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sidents' perceptions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3초

지역 생태자산의 훼손 취약성에 대한 거주민의 인식 차이 - 경기도 파주지역을 대상으로 -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in Residents' Perception of the Vulnerability of Local Ecological Assets - Focused on Paju, Gyeonggi-do -)

  • 손용훈;이주경;김도은;권혁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1-41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개발압력이 증가하여 생태자산 관리에 대한 많은 과제가 있는 경기도 파주시를 대상으로, 국립생태원에서 실시한 지역 주민 인식평가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 생태자산에 대한 거주민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에서는 가치관의 차이를 밝히는데 유용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생태자산에 대한 주민들의 평가 성향을 구분하였으며, 성향에 따른 그룹별로 생태자산 훼손 취약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파주시 주민 중에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는 습지나 기수역, 산림 등 자연자산을 우선 보전하고자 하는 '자연보전 그룹'과 왕릉 및 묘역 등 문화유산과 연계된 생태자산을 우선 보전하고자 하는 '유산보전 그룹' 등 크게 두 성향이 구분되었다. 두 설명그룹은 각 생태자산의 보전 인식, 활용 인식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었지만, 훼손도 평가에서는 비슷한 성향으로 답했으며, 특히 25개의 생태자산 중 2개 자산을 제외하고 모두 개발압력을 받고 있다고 인식했다. 또한, 전반적으로 '자연보전 그룹'이 '유산보전 그룹'보다 생태자산의 훼손에 대해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생태자산 중에서는 산남습지, 특히 공릉천, 공릉천 기수지역, 심학산의 관리에 대해서 '자연보전 그룹'이 훼손 가능성에 대해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각 생태자산에 대한 거주민들의 가치관의 차이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했으며, 연구의 결과는 파주시 생태자산 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인천광역시 동구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인식조사 연구 (Study on Perceptions for Establishing Mid-to Long Term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Libraries in Dong-gu, Incheon)

  • 노영희;장인호;강지혜;김동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4
    • /
    • 2021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동구 도서관의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도서관 관계자 및 전문가, 지역주민의 의견 및 요구를 분석하여 비전 및 운영전략, 서비스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제시하는 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광역시 동구 작은도서관의 운영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도서관 시설 개선 및 새로운 도서관 건립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연령대의 이용자 계층을 위한 도서관 자료의 양적·질적 향상이 필요하다. 넷째, 다양한 연령층의 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독서·문화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도서관 대외협력에 대한 역할수행이 필요하다. 여섯째, 도서관 시설 개선을 통해 복합문화공간 조성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일곱째, 도서관 내부 운영과 외부 연계사업을 고르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사서 인력을 충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자료의 수집 및 보관을 위한 공간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아홉째,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주민의 부정적 관광개발 영향 지각이 지역만족과 개발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Residents' Negative Tourism Development Impact Perceptions on Their Local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정성문;강신겸
    • 지역과문화
    • /
    • 제7권1호
    • /
    • pp.127-152
    • /
    • 2020
  •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개발을 위한 관리의 수단으로 사회적 자본의 역할에 주목 하였다. 관광개발이 관광목적지에서 사는 주민들의 지역만족과 관광개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견인하는 중요한 장치라는 점을 규명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잉관광 현상이 나타나는 전라남도 여수시를 원도심과 비원도심으로 구분하여 관광개발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지각이 주민 지역만족과 관광개발 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 결과 관광개발이 집중된 원도심이 상대적으로 개발에서 벗어난 비원도심보다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사회적 자본이 관광개발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거나 또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성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의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민관협치 활성화 기본조례. 지역사회 동호회, 마을 총회 등과 같은 사회적 자본의 특성들이 반영된 다양한 정책들을 마련하여 활성화 시켜야 함을 제안하였다.

농촌 재생을 위한 농업유산 지정 효과 측정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Designation of Agricultural Heritage for Rural Regeneration)

  • 도지윤;정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4호
    • /
    • pp.214-229
    • /
    • 2023
  • 본 연구는 농업·농촌유산을 활용한 농촌 재생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농업유산과 관련 제도를 통해 발생하는 지역사회 효과 검토와 해외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지역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농업유산 지정을 통해 유산의 가치 및 보전에 관한 인식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추후 발생할 인구 고령화 등 사회문제에 대비할 수 있는 지역의 보전·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민 인식은 농업유산 지정에 대하여 대부분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나, 경제적인 부분에서는 인식이 다소 떨어지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재생 방안이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효과측정 모델을 적용한 결과 제도의 목적에 부합하는 보전·관리 효과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지자체와 주민협의체 등의 사업에 따라 효과에 차이가 있으므로 재생 방안 마련 시 목표 지향적인 대안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해외 사례를 통한 농촌 재생 방안을 살펴본 결과 대규모의 개발보다는 다양한 문화·자연 자원과 주변 지역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농업유산 지역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현재 흐름에 걸맞은 다양한 관점으로 농업·농촌유산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역주민 인식뿐만 아니라 전문가 설문 등 지역의 지정 효과와 활성화 방안을 함께 고찰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도시, 농촌, 재미 이민사회에 거주하는 한국노인의 노화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the Aging Experience among Korean Older Adults Residing in Urban, Rural, and the US Immigrant Context)

  • 이준우;;이현아
    • 한국노년학
    • /
    • 제39권3호
    • /
    • pp.589-612
    • /
    • 2019
  • 본 연구는 급속한 근대화와 세계화 과정을 거치면서 한국의 전통적인 가치관의 변화가 한국노인들의 노화경험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회적, 문화적인 변화가 한국노인의 노화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위해 한국의 도시, 농촌, 그리고 미국이라는 세 가지 지리적 위치에 거주하는 한국노인들의 노화 경험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다차원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한국노인 30명을 대상으로 생애인터뷰를 하였으며, 신체적 쇠퇴에도 불구하고 노년기에 의미 있고 탄력 있는 삶을 사는 심리적, 사회적, 정서적, 영적 경험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첫째, 내러티브 분석을 토대로 노화 경험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영역으로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가족관계, 일, 여가/사회적 활동, 영성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주제분석을 토대로 공통적으로 도출된 노화의 요인은 '자식들에게 빚지지 않는 삶', '신체적, 정신적 건강', '잘 죽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앙은 노년기 삶에 대한 관점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특정한 종교적 신념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셋째, 한국노인과 재미 한인노인 간에 '일이 갖는 의미'와 '여가선호 방식'에 차이가 드러났다. 넷째,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한국노인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을 받지 못한 수치심과 관련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노인의 성인식 및 성교육 수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xual Perception and Sexual-Education Demands of the Elderly According to Gender)

  • 임경민;김혜숙;송수경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1-219
    • /
    • 2015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sexual education suitable for the aged by analyzing senior citizens' perception level and analyzing the demand for sexual education among the elderly, such as their feelings on the necessity of sexual education and the patterns of sex education. Methods : The population of this survey targeted elderly residents aged over 60 who are taking lectures at 4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s that are located in Busan.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May 10, 2013 to May 30, 2013. The methods of analyzing data were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urvey were that it included 60 men (41.1%) and 86 women(58.9%).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sexual perceptions and sexual-education demand according to gender, it was found that men had greater sexual perception and greater need for sexual education than did women. A correlation according to sexual-life perception and sexual-education demand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Conclusions : This study will form a basis for formation of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sexual education programs.

고령친화 홈네트워크 서비스개발을 위한 중장년층 소비자 선호에 관한 연구 (Preference of Consumers After Late 40's for Developing Future Home Network Services)

  • 김민수;이연숙
    • KIEAE Journal
    • /
    • 제7권2호
    • /
    • pp.47-55
    • /
    • 2007
  •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become closely connected with housing environment. Especially for the matured population, it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y need substantial support in their daily liv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needs of digital network services for future housing development. Previous researches were limited to digital technology of network systems and its usage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focuses on not only the technology but services. This study consists of literatures review and empirical survey. The subjects were the mid-age and pre-elderly between 45 to 65. The analysis of this study results outlined as follows: First, the pre-elderly appeared to have, in general, positive perceptions about digital services of the hous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needs for each space's, showed strongly in basic safety and aiding system for memories.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needs according to respondent's characteristics such as sex, income, job, house type, experience in digital system. Thir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what they think and what they really responded in both spaces and services. It menas that present planning elements may not attractive and suitable to res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esign the services. In the futur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making comfortable space not convenient space. That is, excluding unnecessary elements and pick up the right ones for resident's real demands.

아파트 거실 바닥재에 대한 선호와 만족도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n Flooring Materials of Livingroom in Apartment)

  • 권오정;전계원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23-23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residential flooring planning by identifying differences in preference for flooring materials of livingroom by characteristics of housewives living in apartment housing and by describing their perception of residential flooring materials and by analyzing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flooring materials of livingroom.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by 281 housewives who lives in apartment,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factor analysis, χ² tes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most preferred flooring materials was wood in the livingroom. Also, most of the reasons for preferred this flooring materials were good for health and good texture. 2) As a result of typifying housewives' perceptions of residential flooring materials, it was classified into fashoin-pursuit type, personality-expression type, beauty-pursuit type, health-pursuit type and practicality-pursuit type. 3)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flooring materials of livingroom, wood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4)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flooring materials of livingroom b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were analyzed.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ho were later stage of family life cycle and experienced in replacing the flooring materials showe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flooring materials of livingroom.

  • PDF

스포츠 이벤트 개최로 인한 사회문화적 영향분석 - 2005 제천 산악마라톤대회를 중심으로 - (Residents' Perceptions of Social and Cultural Impacts of the Sport Event - Focus on the Kumsu Mountains Marathon Race 2005 in Jecheon -)

  • 최상수;이관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161-169
    • /
    • 2006
  • 본 논문은 스포츠 이벤트(2005 제천 산악마라톤 대회) 개최로 인한 사회문화적 영향요인분석을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인분석결과 긍정적 영향에 대한 19개의 질문 항목이 5개의 요인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영향에 대한 9개의 질문 항목이 2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sim30$대의 젊은 연령층과 서비스산업종사자들은 긍정적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포츠 이벤트의 긍정적 영향 요인이 나이와 직업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사회 문화적 특징은 지역사회 구성원에게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DF

한국 아파트의 "획일화" 비판에 관한 재고찰 (Re-examination of Criticism on the "Uniformity" of Korean Apartments)

  • 변나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61-69
    • /
    • 2015
  • Current criticism regarding the "uniformity" of Korean apartments has shown not only tendencies of emotional and unscholarly criticism, but also lack of academic discourse. They tend to stay at the common-sense level and be quite subjective without supporting facts. This research began with questioning the phenomenon of seeing Korean apartments as an object of negative criticism.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1. Of the living space of so-called apartment houses, what elements should be called uniform?; 2. How should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be interpret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criticisms on the uniformity of apartments from a new point of view. First, literature review is done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Korean apartments in the social-cultural, economic, and physical contexts. Next, existing non-academic, abstract criticisms are classified into three trends, to show that the way of understanding architectural spaces by those criticisms are limited and weighted towards visual perceptions focused only on the shape of architectural structures. Finally, it is argued that the viewpoints of space and residents' experience should be treated as important for the reinterpretation of criticisms on the uniformity. This is validated through presenting relevant cases such as changes of space uses, diversified lifestyles being accepted, and the expansion of living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