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arch Ethics Education

검색결과 379건 처리시간 0.021초

초등학교 저학년 교과서의 성교육 내용분석 (Analysis of Sexuality Content in Textbooks for Students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양순옥;김신정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431-441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xuality education course of study for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ethod: On the basis of the sexuality education guideboo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ublished by Korea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state-designated textbooks for first to third grade were analyzed. Results: 1) In the category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and psychosexual development content were covered, but not sexual health content. 2) In the category of understanding of human relationship, marriage and family, and the opposite sex and love were presented but self-determination and selection were only partially presented. 3) In the category of sexual culture and sexual ethics, sexual role in society was covered, but not social environment or equality of the sex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ent on sexuality which is not covered in textbooks for students in lower grades should be included in other school courses or activities in class.

  • PDF

Problem Based Learning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방안 연구 (Study on Metaverse Application Measures for the Problem Based Learning)

  • 이재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2-20
    • /
    • 2024
  • This study found that the use of the metaverse enabled two-way communication onlin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making it possible to achieve teaching and learning goals. As applied subject (Occupational ethics in science and engineering) that allow for curriculum activities using the metaverse, team activities, and Problem Based Learning (PBL) selected. This study selected the teaching method that combines team activities of in-class and metaverse depending on the team projects and applies them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class procedure. Basic theoretical content learning and team activities related to the class content were conducted during class time. Also In Gathertown, team projects were carried out through team activities.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BL-subjects curriculum are definitely possible through the progress of the metaverse activities. I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metaverse activities and the instructor's preparation and participation are supported, a very high learning effect is expected.

사회현상학 관점에서의 인터넷역기능 분류체계 표준화 연구 (A Standardizing research of Internet adverse effects catalog from Societal phenomenological pointview)

  • 권정인;이성철;안성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10
    • /
    • 2011
  • 급속한 정보사회의 발달에 따른 사용자 윤리의식의 문제점을 논하는 기존의 많은 정책과 연구보고서에서는 그에 따른 해결책을 논의하고 있지만 이는 사후방법론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역기능의 문제점을 사후 해결책이 아닌 예방차원에서의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역기능분류의 표준안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가 제시하는 역기능 분류의 표준 모델은 사회적 현상이라는 관점에서 현재까지 역기능의 피해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여 1 2차 전문가 설문을 통해 미디어 중독, 유해콘텐츠, 사이버폭력, 권리침해, 사이버테러, 판단장해 등의 6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제시된 표준안 모델은 현재의 정보화 사회에 발생할 수 있는 역기능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에 발생할 수 있는 역기능의 문제점까지 포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이를 통해 역기능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 혹은 예방할 수 있는 사회적 또는 교육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논의의 재검토 (Discussion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tists and Engineers Revisited)

  • 송성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5-14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과학기술학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과학기술의 윤리적 측면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보완하거나 새로운 논점을 제기함으로써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체계적인 기획을 시도하였다. 첫째,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객관적 조건으로서 과학과 기술이 제도화되면서 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둘째, 과학기술의 공공성을 부각시킴으로써 기존의 전문직업인으로서의 과학기술자에 대한 논의를 보완하였다. 셋째, 과학기술자의 윤리적 갈등을 몇 개의 유형으로 분류한 후 관련된 사회집단을 포괄적으로 고려하면서 윤리적으로 수용가능한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넷째,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과제로서 부도덕한 행위에 관한 문제제기, 전문가적 증인의 역할 수행, 과학기술단체의 윤리강령 제정, 과학기술윤리교육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사회적 중요성이 점점 증대하고 있는 과학기술자가 자신의 활동을 보다 거시적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는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다.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 속 여성의 위기와, 돌봄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 : 기독교 교육학적 접근 (Crisis in Women during COVID-19 Pandemic and Pastoral Theological Reflection on Care : Christian Educational Approach)

  • 이수영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8권
    • /
    • pp.217-243
    • /
    • 2021
  • 본 연구는 유엔 사무총장이 "코로나 19는 여성의 얼굴을 한 위기이다" 라고 언급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하여 가장 큰 위기와 고통, 어려움에 처한 여성들의 상황을 통계자료들와 학술연구결과들을 통하여 경제적, 사회 문화적, 심리 정서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고, 이 문제들이 어떻게 "돌봄"에 관련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들과 위기에 대한 교회의 한 대응으로서 "돌봄윤리"와 "돌봄목회"를 통한 목회신학적 성찰을 도모하였다. 교회의 "돌봄목회"는 교회내의 개인적 돌봄 뿐 아니라 사회, 문화, 경제, 정치, 생태계적 이슈들에도 확장되며, 교회는 공공성을 가지고 재난과 관련된 이러한 이슈들에 응답하는 선교적 사명을 지닌다. 나아가 교육목회를 통해, 돌봄과 불평등에 대한 가치관과 사고방식의 변화와 디아코니아, 교회공동체의 사랑의 돌봄이 격려되어야 할 것이다.

공공도서관 관련 교양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 '우리 모두의 장'으로서 공공도서관 알아차리기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Subject Related to Public Libraries: Knowing Public Library as a Commons)

  • 한만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3-57
    • /
    • 2023
  •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공공도서관이 가진 '우리 모두의 장(공통장)'의 특성을 최대한 발견한 학습 구성요소 설계 및 대학의 일반교양 과목 요건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 구성이다.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문해력 향상의 연습장이자, 디지털 공유문화의 체험장, 차별 없는 모두의 학습장, 메이커 운동의 작업장 그리고 지역공동체 형성의 거점으로서 '우리 모두의 장'의 성격을 두루 갖추고 있다. 연구자는 다양한 문해력 이해, 정보활용능력의 정보윤리, 공동체 의식 및 다문화 이해, 공공의식과 협동정신 및 컴퓨터 활용능력, 학제적 지식 및 통합적 안목과 시각 등을 학습 구성요소로 설계하고 '공유문화와 지역도서관'이라는 명칭의 과목을 개설하였다. 이러한 공공도서관 관련 융합 교양 교과는 지역 및 공공성의 위기가 증대되는 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학생들에게 널리 확산하고 실제로다양한 도서관 서비스를 체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지역도서관의 인지도 및 이용률 향상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소양과 경제윤리의 실태와 경제교육 과제 (A Survey Research on the Economic Ethics and Information Literacy)

  • 조병철;남상섭
    • 정보학연구
    • /
    • 제8권3호
    • /
    • pp.117-129
    • /
    • 2005
  • The topic of this study is a survey research about the economic recognition related to economic ethics and information literacy of students(6,779) extend from 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First, for the ability to use computers, it is recognizing that 49.6% of students are normal, 38.6% are superior, and 12.8% are inferior. In part of class, it tends to recognize that it is the superior as the level of school is the lower excepting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we can find great difference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related to purpose of using internet, 79.8% of male students are using computer to play game or entertainment(1), search data or knowledge(2), chatting or massenger(3), 70.1% of female students are using internet to search data or knowledge(1), chatting or massenger(2) and meeting of similar taste. Third, it shows a tendency that the economic activity using internet or cell-phone increases faster as the level of schools is higher. In detail, they primarily use buying or settlement of products(63%), purchasing internet service(20.9%). Fourth, for using illegal CD, not only they didn't feel guilty in all levels of schools, excepting university students, it is showed that the trust of intellectual poverty right is weaker as the level of schools is higher. So, it is becoming serious problems. It seems a task which should be supplemented through economic education of schools in the future.

  • PDF

대학도서관의 연구지원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earch Support Service of College Libraries)

  • 남영준;김희선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3호
    • /
    • pp.1-21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연구지원서비스를 정의하고, 국내외 주요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연구지원서비스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대학도서관은 일반적으로 온라인상에서 도서관 서비스제공 빈도가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국외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연구지원 전문서비스보다는 서지교육과 원문제공서비스, 상호대차서비스 등과 같은 일반적인 도서관 서비스만을 제공하였다. 또한 연구윤리 관련 정보서비스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그리고 연구단계별 연구지원서비스는 자료수집단계에 집중된 경향이 있으며, 그 외 연구계획단계와 논문작성단계의 서비스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대학도서관은 대학 소속 연구자와 학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공간을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었다.

공학전공 대학생의 AI 로봇에 대한 윤리적 민감성 (Engineering Students' Ethical Sensitivity o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 이현옥;고연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23-37
    • /
    • 2022
  • This study evaluated the engineering students' ethical sensitivity to an AI emotion recognition robot scenario and explored its characteristics. For data collection, 54 students (27 majoring in Convergence Electronic Engineering and 27 majoring in Computer Software) were asked to list five factors regarding the AI robot scenario. For the analysis of ethical sensitivity, it was checked whether the students acknowledged the AI ethical principles in the AI robot scenario, such as safety, controllability, fairness,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We also categorized students' levels as either informed or naive based on whether or not they infer specific situations and diverse outcomes and feel a responsibility to take action as engineers. As a result, 40.0% of students' responses contained the AI ethical principles. These include safety 57.1%, controllability 10.7%, fairness 20.5%, accountability 11.6%, and transparency 0.0%. More students demonstrated ethical sensitivity at a naive level (76.8%) rather than at the informed level (23.2%).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presenting an ethical sensitivity evaluation tool that can be utilized professionally in educational fields and applying it to engineering students to illustrate specific cases with varying levels of ethical sensitivity.

민간경비원의 직업윤리의식이 조직신뢰,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Professional Ethic,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among Private Security Guard)

  • 정훈;강진형
    • 시큐리티연구
    • /
    • 제37호
    • /
    • pp.7-28
    • /
    • 2013
  •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직업윤리의식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고 실태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은 현실에 비추어 민간경비원의 전문직으로서의 자부심과 가치관 정립을 통한 직업윤리 의식의 고양의 중요성을 조명하며, 또한 직업윤리의식과 조직신뢰, 직무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한 자료의 수집은 경비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팀장급 이하 실무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비확률 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500명을 표집인원으로 선정하였고 기입누락, 기입불명확, 이중기입, 편향적 기입 등과 같은 연구 자료로 부적합한 설문지46부를 제외하고 총 454부의 응답 자료를 최종분석에 포함하였다. 입력된 자료를 SPSS WIN 19.0 version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석 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결과 민간경비원의 직업윤리의식이 조직신뢰,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민간경비업체 내에서 개인들의 직업윤리의식 강화를 위하여 교육이나 훈련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자신의 개인적인 상태를 점검하며, 민간경비원의 직업윤리의식에 대한 스스로의 능력을 제고 할 기회를 제공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