문과 재검사를 마친 430명 중 자료에 결측치가 없는 381명이었다. 연구 자료는 이들이 보건소에서 등록 관리 받으면서 작성한 설문지와 검사기록을 통해 수집되었다. 최종 분석대상자를 관리유형에 따라 분류하면 적극적 상담군이 110명(28.9%), 동기부여 상담군 A가 133명(35.0%), 동기부여 상담군 B가 138명(36.2%) 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록자의 생활습관의 변화는 적극적 상담군에서 신체활동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식습관은 0.7점 증가하였으며, 음주, 흡연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동기부여 상담군 A에서는 중등도 신체활동과 흡연, 음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나 식습관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동기부여 상담군 B에서는 신체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식습관은 변화가 없었고, 음주, 흡연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변화는 적극적 상담군에서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TG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P<0.01), (P<0.01), HDL-C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허리둘레, 식전혈당은 오히려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동기부여 상담군 A는 허리둘레,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중성지방은 감소하였고, HDL-C 또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지 않았으며, 식전혈당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동기부여 상담군 B는 TG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HDL-C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은 낮아졌으나 식전혈당, 허리 둘레는 오히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주관적 건강상태는 관리군(적극적 상담군, 동기부여 상담군 A, 동기부여 상담군 B)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넷째, 대사증후군 등록자의 6개월 후 재검율은 전체 19.0%이며, 적극적 상담군 29.4%, 동기부여 상담군 A는 19.0%, 동기부여 상담군 B는 14.5%로 나타났다. 등록경로별로 보면 직접 방문하여 대사증후군 관리사업에 등록된 경우가 이동검진이나 건강검진을 통해 등록한 경우보다 높았다. 등록 관리 6개월간 월1회 방문하게 하여 적극적으로 관리서비스를 제공한 적극적 상담군에서 생활습관 및 위험인자들의 변화가 있었으며, 동기부여 상담군에서는 변화가 미미하였다. 즉 제공된 관리서비스의 양과 질에 따라 생활습관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변화에는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보건소 대사증후군 관리 사업은 사업목표 달성을 위해 보다 더 효과적인 사업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하겠다.

경인아라뱃길이 지역 부동산 가격에 미친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GyeongIn Ara Waterway on the Regional Property Value)

  • 이희찬;차주영;박두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3호
    • /
    • pp.277-285
    • /
    • 2013
  • 경인아라뱃길의 경관기능은 조망대상으로써 인근 아파트주민에게는 외부경제효과를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가격에 내재된 아라뱃길 조망권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적용된 방법은 헤도닉가격모형(HPM)이다. 조망 수혜지역 내에 있는 아파트들 중 2011년 기간에 실제 거래가 이루어진 총 4,207세대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아파트매매가격, 단지특성, 입지특성, 시점특성 등과 관련된 변수들을 도출하였다. 투입 속성으로서 조망권변수는 수치지형도와 Google Mapview의 결합에 의해 고안된 조망권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되었다. 기존에 수행된 주택가격결정모형의 추정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본 모형의 추정결과는 계수의 크기에 있어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방향성에 있어서는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주거공간으로부터 아라뱃길까지의 거리와 아라뱃길의 조망권이 주택가격 형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혔다. HPM에 의해 추정된 조망권의 가치는 평당 16.5만원으로 나타났다. 역내 모집단 아파트로 확장된 아라뱃길 조망권에 의한 지역자산 고도화 효과는 총 891억원으로 추정되었다.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모델 연구 (The Politics and Governance of 'Maeul' Community Archives in South Korea)

  • 이경래
    • 기록학연구
    • /
    • 제45호
    • /
    • pp.51-82
    • /
    • 2015
  • 이 논문은 국내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 주민 주도형 마을아카이브 거버넌스 구축과 이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록학적 방안을 구체화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먼저 역사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마을과 마을공동체의 역사적 형성과 쇠락의 과정 속에서 자생적으로 출현했던 성미산과 풀무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출현을 살핀다. 본 연구는 풀뿌리 운동의 일환으로 구축된 이들 '독립' 공동체 아카이브를 마을 공동체의 내적 동인에 의해 추동된 자율적 자생적 산물로 바라본다. 반면 2000년대 접어들면서 이러한 독립 마을 공동체아카이브가 민 관 협업에 의해 새로운 공동체아카이브의 발전 국면에 돌입했다고 본다. 이 글은 서울시가 마을아카이브 시범사업을 통해서 과거 중앙정부 주도의 전시행정적 컬렉션 구축을 넘어서서 마을주민 스스로 아카이브를 구축할 수 있는 역량 강화에 일부 성공했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서울시의 거버넌스 모델은 궁극적으로 정책 사업화하면서 오히려 마을아카이브가 지니는 풀뿌리적 성격과 아카이브의 지속적 발전 개념을 확보하기에 여전히 한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이 글은 실제 서울시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시범사업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명암을 살펴보고,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발전적 대안을 마련한다.

방재안전 자연광 LED 조명을 이용한 생활안전 개선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the Life-safety Implementation using the Natural Light LED Lamp in the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 이태식;석금철;소유섭;최병식;김재권;조원철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53-62
    • /
    • 2016
  • 본 연구는 방재안전 자연광 LED 조명을 이용하여 환경을 개선하여, 생활안전 분야에서 자살, 감염병, 안전사고, 교통사고, 범죄, 화재, 자연재해 등에서 발생하는 사망자를 줄이고, 칼라조명의 유연성을 활용하여, 건강과 환경과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LED 조명사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조사된 내용으로는, 2016년 11월 3주간, 서울 북부지역에 거주하는 우울증 증세의 주민 10명(평균 거주기간 28.7년, 연령 67.5세)을 대상으로, 본인의 요청에 의하여 가정침실 혹은 거실에 방재안전 자연광 LED 조명을 설치하여 사용 후 조사한 바, 신체적, 정신적 안정감을 회복하는 기능에 대한 기대감은 88%로 높게 나타났고, 이와 동일하게 1주와 3주 후의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대한 비교조사를 하여 본 결과, 1주차에는 84%에서 3주차 이후에는 90%로 우울증 해소효과가 높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울증 환자의견을 종합하면, 잠도 잘자고 불안한 마음이 없어졌고, 안정감이 생기고, 숙면을 취할 때가 많아 졌으며, 너무 좋다 등의 효과를 보였다고 하였다. 방재안전 환경조명은, 자살자를 감소시키고, 감염병으로부터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며, 부주의로 인한 추락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주며, 교통사고 발생빈도가 높은 지점에 설치하여 대형차량의 안전운전을 향상시키고,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한 안전귀가길의 안전기능을 향상시키고, 화재로 인한 소방관의 정신적 불안 증세를 완화시켜 주며, 자연재해로 인한 장기간 상황실 근무시 의사결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환경조성 등에 크게 개선하여, 시민을 덜 죽고, 덜 다치고, 안전한 지역사회 건설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