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eatability

검색결과 888건 처리시간 0.029초

PERFORMANCE TEST FOR A PDS MICRODENSITOMETER MODEL 1010GMS

  • Hong, S.S.;Paek, W.G.;Lee, S.G.
    • 천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46
    • /
    • 1992
  • The electrical, mechanical and optical capabilities have been tested of the microdensitometer PDS 1010GMS at the Korea Astronomy Observatory. The highest stage of scan speed 255 csu (conventional speed unit) is measured to be 47 mm/s. At this speed the position is displaced by $4{\mu}m$ to the direction of scanning and the density is underestimated by $0.4{\sim}0.7D$. Standard deviation in the measured density is proportional to $A^{-0.46}$, where A is the area of scan aperture. The accuracy of position repeatability is ${\pm}1{\mu}m$, and that of density repeatability is ${\pm}(0.003{\sim}0.03)D$. Callier coefficient is determined to be 1.37; the semispecular density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diffuse density up to 3.5D. Because the logarithmic amplifier has a finite response time, the densities measured at high scan speeds are underestimated to the degree that speeds higher than 200 csu are inadequate for making an accurate astronomical photometry. After power is on, an about 5 hour period of warming is required to stabilize the system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as well. On the basis of this performance test, we have determined the followings as the optimum scan parameters for the astronomical photometry: For the scan aperture $10\;\sim\;20{\mu}m$ is optimal, and for the scan speed. $20\;{\sim}\;50$ csu is appropriate. These parameter values are chosen in such a way that they may keep the density repeatability within ${\pm}0.01D$, the position displacement under $1{\mu}m$, and the density underestimation below 0.1D even in high density regions.

  • PDF

콘칼로리미터 연소가스 FT-IR 분석을 위한 국제표준 초안의 비교시험 결과분석 (Results of a Round-Robin Test for the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on FT-IR Gas Analysis of Fire Effluents from a Cone Calorimeter)

  • 최정민;박계원;정재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1-8
    • /
    • 2019
  • ISO TC 92에서는 콘칼로리미터의 연소가스를 FT-IR 방식의 가스분석기로 분석하기 위한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2018년에는 표준 초안(WD 21397)의 절차에 따라 6개 기관이 참여하여 표준 초안의 반복성 및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시험대상 시료는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경질 폴리우레탄 보드 및 PVC 장판이었고 콘칼로리미터 시험결과 중 착화시간(s), 최대 열방출률(kW·m-2), 총 방출열량(MJ·m-2) 및 유효연소열(MJ·m-2·kg-1)을, 그리고 FT-IR 가스분석결과 중 독성가스의 최대 농도(µL·L-1), 가스 발생량(g) 및 가스 수율(g·g-1)을 ISO 5725-2에 따라 통계 분석하여 정밀도를 평가하였다. 이상치(outlier)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콘칼로리미터 시험의 반복성(sr/m)은 1.5%, 재현성(sR/m)은 9.8%로 나타났고 FT-IR 가스분석의 반복성은 12.9%, 재현성은 27.9%로 나타났다.

Development of a Model System of Uncertainty Evaluations for Multiple Measurements by Isotope Dilution Mass Spectrometry: Determination of Folic Acid in Infant Formula

  • Kim, Byung-Joo;Hwang, Eui-Jin;So, Hun-Young;Son, Eun-Kyung;Kim, Yong-Se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11호
    • /
    • pp.3139-3144
    • /
    • 2010
  • A model system has been established for the evaluation of the uncertainty of the value from measurements of multiple subsamples by isotope dilution mass spectrometry (IDMS). In this report, we apply this model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measurement uncertainty in determination of folic acid in infant formula. Five subsamples were analyzed by IDMS. The mean of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five subsamples was assigned as the final measurement value. The standard deviation (s) of the results from five subsamples was attributable to repeatability of the measurement. The uncertainty components in the IDMS measurement method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Group I includes uncertainty components which give common systematic effects to all subsamples and do not contribute to the variation among multiple measurements (repeatability). Group II includes uncertainty components that give random effects on the measurement results, and are related with the measurement repeatability. These random effects are attributed to s. Therefore, the uncertainty of the final value was calculated by combining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of multiple measurements, $s/{\surd}n$ (where n = 5), and the measurement uncertainty associated with the uncertainty components that give systematic effects.

사상체질 분석 체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xperience System for Sasang Constitution Analysis)

  • 소지호;전영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9-13
    • /
    • 2020
  • 사상의학은 개인별 맞춤의학에 최적화된 한국 고유의 전통의학으로 유효한 임상 효능에도 불구하고 체질진단의 부정확도는 한계로 지적받아 왔다. 체질 진단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정량 데이터에 기반한 체질 분석 알고리즘이 개발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알고리즘을 적용한 체질 분석 체험 시스템을 개발하고 반복성을 평가하였다. 체질분석 체험 시스템은 정면과 측면 안면 영상, 음성, 설문 정보를 수집하고 통합 체질 확률 값을 계산하여 체험자의 체질을 분석한다. 개발한 시스템의 체질 확률 값에 대한 반복도 평가를 위해 3명을 대상으로 각 5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변동계수가 4.778%로 나와 충분한 반복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사상의학의 인식 제고를 위한 홍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치과용 스캐너로 채득한 디지털 모형의 반복성 및 재현성에 관한 3차원적 평가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n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dental scanner-based digital models)

  • 이경탁;김재홍;김웅철;김지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3-220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wo dental scanners. Methods: The master die and the stone replicas(Kavo, Germany) were digitized in touch-probe scanner(Incise, Renishaw, UK), white light scanner(Identica, Medit, Korea) to create 3-dimensional surface-models. The number of points in the point clouds from each reading were calculated and used as the CAD reference model(CRM). Discrepancies between the points in the 3-dimensional surface models and the corresponding CRM were measured by a matching-software(Power-Inspect R2, Delcam Plc, UK). The t-student test for one sampl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reproducibility of both scanner was within $3{\mu}m$, based on mean value. The mean value between measurements made directly on the touch probe scanner digital models and those made on the white light scanner digital models was $2.20-2.90{\mu}m$,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 With respect to adequate data acquisition, the reproducibility of dental scanner differs. Three-dimensional analysis can be applied to differential quality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well as to evaluation of different analysis methods.

색각검사법의 재현성 및 반복성평가 (Assessment of Reproducibility and Repeatability for Color Vision Test)

  • 주석희;이은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09-114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색각검사법의 반복측정에 따른 결과의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선천성 색각이상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일개 대학교 안경광학과 학생 30명이었다. 색각이상검사 종류는 한식색각검사와 Hans 15 hue 검사 그리고 Lanthony D 15 hue 검사를 선택하였고, 3명의 검사자를 비교하기 위한 검사에서는 이시하라검사도 추가하였다. 결과: 가성동색표에서는 모두 정상으로 분류되어졌으나, 색분별법에서는 1명이 약한청황색각이상을 보였다. 가성동색표는 3번의 측정 및 검사자간 결과값이 일치하였으며, 색분별법 반복 측정에서 경미한 오류들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색각이상자의 분류에 있어서는 반복측정에 따른 결과값이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각 검사자는 비교적 간단한 색각검사라도 좀더 숙련된 기술로 피험자를 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피험 자 역시 세 번의 측정으로 인한 경험에 의존하여 색각검사를 하기보다는 매 검사는 신중을 기해야 함이 요구되어 진다. 선별검사에서는 두 가지 검사의 병행이 요구되어진다.

  • PDF

품질경영에서 측정시스템분석 방안 (Approaches to measurement system analysis in quality management)

  • 백재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3호
    • /
    • pp.19-24
    • /
    • 2021
  • 과학적 품질경영을 하기 위해서는 측정시스템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측정과정 중 측정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측정결과가 위치와 변동 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할 때 이를 야기하는 요인을 나열하고자 한다. 측정시스템의 변동은 크게 위치와 산포의 두 가지 속성으로 묘사되는데, 위치와 관련된 속성으로는 정확성, 안정성, 직선성이 있고, 산포와 관련된 속성으로는 재현성과 반복성이 있다. 측정시스템분석에서는 산포와 관련된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 R&R분석인데, 여기서 반복성과 재현성의 크기는 여러 차례의 측정치간 차이인 범위와 측정자간 차이인 범위로 나타내며, 이들 범위를 이용한 99%의 산포로 그 크기를 파악한다. 측정시스템분석은 R&R분석이외에 실험계획을 활용하여 측정치의 변동을 유발하는 요인의 변동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변동을 야기하는 요인인 작업자와 제품이 랜덤요인인지 또는 고정요인인지 점검하여 그에 맞게 각 요인의 변동의 크기를 구해야 적절한 분석이 이루어진다.

지문인식센서 품질평가를 위한 검사부 프로브의 소재 적합성과 구조 최적화 연구 (Materials Compatibility and Structure Optimization of Test Department Probe for Quality Test of Fingerprint Sensor)

  • 손은원;윤지원;김대업;임재원;김광석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3-77
    • /
    • 2017
  • 최근 정보 보호가 이슈화됨에 따라 지문인식센서의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센서 인식률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품질평가를 요구한다. 지문인식센서 전극과 검사부 프로브 팁이 접촉 시 발생하는 저항 값의 변화에 의해 센서의 품질이 평가되며, 품질평가의 재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센서 전극의 변형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프로브 소재의 적합성과 구조 최적화 연구가 필요하다. 프로브 팁의 적합성 평가를 위한 소재로 니켈(Ni), 스틸(SK4), 베릴륨동(Beryllium copper), 인청동(Phosphor bronze)을 비교하였으며, 프로브 팁 접촉 후 전극의 압흔 크기와 접촉저항을 고려할 때 베릴륨동이 프로브 소재로 적합하다. 검사부 프로브는 지문인식센서 전극의 물리적 손상 방지와 다수의 지문인식센서 동시 검사가 가능한 구조를 위해 일체형 프로브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검사부의 재현성은 특정 전류 값을 인가하여 지문인식센서의 전압 변화로 판단하였으며, 베릴륨동 프로브 소재와 일체형 구조를 통해 센서 전극에 프로브가 300회 접촉하는 동안 센서의 전압 변화는 ${\pm}0.003V$ 이내의 우수한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TLC상 분리 전 직접적 유도체화 반응과 이미지 분석을 통한 아민 화합물의 반정량분석을 위한 선행평가 (The preliminary evaluation of semi-quantitative analysis by in situ pre-chromatographic derivatization of amines and image analysis in TLC)

  • 김연수;최성운
    • 분석과학
    • /
    • 제28권2호
    • /
    • pp.79-85
    • /
    • 2015
  • TLC (SiO2) 상에서 3가지 유사 암페타민 류 아민 화합물과 3가지 유도체화 시약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얻어진 아민유도체의 이미지 분석으로부터 암페타민 류 화합물에 대한 신속하고 경제적인 반정량적인 분석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선행 실험을 하였다. TLC상 직접적인(in situ, co-spot) 유도체화 반응의 적정화를 시도하였고 그 TLC 결과물들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얻은 후 2가지의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CP Atlas 2.0 및 ImageJ)에 적용하여 재현성(RSD; %)과 상관성(R2)을 각각 확인 및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반응 조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였고(반응 온도 등) 각 시료별 2가지의 농도(0.5 mg/mL 및 0.01 mg/mL)에서 반응의 재현성은 0.69~5.50% 범위이었으며 반응(2 µL per spot)의 생성물과 아민의 농도에 대한 상관성은 0.1~0.005 mg/mL의 농도 구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R2> 0.9906). 또한, 두 가지 프로그램 모두 재현성과 직선성에 대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직접적인 유도체화 반응과 TLC 이미지에 대한 이들 프로그램을 사용한 분석이 아민 화합물에 대한 반정량적인 분석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3차원 안면자동인식기(3D-AFRA)의 Software 정밀도 검사 : 형상측정프로그램 오차분석 (A Software Error Examination of 3D Automatic Face Recognition Apparatus(3D-AFRA) : Measurement of Facial Figure Data)

  • 석재화;송정훈;김현진;유정희;곽창규;이준희;고병희;김종원;이의주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1-61
    • /
    • 2007
  • 1. Objectives The Face is an important standard for the classification of Sasang Constitutions. We are developing 3D Automatic Face Recognition Apparatus(3D-AFRA) to analyse the facial characteristics. This apparatus show us 3D image and data of man's face and measure facial figure data. So We should examine the Measurement of Facial Figure data error of 3D Automatic Face Recognition Apparatus(3D-AFRA) in Software Error Analysis. 2. Methods We scanned face status by using 3D Automatic Face Recognition Apparatus(3D-AFRA). And we measured lengths Between Facial Definition Parameters of facial figure data by Facial Measurement program. 2.1 Repeatability test We measured lengths Between Facial Definition Parameters of facial figure data restored by 3D-AFRA by Facial Measurement program 10 times. Then we compared 10 results each other for repeatability test. 2.2 Measurement error test We measured lengths Between Facial Definition Parameters of facial figure data by two different measurement program that are Facial Measurement program and Rapidform2006. At measuring lengths Between Facial Definition Parameters, we uses two measurement way. The one is straight line measurement, the other is curved line measurement. Then we compared results measured by Facial Measurement program with results measured by Rapidform2006. 3. Results and Conclusions In repeatability test, standard deviation of results is 0.084-0.450mm. And in straight line measurement error test, the average error 0.0582mm, and the maximum error was 0.28mm. In curved line measurement error test, the average error 0.413mm, and the maximum error was 1.53mm. In conclusion, we assessed that the accuracy and repeatability of Facial Measurement program is considerably good. From now on we complement accuracy of 3D-AFRA in Hardware and Softwa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