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roductive shoot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초

CO2농도와 온도증가에 따른 멸종위기수생식물 선제비꽃의 생태학적 반응 (Ecologcal Response of the endangered aquatic plant, Viola raddeana Regal, to Effect of Increased CO2 Concentration and Air Temperature)

  • 장래하;이승혁;한영섭;조규태;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81-386
    • /
    • 2013
  • 멸종위기수생식물 선제비꽃이 증가된 $CO_2$농도와 온도에 생태적으로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야외조건인 대조구와 $CO_2$농도 + 온도를 증가시킨 처리구에서 개체생태학적으로 생육반응을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지상부 길이, 개체 당 가지 수, 개체 당 열매 수, 열매 당 종자 수, 가지 당 열매 수와 종자무게는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으나, 가지 당 잎 수는 많았고, 꽃대길이, 가지 길이와 개체 당 잎 수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 $CO_2$농도와 온도가 증가하면 선제비꽃의 가지 수는 줄어들지만 가지에 붙은 잎 수를 늘리는 반응을 하며, 종자생산이 감소하여 번식에 부정적임을 의미한다. 그래서 지구온난화현상은 멸종위기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벗풀(Sagittaria trifolia L.)의 번식생장(繁殖生長) 및 경합생태(競合生態) - 2. 벗풀의 경합생태(競合生態) (Reproductive Growth and Competitive Ecology of Arrowhead (Sagittaria trifolia L.) - 2. Competition Ecology of Arrowhead)

  • 한성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1-158
    • /
    • 1993
  • 벗풀 단독(單獨) 재배시(栽培時)의 종내(種內) 및 벼와의 종간경합(種間競合) 특성(特性)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포장(圃場)과 폿트에서 일련(一聯)의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벗풀 단독(單獨) 재배시(栽培時) $0.5m^2$당(當) 1본식(本植)한 구(區)에 비(比)해 초장(草長)과 화경수(花莖數)는 10주(株)부터, 엽수(葉數)와 엽장(葉長)은 5주(株)부터 종내경합(種內競合)이 시작(始作)되었고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과 형성(形成)된 지하경수(地下莖數)는 5주(株)부터 현저(顯著)한 감소(減少) 현상(現象)을 나타내면서 종내경합(種內競合)이 시작(始作)되었다. 2. 벼의 이앙(移秧) 본수(本數)를 일정(一定)하게 하고 벗풀 밀도(密度)를 달리한 종간경합실험(種間競合實驗)에서 벼의 초장(草長)은 벗풀을 $0.5m^2$당(當) 15주(株) 재식(栽植)할 때 짧아졌으며, 경수(莖數)는 벗풀 5주(株) 재식구(栽植區)부터 억제(抑制)되었다. 벗풀의 생장량(生長量),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그리고 형성(形成)된 지하경수(地下莖數)는 벗풀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되었다. 3. 벗풀의 재식주수(栽植株數)를 일정(一定)하게 하고 벼의 재식밀도(栽植密度)를 달리한 종간경합실험(種間競合實驗)에서 벗풀의 생장량(生長量),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 지하경수(地下莖數) 및 벼의 초장(草長)과 경수(莖數)는 벼 재식본수(栽植本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되었다. 4. 작기별(作期別) 종간경합실험(種間競合實驗)에서 뱃풀 단독재식구(單獨栽植區)에 대한 벗풀과 벼 혼식구(混植區)의 생장비율(生長比率)로 비교(比較)해 본 벗풀의 생장(生長)은 만기이앙(晩期移秧) 재배구(栽培區)보다 조기(早期) 및 보통기이앙(普通期移快) 재배구(栽培區)에서 더 억제(抑制)되었고, 벼의 초장(草長) 및 경수(莖數)는 그의 반대(反對)였다.

  • PDF

소형 수박 시설 재배 시 관수개시점에 따른 토양수분 함량별 생육, 수량 및 생리적 반응 특성 구명 (Characteristics of Growth, Yield,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Small-Sized Watermelons to Different Soil Moisture Contents Affected by Irrigation Starting Point in a Plastic Greenhouse)

  • 허윤선;김은정;노솔지;전유민;박성원;윤건식;김태일;김영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8-398
    • /
    • 2020
  • 본 연구는 시설 내 소형 수박 재배 시 관수개시점에 따른 토양수분 함량별 생육, 수량 및 생리적 반응 특성의 차이를 구명하고 소형 수박 생산에 유리한 관수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토양수분 센서를 이용하여 정식 후 14일부터 수확 7 ~ 10일 전까지 관수개시점별 5처리(-10, -20, -30, -40, 50 kPa)를 두어 관수하였다. 토양수분 함량이 가장 낮은 개시점-50 kPa 처리에서 전반적인 지상부 생육특성은 저조하였으나, 근장 및 뿌리 건물율은 증가하였다. 광합성률, 기공전도도 및 증산율 비교 시, 관수개시점-50 kPa 처리에서 가장 낮았고, -20 kPa ~ -40 kPa 처리 시 광합성률은 높게 조사되었다. 착과율 및 총 상품수량은 -30 kPa 및 -40 kPa 처리에서 각각 84.7 ~ 85.5%, 5,144 ~ 5,305 kg/10a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식물체의 외부환경 관련 스트레스 지표 물질로 알려진 프롤린, ABA, 총 페놀 및 시트룰린의 함량은 토양수분 함량이 낮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특히 관수개시점-50 kPa 처리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시설 내 안정적인 소형 수박 생산을 위하여 관수개시점을 -30 kPa ~ -40 kPa 수준으로 조정하여 토양수분 함량을 조절하는 것이 수박 생육 향상 및 상품수량 증대에 가장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무장치(噴霧裝置)를 이용(利用)한 솔잎혹파리 방제(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Use of Sprinkler System for Control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정상배;김철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311-321
    • /
    • 1994
  • 본(本) 연구(硏究)는 춘기(春期)에 솔잎혹파리 성충(成蟲)이 우화(羽化)하여 지상(地上)에서 교미후(交尾後) 소나무 신엽(新葉)에, 산란(産卵)하는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이용(利用), 성충우화기(成蟲羽化期)에 임분내(林分內) 또는 수관상부(樹冠上部)에 분무장치(噴霧裝置)를 설치(設置)하여 우화억제(羽化抑制)와 교미(交尾) 및 산란활동(産卵活動)을 교란(攪亂)시키므로서 농약사용(農藥使用)없이 솔잎혹파리 피해(被害)를 방지(防止)하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실시(實施)되었으며 요약(要約)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솔잎혹파리 성충우화기간(成蟲羽化期間)에 있어서의 임지내(林地內) 주간(晝間) 분무처리(噴霧處理)는 토중월동유충(土中越冬幼蟲)의 밀도변동(密度變動)에 영향(影響)을 주지 못하였다. 2. 분무처리(噴霧處理)는 총(總) 우화기간(羽化期間) 및 우화(羽化) 개체수(個體數)에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우화초기(羽化初期)에는 지연(遲延), 후기(後期)에는 촉진(促進)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었으며 50% 우화일(羽化日)까지는 약(約) 7일간(日間)의 시차(時差)가 있었다. 3. 지상분무처리(地上噴霧處理)는 충영형성율(形成率) 감소(減少)에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으나 방제가(防除價) 45%로서 기대치(期待値)(85% 이상(以上)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며 분무(噴霧)의 엽면처리(葉面處理)는 평균(平均) 충영형성율(形成率) 2.6%로서 무처리구(無處理區)의 38.4%에 비교(比較)하여 높은 감소효과(減少效果)가 있었고 방제가(防除價)는 93.2%에 달(達)하였다. 4. 분무처리지(噴霧處理地)의 충영내(內) 좌충수(左蟲數) 조사(調査) 결과(結果), 지상처리(地上處理)는 좌충수(左蟲數) 감소(減少)에 전혀 영향(影響)을 주지 못하였으나 엽면처리(葉面處理)에서는 충영당(當) 평균(平均) 좌충수(左蟲數) 2.3마리로서 대조구(對照區)의 4.2마리에 비(比)하여 약(約) 45%의 감소효과(減少效果)가 있었다. 5. 분무처리(噴霧處理)는 솔잎혹파리 피해목(被害木)에 대(對)하여 15-18%의 신초생장(新梢生長) 증가(增加) 효과(效果)를 나타냈다. 6. 분무처리(噴霧處理)의 흡즙성(吸汁性) 해충(害蟲)에 대(對)한 밀도감소(密度減少) 효과(效果)는 지상처리(地上處理)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엽면처리(葉面處理)에서는 현저(顯著)한 밀도감소(密度減少) 효과(效果)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