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operation

검색결과 510건 처리시간 0.037초

흉골에 접한 재발성 대동맥류에서 초저체온 순환정지하에서의 흉골재절개 (Resternotomy for Recurrent Aortic Aneurysm Adherent to the Sternum Under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 김상헌;김영학;김혁;정원상;강정호;지행옥;이철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108-111
    • /
    • 2004
  • 흉골에 인접한 재발성 대동맥류의 재수술 시, 흉골재절개 중 발생할 수 있는 동맥류의 뜻하지 않은 천공으로 인한 대량출혈의 위험성이 당면한 문제로 남아있다. 대퇴 동, 정맥 삽관을 통한 체외순환으로 초 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 방법은 안전한 흉골 재절개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체온을 떨어뜨리는 동안에 생기는 심실세동을 동반하는 심근수축력 감소는 좌심실의 팽창을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중심체온 저하 시 좌심실의 팽창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정맥혈의 배수가 필수적이다. 저자들은 흉골재절개를 시행하기 전에 원심펌프를 이용한 적극적인 정맥혈의 배수를 통해 좌심실의 팽창없이 초 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에 도달한 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Preoperative Wound Classification and Postoperative Infection: A Multi-Institutional Analysis of 15,289 Patients

  • Mioton, Lauren M.;Jordan, Sumanas W.;Hanwright, Philip J.;Bilimoria, Karl Y.;Kim, John Y.S.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5호
    • /
    • pp.522-529
    • /
    • 2013
  • Background Despite advances in surgical techniques, sterile protocols, and perioperative antibiotic regimens, surgical site infections (SSIs) remain a significant problem.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und classification (i.e., clean, clean/contaminated, contaminated, dirty) and SSI rates in plastic surgery.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a multi-institutional, surgical outcomes database for all patients undergoing plastic surgery procedures from 2006-2010. Patient demographics, wound classification, and 30-day outcomes were recorded and analyzed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 total of 15,289 plastic surgery cases were analyzed. The overall SSI rate was 3.00%, with superficial SSIs occurring at comparable rates across wound classes. There were similar rates of deep SSIs in the clean and clean/contaminated groups (0.64%), while rates reached over 2% in contaminated and dirty cases. Organ/space SSIs occurred in less than 1% of each wound classification. Contaminated and dirty cases were at an increased risk for deep SSIs (odds ratios, 2.81 and 2.74, respectively); however, wound classification did not appear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superficial or organ/space SSIs. Clean/contaminated, contaminated, and dirty cases were at increased risk for a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contaminated and dirty cases also had higher odds of reoperation and 30-day mortality. Conclusions Analyzing a multi-center database, we found that wound classifica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overall complications, reoperation, and mortality, but not an adequate predictor of surgical site infections. When comparing infections for a given wound classification, plastic surgery had lower overall rates than the surgical population at large.

승모판막질환의 판막재건술36례 성적 (Clinical Results of Mitral Valve Repair)

  • 장봉현;한승세;김규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1호
    • /
    • pp.70-81
    • /
    • 1988
  • From January 1962 to March 1987, 97 patients underwent operation for mitral valve disease. Of these patients, 61 [62.9%] required mitral valve replacement. Thirty-six patients [37.1%] had mitral valve repair. The mean age was 26.9*11.6 years [range 5 months to 48 years]. There were 32 [88.9%] cases of rheumatic valve disease, 4 [11.1%] cases of congenital mitral valve disease. Valve dysfunc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ype I [normal leaflet motion], 6 patients; type II [prolapsed leaflet], 1 patient; type III [restricted leaflet motion], 29 patients. Twenty-nine patients [80.6%] had pure or predominant stenosis and 7[19.4%] had pure regurgitation. No patient was in NYHA functional class I. Three patients [16.7%] were in functional class II, 15[83.3%] were in functional class II. The techniques used included closed mitral commissurotomy [16 patients], open mitral commissurotomy [13 patients], localized Wooler type annuloplasty [4 patients], suture repair of leaflet defect [3 patients], chordal shortening [1 patient], Carpentier ring annuloplasty [1 patient], and fenestration of fused chordae [1 patient]. There were two perioperative deaths [5.6%], related to left ventricular failure and reoperation. The survivors were followed up for 94 patient-years [mean 4.68*5.54 years]. One late death [1.1*1.1% per patient-year] occurred and was valve related. Reoperation was required in 3 patients, of whom 2 were deaths. There was 1 case [1.1*1.1% per patient-year] of thromboembolism. No patient received anticoagulant after operation. At 10 year, 92*7.4% of the patients were still alive. The actuarial survival rate of patients free of valve-related complication was 79*6.4% at 6 years, 27*12.1% at 11 years. After surgery, 18 patients [88.9%] were in NYHA functional class I or II.

  • PDF

갑상선암 수술 후 재발한 경부림프절의 위치 확인에 있어서 초음파 유도하 참숯 현탁액 표식의 유용성: 예비보고 (Usefulness of Sonography Guided Charcoal Suspension Tattooing in Localization of Cervical Nodal Recurrence after Thyroidectomy: Preliminary Report)

  • 이종철;한명월;이정현;노종렬;남순열;김상윤;최승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39
    • /
    • 2011
  • Objectives The high sensitivity of ultrasound and thyroglobulin determination for follow-up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allows early detection of nonpalpable recurrences. Intraoperative localization of these small foci in previously dissected necks is a surgical challenge. We assessed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ultrasound-guided tattooing (US-tattoo) with a charcoal suspension for localizing nonpalpable cervical recurrences after thyroidectomy for thyroid cancer. Subject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9 and December 2010,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9 patients who underwent US-tattoo with injection of a charcoal suspension for recurrent thyroid papillary cancer on central neck compartment after thyroidectomy. All patients underwent the surgical dissection after US-tattoo. The complications and effectiveness of US-tattoo were evaluated. Results The technical success rate of US-tattoo for suspicious lesions was 100%. There was no complication with regard to US-tattoo. During surgery, all but one tattooed lesions were detected by surgeons. On final pathologic reports, all recurrence lesions but two cases were successfully removed. Conclusion Preoperative US-tattoo i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for successful reoperation of central neck compartment recurrences after thyroidectomy.

  • PDF

Minimally Invasive Procedure versus Conventional Redo Sternotomy for Mitral Valve Surgery in Patients with Previous Cardiac Surge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Muhammad Ali Tariq;Minhail Khalid Malik;Qazi Shurjeel Uddin;Zahabia Altaf;Mariam Zafar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6호
    • /
    • pp.374-386
    • /
    • 2023
  • Background: The heightened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repeat cardiac surgery are well documented. Redo median sternotomy (MS) and minimally invasive valve surgery are options for patients with prior cardiac surgery who require mitral valve surgery (MVS).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omparing the outcomes of redo MS and minimally invasive MVS (MIMVS) in this population. Methods: We searched PubMed, EMBASE, and Scopus for studies comparing outcomes of redo MS and MIMVS for MVS. To calculate risk ratios (RRs) for binary outcomes and weighted mean differences (MDs) for continuous data, we employed a random-effects model. Results: We included 12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ies, comprising 4157 participants (675 for MIMVS; 3482 for redo MS). Reductions in mortality (RR, 0.54; 95% confidence interval [CI], 0.37-0.80), length of hospital stay (MD, -4.23; 95% CI, -5.77 to -2.68), length of intensive care unit (ICU) stay (MD, -2.02; 95% CI, -3.17 to -0.88), and new-onset acute kidney injury (AKI) risk (odds ratio, 0.34; 95% CI, 0.19 to 0.6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favored MIMVS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ortic cross-clamp time, cardiopulmonary bypass time, or risk of perioperative stroke, new-onset atrial fibrillation, surgical site infection, or reoperation for bleeding (p>0.05). Conclusion: The current literature, which primarily consists of retrospective comparisons, underscores certain benefits of MIMVS over redo MS. These include decreased mortality, shorter hospital and ICU stays, and reduced AKI risk. Given the lack of high-quality evidence,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 trials with adequate power are necessary to investigate long-term outcomes.

Inpatient or outpatient total elbow arthroplasty: a comparison of patient populations and 30-day surgical outcomes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National Surgical Quality Improvement Program

  • David Momtaz;Farhan Ahmad;Aaron Singh;Emilie Song;Dean Slocum;Abdullah Ghali;Adham Abdelfattah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4호
    • /
    • pp.351-356
    • /
    • 2023
  • Background: Total elbow arthroplasty (TEA) is uncommon, but growing in incidence. Traditionally an inpatient operation, a growing number are performed outpatient, consistent with general trends in orthopedic surge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EA outcomes between inpatient and outpatient surgical settings. Secondarily, we sought to identify patient characteristics that predict the operative setting. Methods: Patient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National Quality Improvement Program. Preoperative variables, including patient demographics and comorbidities, were recorded, and baseline differences were assessed via multivariate regression to predict operative setting. Multivariate regression was also used to compar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ithin 30 days. Results: A total of 468 patients, 303 inpatient and 165 outpatient procedures, were identified for inclusion. Hypoalbuminemia (odds ratio [OR], 2.5; P=0.029), history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order or pneumonia (OR, 2.4; P=0.029), and diabetes mellitus (OR, 2.5; P=0.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patient TEA, as were greater odds of any complication (OR, 4.1; P<0.001) or adverse discharge (OR, 4.5; P<0.001) and decreased odds of reoperation (OR, 0.4; P=0.037). Conclusions: Patients undergoing inpatient TEA are generally more comorbid, and inpatient surgery is associated with greater odds of complications and adverse discharge. However, we found higher rates of reoperation in outpatient TEA. Our findings suggest outpatient TEA is safe, although patients with a higher comorbidity burden may require inpatient surgery. Level of evidence: III.

폰탄 술식 후에 시행한 재수술 (Reoperations after Fontan Procedures)

  • 이철;김용진;이정렬;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7호
    • /
    • pp.457-462
    • /
    • 2003
  • 배경: 기능적 단심실에 대한 폰탄 술식은 그동안 많은 기술적 변형을 거쳐오면서 최근에는 그 수술성적이 크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폰탄 술식을 시행받은 환자들이 장기 생존하게됨에 따라서 혈역학적 이상이나 난치성 심방 부정맥 등의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재수술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폰탄 술식 후 시행한 재수술 예들에 대하여 후향적 임상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 1월부터 2002년 12월 사이에 폰탄 술식 후 재수술을 시행받았던 2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폰탄 수술 당시의 연령의 중앙값은 3.3세였으며 재수술 당시의 연령의 중앙값은 9.2세였다. 처음에 시행받았던 폰탄 술식의 종류로는 심방-폐동맥 연결이 11예, 심방내 외측통로 폰탄이 11예, 그리고 심장외 도관 폰탄이 2예 있었다. 재수술의 적응증으로는 방실판막 역류(n=7), 심방 부정맥(n=8), 폰탄경로의 협착(n=7),그리고 잔존 우-좌 단락(n=5)등이 있었다. 결과: 재수술 시 시행된 술식으로는 방실판막 치환술(n=6), 심방내 외측통로 폰탄으로의 전환술(n=5), 심장외 도관 폰탄으로의 전환술(n=3), 그리고 부정맥 수술(n=7) 등이 있었다. 수술 사망은 없었고 2명의 만기 사망이 있었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2.7$\pm$2.1년이었으며, NYHA 기능분류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I 등급으로(n=20) 술전에 비하여 향상되었다. 심방 부정맥으로 수술을 시행받은 8명의 환자 중 7명이 정상 동율동으로 전환되었다. 결론: 폰탄 술식 후 부작용으로 인한 재수술은 낮은 수술 사망률 및 유병률로 시행될 수 있었다. 폰탄 술식, 특히 초기의 심방-폐동맥 연결 술식을 시행 받은 환자들에게 방실판막 역류, 난치성 심방 부정맥, 폰탄경로의 협착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할 경우 폰탄 전환술 혹은 적절한 술식을 시행함으로써 임상적 혹은 혈역학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조직판막을 이용한 대동맥판막치환술의 중기성적 (Midterm Results of Aortic Valve Replacement Using Tissue Valve)

  • 문덕환;이재원;김윤석;조원철;정성호;주석중;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27-634
    • /
    • 2010
  • 배경: 조직판막의 내구성은 심장 판막 수술에서 기계판막과 조직판막을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본 연구는 조직판막이 사용된 대동맥판막치환술의 중기성적을 분석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는 1990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조직판막을 이용하여 대동맥판막치환술을 시행한 38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평균 관찰 기간은 $46.7{\pm}40.8$월(0~196개월)이었으며 외래 경과 기록과 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380명의 환자에서 389예의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69{\pm}9$세, 남녀 비는 227 : 162였다. 조기 사망은 15명 (3.9%)이었다. 1년, 5년, 10년 생존율은 92.3%, 78.1%, 54.2%였다. 재수술의 l년, 5년, 10년 회피율(Freedom from reoperation)은 98.4%, 97.1%, 91.7%였으며 구조적 판막 손상 1년, 5년, 10년의 회피율(Freedom from structural valvular deterioration)은 96.1%, 92.3%, 88.0%였다. 수술 전 위험인자의 다변량 분석에서 젊은 나이 (p<0.001)가 재수술의 위험인자였으며 수술 후 판막 부하 최고속도(p=0.034)와 젊은 나이(p=0.029)가 구조적 판막 손상의 위험인자였다. 고령(p=0.001), 장시간의 심폐기사용(long bypass time) (p=0.035), 관상동맥 우회술을 동시에 실시한 경우(concomitant CABG) (p=0.003), 술 전 중등도 이상의 좌심실 기 능부전(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40%) (p=0.003)이 조기 사망의 위험인자였으며 술 전 신기능저하(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60 mL/min) (p=0.025)와 지속적인 좌심실비대(persistent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p=0.032)가 만기 사망의 위험인자였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조직판막을 이용한 대동맥판막치환술은 재수술과 구조적 판막 손상 회피율 등의 측면에서 만족할 만하다고 할 수 있으며, 향후 더 많은 환자에서 보다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아 환자에서 Ross 수술 성적 보고: 아산병원 10년 경험 (The Ross Procedure in Pediatric Patients: 10 Years Experience at the Asan Medical Center)

  • 김희중;서동만;윤태진;박정준;박인숙;김영휘;고재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05-310
    • /
    • 2009
  • 배경: Ross 수술은 대동맥 질환을 가진 소아 환자에서 좋은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보고가 드물다. 이 연구는 소아에서의 Ross수술에 관하여 아산병원의 10년 동안의 중기 성적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3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16세 이하인 18명의 환자가 Ross 수술을 시행 받았다. 남자 환자는 11명, 여자 환자는 7명이었다. 환자의 중위수 나이는 8.5세 ($0.5\sim14$세)였다. 대동맥 판막 병태생리는 대동맥 부전증이 6예, 대동맥 협착증이 4예, 대동맥 협착부전증이 7례 그리고 감염성 심내막염이 1예였다. 판막 형태는 이첨판이 11예, 삼첨판이 7예였다. 모든 환자의 수술은 근부 치환술로 시행하였다. 폐동맥 판막은 심막으로 만든 단엽판막 팻취를 사용한 1예를 제외하고, 모두 동종이식 판막으로 대치되었다. 추적 관찰의 평균 기간은 52.8개월이었다($5.8\sim138.2$개월), 심장 초음파 자료를 검토하여 자가이식 판막 부전, 동종 이식 판막 부전, 그리고 재수술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추적 관찰 기간중 병원 내 사망과 후기 사망은 없었다. 2예에서 자가이식 판막 부전이 2등급이었고, 4예에서 자가이식 판막 부전이 1등급이었으며 나머지 경우는 역류가 없거나 근소하였다. 폐동맥 위치 도관에 의한 재수술이 3명에서 4회 있었다. 5년 재수술이 없는 생존률은 72.2%였다. 연속적인 경과 관찰에서, 대동맥륜(aortic annulaus)과 대동맥굴(aortic sinus)의 z-value는 수술 전 $1.6{\pm}1.7/0.9{\pm}1.7$에서 마지막 검사에서 $1.8{\pm}1.6$ (p=0.64)/$2.2{\pm}0.9$ (p=0.01)로 변화되었다. 신대동맥 근부의 성장과 신대동맥 부전의 의미 있는 연관성은 없었다. 결론: 소아 환자에서 Ross수술의 중기 결과는 좋은 자가이식판막의 기능과 성장 잠재력을 보여줬다. 그러나, 동종 이식 판막의 기능 부전으로 인한 재수술은 주요 문제로 관찰되었다.

우심실-폐동맥 간 도관 이식술의 21년간의 경험 (Twenty-one Year Experience with Right Ventricle to Pulmonary Artery Conduit Interposition)

  • 곽재건;유재석;김용진;김웅한;이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417-422
    • /
    • 2008
  • 배경: 폐동맥 판막 협착 혹은 형성 부전에 대한 수술적 치료로서 다양한 종류의 우심실-폐동맥간 도관들이 사용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한 센터에서 시행되어 왔던 우심실-폐동맥간 도관 이식술에 사용된 각종 도관들의 수술 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6월부터 2006년 7월까지 245명의 환자(남 : 여=135 : 110)에게 시행된 410건의 우심실-폐동맥간 도관 이식술의 수술 결과를 후향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수술 당시의 나이는 재수술 및 그 이후의 수술을 모두 포함하여 $3.2{\pm}4.9$세(7일$\sim$45세)였으며, 수술 당시의 체중은 $12.5{\pm}8.7\;kg$ ($2.4{\sim}76.3\;kg$)이었다. 환자의 진단은 폐동맥 판막 형성 부전 혹은 협착, 완전 대혈관 전위,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증, 수정형 대혈관 전위, 총동맥간증, 폐동맥 판막 형성부전 증후군, 좌심실 유출로 협착을 동반한 대동맥궁 단절증 등이었다. 결과: 수술 시 사용된 도관은 Polystan valved conduit, Shelhigh, Carpentier Edward valved conduit, Dacron 도관에 인공 판막을 넣어 제작한 도관, 판막을 포함하지 않은 Gore Tex vascular graft, 동종 이식편, hand made conduit 등이었다. 환자들의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6.3{\pm}5.2$년이었다. 수술 사망은 5.3% (13명)였으며, 만기 사망은 3.6% (9명)이었다. 환자들 중 131명에게서 재수술이 이루어졌으며, 31명에서 세 차례, 3명에서 네 차례의 수술이 행해졌다. 재수술로부터의 자유도는 5년, 10년, 15년에 각각 67.3%, 48.5%, 38.4%였다. 수술 시 사용된 도관의 종류별 성적을 비교하였을 때 동종 이식편의 성적이 가장 좋았으며, 그 다음으로 Dacron 도관에 인공 판막을 넣어 제작한 도관, Carpentier Edward valved conduit이 각각 좋은 성적을 보였다(p-value=0.031). 도관의 크기별 성적을 비교하였을 때 크기가 클수록 재수술율이 낮음을 보였다(p-value<0.001). 결론: 다양한 종류의 도관들이 개발, 사용되어 왔지만, 동종 이식편이 가장 좋은 내구성을 보였으며, 크기가 큰 도관일수록 오래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우심실 폐동맥간 도관의 5년 재수술율은 35%에 달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새로운 도관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