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ntment and Regre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전환장벽의 귀인이 부정적 감정과 불평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ttributions to Switching Barrier on Negative Emotions and Complain Behaviors)

  • 정윤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2호
    • /
    • pp.223-237
    • /
    • 2017
  • 전환장벽은 고객의 이탈을 막는다는 점에서 주로 긍정적인 측면이 강조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업이 설정한 전환장벽이 장기적으로 해로울 수 있음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Jones et al. 2000; 정윤희, 2012). 전환장벽의 부정적 영향에 관한 기존연구에서는 전환장벽이 소비자의 전환의 자유를 방해한다는 점에서 부정적 심리반응을 이끌 수 있음은 보여주었으나, 당장 기업에 줄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환장벽으로 인해 전환을 못하는 상황에 서비스 실패상황에 관한 연구를 적용하여 소비자들의 전환장벽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불평행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전환을 어렵게 하는 전환장벽의 귀인(내적 혹은 외적)에 따라 후회와 원망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수용, 불평행동, 부정적 구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가설 검증한 결과, 내적귀인은 후회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외적귀인은 원망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후회는 수용과 불평행동에 영향을 주고, 원망은 불평행동과 부정적 구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환장벽이 고객들의 부정적 감정과 불평행동을 이끌어 기업에 즉각적 피해를 줄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기존연구를 확장하고 있으며, 전환장벽에 대한 신중한 실무적 활용을 시사한다.

  • PDF

전환 좌절상황에서 소비자의 부정적 심리반응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witching-Frustrated Situation on Negative Psychological Response)

  • 정윤희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131-157
    • /
    • 2012
  • 현재 치열한 경쟁상황 속에서 기업들은 소비자들이 다른 대안으로 전환하는 것을 막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을 실행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전환장벽을 이용하는 전략은 고객유지와 관련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전환 장벽으로 인해 새로운 대안으로 바꾸지 못하고 현재 서비스제공자와의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소비자 입장에서도 전환장벽이 긍정적일 것인가? 심리적 반작용이론에 의하면, 사람들은 어떤 자유가 위협받거나 제거될 때, 그 자유를 되찾는 방향으로 동기부여 되거나 어떤 부정적 반응을 보일 수 있다고 하였다. 전환장벽 역시 전환의 자유를 제약한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부정적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전환장벽으로 인해 다른 대안을 단념해야 하는 상황에서 소비자가 경험할 수 있는 부정적 심리 반응과 그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에 초점을 맞춘다. 연구가설에서, 부정적 심리반응에는 '이전선택에 대한 후회', '현재 제공자에 대한 원망', '좌절된 제공자에 대한 열망'을 포함하였으며, 전환좌절 상황의 특성-'좌절된 대안의 매력성', '전환 장벽의 심각성'-이 이러한 반응들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전환 좌절상황의 특성이 주는 부정적 영향은 현재까지 해당 제공자로부터 받은 대우에 따라서 달라질 것으로 보고 지각된 공정성을 조절변수로 추가하였다. 연구 결과 전환좌절상황의 특성과 부정적 심리반응의 관계는 모두 지지된 반면, 지각된 공정성의 조절효과는 대부분의 관계를 상호작용 공정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부만이 지지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환 장벽의 긍정적 측면에만 영향을 밝혀온 기존 연구의 한계점보완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 PDF

홍익인간·대동사회·해원상생의 회통과 의미 - 선(善)의 적극적 실천을 위한 모색 - (The Synthetic Comprehension of 'Humanitarianism,' 'Accompaniment Society,' and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nd Their Meaning: a Search for the Active Practice of Good)

  • 손흥철
    • 대순사상논총
    • /
    • 제30집
    • /
    • pp.131-162
    • /
    • 2018
  • 이 글은 현재와 미래세계에서 우리사회에 뿌리 깊은 원(冤)과 한(恨)을 어떻게 치유하고, 한민족의 평화와 정신적 안녕을 실현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홍익인간 사상의 내용과 그 실천적 방법을 비판적 관점으로 재해석하고, 우리 민족의 사상적 정서적 뿌리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현재와 미래에서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찾아보았다. 다음으로 유학의 대동사상의 내용과 그 이상적 실현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동사상의 이상도 우리 민족의 정서 속에 깊이 뿌리박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우리사회의 원과 한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이고 실천적인 이론적 방법론적 연구가 필요함을 알아보았다. 끝으로 대순진리(大巡眞理)의 중요 개념인 해원상생의 근원적 본래적 의미를 연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해원상생이 미래의 보편적 가치이자 회통의 실천적 규범으로 승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해원상생의 논리가 우리 민족이 가진 한의 정서를 해소하는 적극적 실천성이 있음을 알아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대순진리의 해원상생(解冤相生)이 홍익인간과 대동사회의 이상을 회통(會通)하여 미래의 상생윤리로 발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보호자의 주관적 부담과 그 결정요소 (The Subjectiv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with Schizophrenics and Its Predictors)

  • 최해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5권
    • /
    • pp.374-399
    • /
    • 2001
  • Experiences of the subjective burden and its determinants were analyzed in a sample of 110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adult schizophrenic patients. The subjects reported varying amount of subjective burden and its mean score was 17.84 that meant considerably high level of subjective burden. Reports of subjective burden were high in the items of 'pity', 'frustration and resentment', 'regret'.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subjective burden consisted of four factors such as 'hopelessness', 'frustration and resentment', 'fear', and 'pity and anxiety'. The results about the determining variables of subjective burden indicated that the prognosis of patient, perceived stigma, the number of previous hospitalization, the availability of secondary caregiver, primary caregiver's age, and family income were predictive of primary caregivers' subjective burden. The result examining the multivariate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burden, stressors, social support, family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the more important determinants of subjective burden were the prognosis of patient, perceived stigma, and the number of previous hospitalization,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to help with primary caregivers' subjective burden were discussed.

  • PDF

한국여성 독거노인을 위한 웰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f Well-being Enhancement Program for the Korean Female Elderly Living Alone)

  • 서경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4호
    • /
    • pp.595-615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여성 독거노인의 웰빙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은 자기노출, 후회다루기, 원한감정 처리, 용서, 감사 및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삶과 행복의 의미를 탐구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전에 6명의 여성 독거노인에게 파일럿 프로그램을 적용하며 그 효과를 예측하고 프로그램을 보완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11명의 여성 독거노인으로 구성된 실험집단 외에도 활동 위주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11명을 비교집단으로 하고 또 다른 12명으로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독거노인이 웰빙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인간관계에서의 후회와 자신에게 피해를 준 사람에 대한 원한 수준이 감소하였고 자기를 노출하는 수준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웰빙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 독거노인의 불안, 외로움 및 노화에 대한 인식 수준 모두 감소하여 노년기 주관적 웰빙 수준이 증진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 후 부정정서는 감소하였으나 삶의 만족과 긍정정서 수준은 증가하였으며 행복감도 더 느끼게 되었다. 이런 모든 변화는 통제집단은 물론 비교집단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여성 독거노인 웰빙 증진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어 노인복지관인 상담센터 등과 같은 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암으로 자녀를 잃은 가족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The Experience of the Family Whose Child Has Died of Cancer)

  • 이정섭;김수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13-431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substantive theory about the experience of the family whose child has died of cancer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ed was grounded theory. The interviewees were 17 mothers who had cared for a child who had died of cancer Traditionally in Korea, mothers are the care givers in the family and are considered sensitive to the family's thoughts, feeling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y the investigator over a period of nine months. The data were analyzed simultaniously by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in which new data are continuously coded into categories and properties according to Strauss and Corbin's methodology. The 16 concepts which were fou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ounded data were, -left over time, the empty place, meaninglessness, inner sadness, situational sadness, heartache, physical pain, guilt, resentment, regret, support / stigmatization, finding meaning in the death, changing attitudes about life and living, changing attitudes about health, changing religious practice and changing family relations. Five categories emerged from the analysis. They were emptiness, consisting of left over time, the empty place and meaninglessness ; sadness, consisting of inner sadness and situational sadness ; pain, consisting of heartache and physical pain ; bitterness, consisting of guilt, resentment, regret, sup-port / stigmatization and finding meaning in the death : and transition, consisiting of changing attitudes about life and living, changing attitudes about health, changing religious practice and changing family relations. These categories were synthesized into the core concept,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The core phenomenon was emptiness. Emptiness varied with the passing of time, was perceived differently according to support / stigmatization and finding meaning in the death, was followed by sad-ness, pain, and bitterness, and finally resulted in changes in attitudes about life and living and about health, and in changes in religious practice and family relations.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proceeded by ① accepting realty, ② searching for the reason for the child's death, ③ controlling the bitter feelings, ④ reconstructing the relationships ameng death, illness and health and ⑤ filling the emptiness by resolving causes of child's death, adopting, having another child or with work. Six hypothes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① The longer the bereavement, the mere the empty space becomes filled. ② The longer the hospitalization, the more sup-port the family needs. ③ The more the sadness, pain and bitterness are expressed, the mere positive changes emerge. ④ Family support faciliates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⑤ Higher family cohesiveness faciliates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⑥ The greater the variety of reasons attributed to the child's death, the greater the variety of patterns of change. Four propositions related to emptiness and bitter-ness were developed. ① When the sense of emptiness is great and bitterness is manifested by severe feelings of guilt and resentment, the longer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② When the sense of emptiness is great and the family is highly motivated to get rid of the bitterness, the shorter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③ When the sense of emptiness is less and bitter-ness is manifested by severe feelings of guilt and resentment,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is delayed. ④ When the sense of emptiness is less and the family is highly motivated to get rid of the bitterness,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goes on to completion. Through this substantive theory, nurse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mptiness and bitterness in helping the family that has lost a child through cancer fill the empty space. Further research to build substantive theories to explain other losses may con-tribute to a formal theory of how family health is restored after human tragedies are experienced.

  • PDF

시설노인의 입소경험 (The Experience of Institutionalization by the Elderly)

  • 이가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68-678
    • /
    • 2002
  • Purpose: The number of nursing home residents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Nurses need to know the lived experience of relocation of the elderly to long-term care facilities. However, studies on this issue has not yet been conducted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elderly us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Method: There were 11 participants who consisted of 5 men and 6 women living in 3 different nursing home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from June 1999 to October 2001, and analyzed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 A total of 275 meaningful statement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institutionalization by the elderly were obtained. Of the 275 statements, 175 were found as the statements with more general forms. 28 themes were grouped into 8 theme clusters. These theme clusters included' resentment at their sons', irresistible admission', 'humiliation on institutionalization', 'being unbearable to shock', 'grief to unfamiliarity', 'being in agony of outwards', 'regret for self-life' and 'comfort for new residence'.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Korean elderly. We need to develop a nursing program to help the elderly cope with this crisis, and studies about the familys experience on their parents admission to institutionalized facility warrant further exploration.

  • PDF

한국 주부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본질의 근거이론적 접근 (A Grounded Theory Study on Substantials of Stress of Korean Wives)

  • 양경희;정주연;최선하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83-196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substantive theory about the substantials of stress of Korean Wives in the community. The subjects were 10 wives. In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burden' was found to be the core phenomenon. And the properties of burden were 'burden of domestic economy', 'a sence of duty about the esteemed family of her husband', 'role burden in a family and her work place', and 'burden of conception'. Twenty five hypotheses were derived from the integration of categories. It is as follows : 1. The stronger the difference as perceiced by subjects,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 2. The stronger the dissatisfaction,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 3. The stronger the trouble,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4. The stronger the worry,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 5. The stronger the forcible demand,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 6. The stronger the regret,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 7. The rarer the communication,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 8. The stronger the fatigue,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 9. The stronger the anger,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 10. The stronger the worrisome feeling,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 11. The stronger the unbearable feeling,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 12. The stronger the resentment.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 13. The stronger the sence of insufficiency,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 14. The stronger the estrangement,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 15. The stronger the attachment, the stronger the burden will b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