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rvoir Flood Routing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3초

Muskingum 하도추적방법의 수문학적 재해석: 선형저수지모형과 선형하천모형의 선형결합 (Hydrologic Re-Analysis of Muskingum Channel Routing Method: A Linear Combination of Linear Reservoir and Linear Channel Models)

  • 유철상;김하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2호
    • /
    • pp.1051-106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Muskingum 하도추적모형을 수문학적으로 재해석하여 지체효과만을 고려하는 선형하천모형과 저류효과만을 고려하는 선형저수지모형의 선형결합으로 나타내었다. 유도된 모형은 일종의 순간단위도의 형태가 되며, 그 매개 변수는 Muskingum 모형의 매개변수와 동일하다. 즉, 추적시간간격 ${\Delta}t$ 또는지체시간 $T_c$ 후에 최초의 유출이 발생하게 되고, 총 유입량 중 x 만큼은 선형하천모형에 의해 저류효과 없이 빠져나가고 나머지(1-x) 만큼은 선형저수지모형에 의해 저류상수 $K_c$로 대변되는 저류효과를 나타내며 빠져나가는 형태이다. Muskingum 하도추적 모형과 그에 대응하는 순간단위도를 가상하도에 적용해 본 결과, 두 모형이 근본적으로 하도추적결과가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청댐 방류량에 대한 금남 및 공주지점까지의 하도추적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 여유고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reeboard assess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considering climate change)

  • 최지혁;문영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4호
    • /
    • pp.371-381
    • /
    • 2018
  • 국내 농업용 저수지 댐 시설물은 노후화 및 기후변화로 인한 여름철 강우량 증가로 인해 수자원관리에 대한 어려움뿐만 아니라 댐 월류에 따른 피해위험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 수문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농업용 저수지 1종 댐 시설물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유역별 확률강우량, 기존에 제시된 Present PMP, 기상청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Future PMP를 산정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라 증가하는 강우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홍수량산정 및 저수지홍수추적을 실시하여 강우시나리오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여유고를 분석하였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Future PMP를 이용하여 농업용 저수지 댐 시설물의 수문학적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고삼, 금광, 미호, 청천저수지는 설계홍수위 이상의 최고수위가 발생함에 따라 월류위험에 취약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석 영향을 받는 하구호에서의 저수지추적 (Reservoir Routing in Estuary Lake Influenced by Tidal Effects)

  • 김주영;이정규;윤광석;김한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22-725
    • /
    • 2007
  • 1990년 건설된 금강 하구둑은 만경강 하류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군산, 익산, 전주를 비롯하여 부근 소도시에 생활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하구둑 건설과 함께 금강홍수통제소가 개소되어 홍수예측시스템을 운영해 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운영 시스템은 배수효과를 고려할 수 없는 결정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류에서의 홍수발생시간과 홍수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정확히 제공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홍수 초기나 말기의 과다. 방류로 용수자원 확보의 곤란, 담수의 염수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구둑의 영향을 받는 금강에 대한 홍수 예측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현재의 시스템이 배수영향을 고려할 수 없는 이유는 하구둑이 강을 차단하여 불연속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배수갑문에서의 유출량을 계산하였고 시간변화에 따른 하구둑 내수위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계산치는 관측치와 양호하게 일치하는 결과를 볼 수 있었으며 본 연구가 현재의 시스템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농업용 저수지 홍수추적방법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flood routing methods in irrigation reservoir)

  • 구희진;김태철;김대식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299-302
    • /
    • 2003
  • This study aims to apply and compare flood routing methods for irrigation reservoirs. In this research, three methods, which are the storage indication method(SIM), the mass curve method(MCM), the frog method(FM) were adopted and applied to two storm events of July $9{\sim}10\;and\;22{\sim}23$ of Donghwa-dam and its watershed located on Jangsoo-gun, Chunnam province. As the application results MCM showed the highest value at peak overflow and goodness-of-fit to the observed value, although the others also had similar value with the observed one. In analyzing lag time of peak between inflow and overflow MCM and SIM showed 7 hours, while FM showed 6 hours for the first storm event, and all three methods showed 3 hours for the second event.

  • PDF

객체지향기법을 이용한 홍수유출해석 (Flood Runoff Analysis Using an Object -Oriented Runoff Model)

  • 김상민;박승우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51-56
    • /
    • 1999
  • An object-orient watershed runoff model was formulated using the SCS curve number method and routing routines. The four objects included in the model were rainfall , hydrologic unit, reservoir, and channel. Each object considers the data and simulation method to depict the runoff processes. the details of which were presented and discusses in the paper. The resulting model was applied to the HS #3 watershed of the Balan Watershed Project, which is 412.5 ha in size and relatively steep in landscape. The simulated runoff hydrographs from the model were close to the observed data.

  • PDF

댐붕괴 모형과 FLO-2D를 연동한 산대저수지 붕괴 침수 모의 (FLO-2D Simulation of the Flood Inundation Zone in the Case of Failure of the Sandae Reservoir Gyeongju, Gyeongbuk)

  • 고대홍;이길하;김진만;김성욱
    • 지질공학
    • /
    • 제25권4호
    • /
    • pp.449-458
    • /
    • 2015
  • 갑작스런 저수지 붕괴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연재해를 관리하는 효율적인 방법은 홍수위험지도를 작성하는 것이다. 댐붕괴로 인한 홍수위험지도 작성에서 물리적인 현상을 재현해내기 위해서는 유출모형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모형을 이용하여 잠재적 피해대상지역을 사전에 파악하는데 모형의 정확도가 중요하다. 외국에서 만들어진 기존 상용모형을 검증을 거치지 않고 현장에 적용하는 것은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모형 예측과 실측의 차이를 비교하여 모형의 정확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댐붕괴 모형을 하도추적모형인 FLO-2D모형에 연동하여 침수지역을 파악하였다. 모형의 매개변수는 모형의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먼저 DEM을 구축한 후 토지피복도로 Manning계수를 산정하고 동시에 토양도를 사용하여 침투과정의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모의 결과는 침수현장에서 설문조사를 통하여 제작한 현장침수지도와 상대 비교하였다. 침수지역의 수위와 범위 등을 비교한 결과 연구에 사용한 붕괴모형이 침수 지역을 적절하게 재현해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화(最適化) 기법(技法)에 의한 남강(南江)-안동(安東)댐의 홍수조절(洪水調節) (The Flood Control of the Namgang and Andong Reservoir System by an Optimization Procedure)

  • 김승권;윤용남;이성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49-60
    • /
    • 1988
  • 낙동강 수계의 남강(南江)-안동(安東)댐군(群)을 하나의(가상적) 시스템으로 간주하여 홍수시 두 댐 하류의 합류점에서의 최대 유량을 최소로하기 위한 min-max IDP(Incremental Dynamic Programming) 모델을 수립하였다. 200년 반도의 예촉유입홍수량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단일댐운영 방식에 의한 홍수조절보다 댐군(群)을 시스템적 관점에서 최적화 과정에 의한 홍수조절(洪水調節)을 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수치적으로 입증하였다.

  • PDF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한 저류함수법 적용 (Application of Storage Function Method with SCS Method)

  • 김태균;윤강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7호
    • /
    • pp.523-532
    • /
    • 2007
  • 1974년 한강홍수예보시스템을 구축한 이후로, 저류함수법을 근간으로 하는 홍수예보시스템이 주요하천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1961년 목촌준황(木村俊晃)에 의하여 제안된 저류함수법은 저류함수를 기본식으로 이용하고 있다. 저류함수법에서는 유역을 유출역과 침투역으로 구분하고, 누가우량이 포화우량을 초과하기 전까지는 유출역에서만 유출이 발생하고, 포화우량을 초과한 후부터 침투역에서도 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이때 유출역의 면적이 일정하므로 유출률은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유출역과 침투역의 유출량을 분리하여 계산하며, 이는 비선형저수지의 특성을 고려하면 불합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류방정식과 연속방정식을 이용한 수정된 저류함수법을 제시하였으며, 유효우량은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하였다. 낙동강유역의 위천을 대상으로 수정된 저류함수법을 적용하였으며, 목촌준황(木村俊晃) 저류함수법에 비하여 첨두홍수량 산정에 개선된 결과를 보였으며, 매개변수의 감소로 적용성을 개선하였다.

우수배제 펌프의 조작기준에 따른 서울시 유수지의 안전검토 (A Safety Evaluation of Detention Reservoirs at Seoul by New Pumping Criteria)

  • 이원환;박상덕;심재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41-150
    • /
    • 1992
  •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기존의 배수체계에 의한 내수배제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른 홍수 발생시의 내수침수 피해가 도시지역 홍수의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배수체계 중 유수지 및 우수배제 펌프장의 안전도를 검토하였다. 펌프조작에 있어서는 증수부와 감수부에 따라 우수배제 펌프를 조작하는 기준이 기존 펌프보유대수로도 홍수대처능력을 현재보다 월동하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수치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유수지내 유입량과 펌프조작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여 펌프 한대가 담당하는 적정 유입량의 범위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서울특별시 관내 57개소의 유수지 및 우수배제 펌프장중 10년 빈도의 설계호우에 대해서도 60% 정도만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an Event Rainfall-Runoff Model in Small Watersheds

  • Lee, Sang-Ho;Lee, Kil-Seong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6권
    • /
    • pp.81-98
    • /
    • 1995
  • A linear reservoir rainfall-runoff system was developed as a rainfall-runoff event simulation model. It was achieved from large modification of runoff function method. There are six parameters in the model. Hydrologic losses consist of some quantity of initial loss and some ratio of rainfall intensity followed by initial loss. The model has analytical routing equations. Hooke and Jaeves algorithm was used for model calibration. Parameters were estimated for flood events from '84 to '89 at Seomyeon and Munmak stream gauges, and the trends of major parameters were analyzed. Using the trends, verifications were performed for the flood event in September 1990. Because antecedent rainfalls affect initial loss, future researches are required on such effects. The estimation method of major parameters should also be studied for real-time forecast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