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ial migran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이주노동자의 의료정보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Level of Health Literacy of Migrant Workers in Korea)

  • 이정미;이은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9-277
    • /
    • 2013
  • Purpose: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of migrant work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cross sectional correlational design. Participants were 128 migrant worker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health literacy level of migrant worker was low and they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patient education materials and medical forms.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were residential areas (city or rural), education level, length of stay in Korea, and ability to understand spoken Korean. Regression model accounted for 14.2% of the variance in health literacy. Conclusion: Lower levels of health literacy make it difficult for migrant works to visit medical facilities and perform health behaviors appropriately. Therefore, diverse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by nurses to enhance the health literacy level of migrant workers.

결혼이주여성의 거주 분포와 민족적 배경에 관한 소고 : 베트남.필리핀을 중심으로 (The Study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Ethnic Background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 류주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85
    • /
    • 2012
  • 결혼이주자는 외국인 근로자나 유학생보다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그 영향은 결혼이주자들의 자녀로 인해 계속 증가하게 될 것이므로 중요한 지역연구 대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결혼이주자들의 차별적인 거주지 형성을 가져오는 근본적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외국인 근로자나 유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주거지 선택과정이 외생적 비자발적으로 이루어졌을지라도 점차 이주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생적 자발적으로 거주지 선택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반면에, 결혼이주자들의 주거지 분리과정은 자발적인 선택이 거의 어려운 상황에서 이주할 뿐만 아니라 이주 후에도 주거지 변동 혹은 선택이 자유롭지 못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결혼이주자들의 차별적 주거지 분리패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지역사회가 선택한 결혼이주자들의 민족적 배경과 관련지어 설명하고자 한다. 국적별 결혼 이주자의 주거지 분포 경향과 분리정도를 고찰한 후 베트남계와 필리핀계 결혼이주여성의 분포패턴을 중심으로 그 민족적 배경과 집중 분포지역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간호 대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 (Knowledge about Multicultural and Attitude toward Migrant Wives by Nursing Students)

  • 최성남;정은영;공정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1권1호
    • /
    • pp.27-40
    • /
    • 2016
  • 본 연구는 미래 결혼이민 여성의 간호를 담당할 간호 대학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결혼이민 여성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들의 태도를 확인하고,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병원에 임상실습을 한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라남도, 경기도,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간호 대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지식은 13점 만점에 8.10점(${\pm}2.01$)으로 이를 100점으로 환산하면 62.4점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는 전체 문항 평균이 5점 만점에 2.45점(${\pm}0.46$)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별로 편견이 가장 낮았으며, 관심도, 신뢰도, 영향력, 배타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에 대한 지식은 연령이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으며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는 연령, 거주 지역, 해외여행 경험 유무와 해외 체류경험 정도가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다.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는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별로 신뢰성, 관심도, 수용, 영향력은 정적 상관관계, 배타감은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간호 대학생의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국어 능력을 함양하고 지속적으로 다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안을 제언함으로써 실질적이며 효과적인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만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연구대상 및 지역을 확대한 반복 연구 진행을 제언한다.

부산시 거주공간분화의 시대사적 함의 (Historical Implications of Residential Segregation in Busan, Korea)

  • 배미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77-494
    • /
    • 2007
  • 본 논문은 부산시를 대상으로 1900년대 초(구한말)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거주지역의 불평등한 현상을 거주분화의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공간적으로 분석한다. 부산은 1900년대 초 조선 전통사회의 성격을 이어받아 신분사회의 계층질서에 의한 거주선택의 제한으로 불평등한 거주공간이 형성되었다. 이후 일제에 의한 신시가지의 형성으로 기존의 한국인 거주지와 분리되는 현상을 경험하였으며 일본인과 한국인, 그리고 중국인 거주지역으로 구분되는 민족별 분화 현상도 나타났다.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 급속하게 인구가 증가함으로써 새로운 빈민거주지역이 등장하였고 이는 이후에 전개될 거주지 분화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빈민지역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1960년대부터 실시한 정책이주는 제도상의 결점으로 인하여 큰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1990년 이후 주민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주택선택에 영향을 주어 주택계층에 의한 거주지역분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중간주택계층보다는 상 하위 주택계층이 거주공간의 불평등한 분포에 큰 영향을 주었다. 맥락적이고 시계열적인 접근방법을 시도하여 거주공간의 사회공간적 불평등에 관한 인과성을 파악하려고 시도한 본 연구는 미래에 전개될 거주공간패턴을 예측하고 다른 도시들의 거주공간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서울 近郊 傳統 農村의 變化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rural villiage in the Seoul Metropolitan suburbs)

  • 정부매;최기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0-359
    • /
    • 1994
  • This study intend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rural society by tracing the changing social and economic processes of traditional clan villiage (Yeolmi-ri, Silchon-myeon, Kwangju-gun, Kyunggi-province) in the suburbs of Seoul Metropolitan Area. Rural society has experienced serious change of the social structure by the ever expanding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since 1960's. The suburbs of Seoul Metropolitan Area is the representative case area of such transformation. This study analyzed various chracteristics of population structure of a villiage, the processes of residential movement and the occupational shift of each household of the villiage in terms of household's life-history collected by interviewing with each household. And the whole households of a villiage is divided by two groups of the native clan group and the non-dan in-migrant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is villiage is located within a lineal distance of 40km and a time distance of about 30 to 40 minutes, adjoined dy the Joongbu(중부) national highway, the Kyungchoong (경충) industrial road, the local road between Yangpyuna(양평) and Gonjiam(곤지암) and having a advantageous iocational linkage to Seoul capital city. 2) It is a typical traditional dan villiae constituted of dan family Gu(구) one of whose ancestors had appointed to the prime minister of Chosun Dynasty, and until 1979, 56 out of 60 families of the villiage households were clan families. 3) Since 1979, as the villiage invaded by the out-movement of the small scale manufacturing industries from Seoul capital city, labours moved in this vallige from outside and increased villiage size up to 203 households in 1993, consequently the constitutional proportion between the native clan group and the non-clan in-migrant group was reversed up to 28% vs 72% deepening the sociological heterogeneity. 4) Because of the small scale of industries in this villiage and the vicinity with the city of Seoul, the population turnover of this villiage is very high. The turnover frequency is firstly high within same administrative district of gun(군) level and secondly high between this villiage and the city of Seoul. Thus short-distance movement is identified. 5)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dential movement and the occupational shift. The most numbers of non-farm native group have the experiences of migration while the members of native farming group don't shift both the job and the place of residence. The inmigrant group had several migration experiences but few occupational shifts. Thus occupatioanl shift is high for the native group while residential shift is high for the in-migrant group. It is concluded that the change proceeded in Metropolitan suburbs was not directed to form the traditional rural village as 'gesund Gebiet' with respect to the ballance among the economic, cultural and environmental adequency.

  • PDF

교외 지역 아시아인의 거주지 분리에 관한 연구 -뉴욕 웨체스터 사례- (Changing Residential Segregation of Asians in Westchester, New York)

  • 백영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74-791
    • /
    • 2016
  • 최근 아시아인 인구의 교외화 연구에 따르면 이들의 취락 패턴은 과거 이민자들의 격리 과정과는 다른 궤도를 따르며, 또한 소수민족 집단이 집중되는 주거 입지도 상이하여 교외 지역에서 복잡한 민족 모자이크가 재현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뉴욕 시 외곽에 위치한 웨체스터 카운티의 아시아인 소수민족의 거주지 패턴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의 주요 아시아인 민족인 인도인, 중국인, 필리핀인, 일본인, 한국인 등 5개 주요 집단의 거주지 패턴을 2000년과 2010년 센서스 인구 자료에 기초한 지도화와 병행하여 격리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 지역 아시아인 민족 집단의 거주지 분리 현상은 분산된 집중화로 특징을 지울 수 있었다. 또한 각 민족 집단의 인구가 집중하는 근린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 PDF

외국인 밀집지역에서의 문화적 성향과 건조환경에 관한 연구 : 대림2동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tendency and Built Environment of Foreigner Cluster: for Daelim 2dong Chinatown)

  • 박찬영;최준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37-145
    • /
    • 2020
  • 본 연구는 중국의 문화 성향이 국내 중국인 집단거주지역에서 물리적 건조환경의 변화에 대한 영향과 두 요소간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국가의 문화를 정량적으로 정의하고 비교할 수 있는 호프스테드의 cultural dimension 이론을 활용하여 중국의 문화 성향을 조사하고, 선행연구를 통한 선정한 환경평가요소를 기준으로 대상지를 실증조사하고 문화 성향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인의 집단주의적이고 불확실성회피하는 성향이 대림2동의 중국인 집단거주지역의 건조 환경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주민 공동체의 문화 성향이 집단거주지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차이나타운을 포함한 다양한 이주민 공동체마다 적합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거주지역 이동이 의료이용량과 의료접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dential Migration on the Utilization and Accessibility of Medical Care)

  • 이우리;최용석;이경민;김리현;유기봉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5-139
    • /
    • 2021
  • Background: In Korea, the health gap widens due to the number of medical resources and access to medical services between metropolitan and ru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residential migration on medical utilization and accessibility. Methods: This study extracted 528,516 claimed case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Cohort Sample Database from 2006 to 2015.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the magnitude of the region, the metropolitan and the rural. The inversed probability weights were calculated for each group. And coefficients of the two-part model were estimated by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Results: Those who moved region from metropolitan to rural tend to increase the length of stay and inpatients with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ACSC) disease. Contrariwise, those who moved areas from rural to metropolitan tend to decrease the total medical cost, the adjusted patient days, the number of outpatients and the number of outpatients and inpatients with ACSC disease.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between the residents who continued to reside in the region and the migra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dical accessibility, quality of primary care, and unmet medical n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