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nal vein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초

기립성 단백뇨를 동반한 Nutcracker 증후군 환아에서의 메산지움 증식성 병리소견 1례 (Mesangial Hypercellularity in a Patient with Nutcracker Syndrome and Orthostatic Proteinuria)

  • 이은주;하태선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0권1호
    • /
    • pp.83-88
    • /
    • 2006
  • 기립성 단백뇨는 안정시에는 요단백이 검출되지 않고 환동시에만 검출되는 양성질환으로, 정확한 병인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나 최근 그 원인으로써 nutcracker 현상을 보고한 바 있다. 대부분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하여 진단하고 추적관찰 동안에 저절로 단백뇨의 소실을 보이나, 본 증례의 경우, 24시간 소변의 단백이 1.5 g/일 이상 검출되고 3년 이상 지속되어 신조직의 병변을 알고자 신생검을 실시하여 메산지움 증식성 병리소견을 보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혈액투석 도관에 의한 중심정맥 폐쇄증의 수술치험 -1례 보고- (Central Vein Occlusion Secondary to Hemodialysis Catheterization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 -One Case Report-)

  • 이석열;이준복;이만복;염욱;이길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6호
    • /
    • pp.619-623
    • /
    • 1998
  • 우측 팔의 부종과 압통을 주소로 내원한 51세 만성 신부전증 환자에서 정맥 촬영술의 결과 반복된 쇄골하정맥 도관삽관술후에 생긴 중심정맥(우쇄골하정맥, 우내경정맥, 우상완두정맥과 좌무명정맥)의 폐쇄증을 Goretex 인조혈관을 이용하여 우쇄골하정맥-상공정맥에 10 mm Goretex 인조혈관 우회로 조성술과 좌쇄골하정맥-10 mm Goretex 인조혈관사이에 8 mm Goretex 인조혈관 우회로 조성술을 실시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 PDF

소아 Nutcracker 증후군의 자연 소실 (Spontaneous Resolution of Childhood Nutcracker Syndrome)

  • 김종민;최윤정;이재승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0권2호
    • /
    • pp.213-218
    • /
    • 2006
  • Purpose : Nutcracker syndrome refers to compression of the left renal vein(LRV) between the aorta and superior mesenteric artery(SMA) that results in elevation of pressure in the LRV and development of collateral veins. It must be considered as a possible factor when hematuria or proteinuria occurs in a healthy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time to spontaneous resolution in childhood nutcracker syndrome, and to observe whether this is affected by sex, age, proteinuria or initial ratio of peak velocity of LRV. Methods : We investigated 26 patients who were found to have spontaneous resolution by follow-up Doppler ultrasonography among 117 patients diagnosed with nutcracker syndrome by renal Doppler ultrasonography from May 2001 to December 2005. We determined the time to spontaneous resolution in childhood nutcracker syndrome, and observed whether the duration was affected by sex, age, proteinuria or initial ratio of peak velocity. Results : 26 patients(59%) achieved spontaneous resolution by 1.2 years(mean). The time to spontaneous resolution of childhood nutcracker syndrome in 26 patients was $16.71{\pm}9.99$ months(range 6.0-49.2). The time to spontaneous resolution was not affected by sex, age, proteinuria nor initial ratio of peak velocity of LRV. Conclusion : More than half of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by renal Doppler ultrasonography achieved spontaneous resolution. The time to spontaneous resolution was not affected by sex, age, proteinuria nor initial ratio of peak velocity of LRV.

  • PDF

Computed Tomographic Features of Gallbladder Agenesis in a Golden Retriever

  • Yujung Lee;Dongjun Kim;Jeongin Choi;Youngwon Lee;Hojung Choi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3-48
    • /
    • 2024
  • A two-year-old, intact female Golden Retriever had previously been diagnosed with a portosystemic shunt (PSS) during an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t a local animal hospital. The serum biochemistry revealed elevated liver enzymes and bile acid levels. The abdominal radiographic examination revealed mild serosal detail loss and microhepatica, while abdominal ultrasonography revealed mild ascites and high-velocity flow to the caudal vena cava (CVC) suspected as a PSS. The gallbladder was not observed within the hepatic parenchyma during ultrasonography. Computed tomography (CT) revealed an absent gallbladder and dil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CBD). Dilations of the gastroduodenal, splenic, colic and renal veins were also observed. A dilated left phrenico-abdominal vein that entered the CVC was previously misinterpreted as a PSS on the ultrasound examination. Based on the imaging examinations, the dog was diagnosed with congenital gallbladder agenesis associated CBD dilation.

혈액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중심 정맥 협착의 혈관성형술 후 호전된 대뇌 정맥 고혈압: 증례 보고 (Resolved Cerebral Venous Hypertension after Angioplasty of Central Venous Stenosis in a Hemodialysis Patient: A Case Report)

  • 강희민;박성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206-211
    • /
    • 2022
  • 혈액투석 환자에서 중심정맥 협착은 비교적 흔한 합병증이다. 하지만 중심정맥 협착으로 인해 대뇌 정맥 고혈압과 이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하는 것은 비교적 드물다. 중심정맥협착으로 인해 발생한 좌측 내경정맥으로부터의 역행성 혈류로 대뇌 정맥 고혈압이 발생한 63세 남성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중심정맥 협착에 대한 치료를 받은 후 증상 및 치료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역행성 혈류를 의미하는 time-of-flight 신호가 소실되었다.

Anticoagulation after pancreatic surgery with venous resection (TIGRESS): What should we do? Results from an international survey

  • Thomas B. Russell;Debora Ciprani;Somaiah Aroori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23-426
    • /
    • 2023
  • Backgrounds/Aims: Patients who undergo pancreatic surgery with venous resection have high rates of morbidity/mortality. Also, they are high-risk for postoperative venous thromboembolism. Whether this group should be routinely anticoagulated is unknown.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current anticoagulation practices. Methods: A survey (https://form.jotform.com/220242489107048) was sent out to pancreatic surgeons. Questions covered center volume, venous resection/reconstruction techniques and anticoagulation policies. Results: Sixty-five centers from 17 countries responded. Following a "side-bite" venous resection with a patch repair, 40% used an autologous vein patch, 27% used peritoneum, and 27% used a bovine patch. After formally resecting a segment of vein, 17% of centers used an interposition graft (IG). Left renal vein (41%) and polytetrafluoroethylene (73%) graft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autologous and prosthetic IGs, respectively. Following a prosthetic IG, an autologous IG, and a "side-bite" resection, 59%, 28%, and 19% of centers provided therapeutic anticoagulation, respectively (66% used low molecular-weight heparin). The duration of therapy provided varied from inpatient stay only (14%) to six months (32%). Conclusions: Our global survey indicates that anticoagulation practices are highly variable. Centers do not agree on when to anticoagulate, how to anticoagulate, or the duration of therapy. A robust trial is required to provide clarity.

하대정맥에 발생한 평활근육종 - 1예 보고 - (Leiomyosarcoma of the Inferior Vena Cava - A case report -)

  • 박재홍;김명영;황상원;김한용;유병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75-278
    • /
    • 2009
  • 하대정맥에 생기는 평활근육종은 매우 드문 악성종양이다. 평활근육에서 기원하는 종양은 대정맥의 가장 흔한 원발성 종양이며, 하대정맥이 가장 흔히 발생하는 곳이다. 환자는 65세의 여자 환자로 입원 3주전부터 시작된 호흡곤란과 복부 불쾌감을 호소하여 내원 하였다.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하대정맥 조영술에서 우심방에서 우측 신정맥 위까지 확장된 하대정맥 종양이 보였으며, 또한 하대정맥을 폐쇄시키고 있었다. 하대정맥의 평활근육종으로 진단 후 수술은 종양을 제거하고, 하대정맥을 인조혈관 패치를 이용하여 재건하였다. 수술 후 6개월 간의 추적 관찰 중에 실시한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재발과 하대정맥의 폐쇄소견은 없었다.

Altered Regulation of Renal Nitric Oxide and Atrial Natriuretic Peptide Systems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Kidney Injury

  • Bae, Eun-Hui;Kim, In-Jin;Ma, Seong-Kwon;Lee, Jong-Un;Kim, Soo-W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5권5호
    • /
    • pp.273-277
    • /
    • 2011
  • Nitric oxide (NO) and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may induce vascular relaxation by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GMP), an important mediator of vascular tone during sepsi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regulation of NO and the ANP system is altered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kidney injury. LPS (10 $mg{\cdot}kg^{-1}$) was injected in the tail veins of male Sprague-Dawley rats; 12 hours later, the kidneys were removed. Protein expression of NO synthase (NOS) and neutral endopeptidase (NEP) was determined by semiquantitative immuno-blotting. As an index of synthesis of NO, its stable metabolites (nitrite/nitrate, NOx) were measured using colorimetric assays. mRNA expression of the ANP system was determin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determine the activity of guanylyl cyclase (GC), the amount of cGMP generated in response to sodium nitroprusside (SNP) and ANP was calculated. Creatinine clearance decreased and fractional excretion of sodium increased in LPS-treated rats compared with the controls. Inducible NOS protein expression increased in LPS-treated rats, while that of endothelial NOS, neuronal NOS, and NEP remained unchanged. Additionally, urinary and plasma NOx levels increased in LPS-treated rats. SNP-stimulated GC activity remained unchanged in the glomerulus and papilla in the LPS-treated rats. mRNA expression of natriuretic peptide receptor (NPR)-C decreased in LPS-treated rats, while that of ANP and NPR-A did not change. ANP-stimulated GC activity reduced in the glomerulus and papilla. In conclusion, enhancement of the NO/cGMP pathway and decrease in ANP clearance were found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LPS-induced kidney injury.

관상동맥우회 재수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xperiences of redo-CABG)

  • 임상현;곽영태;이삭;장병철;강면식;조범구;유경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1호
    • /
    • pp.779-784
    • /
    • 2002
  • 최근 들어 관상동맥 질환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관상동맥 우회술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관상동맥 우회술은 영구적인 완전 교정술이 아니기 때문에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저자들은 관상 동맥우회 재수술의 임상결과를 후향적 방법으로 고찰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연세 심장혈관 병원에서 관상동맥우회 재수술을 시행 받은 1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12명, 여자:2명), 평균 연령은 61.7$\pm$7.1(47~72세) 세였다. 처음 수술 받은 날부터 재수술시까지의 평균 기간은 121.9$\pm$50.5(6.1~179.6 개월) 개월이었다. 재수술시 13명의 환자들은 일반적인 심폐체외순환하에 수술을 하였고 1명의 환자는 심폐체외순환 없이 수술을 시행하였다. 동반 수술로는 1명의 환자에서 승모판막 재치환술을 시행하였고, 1명의 환자에서는 승모판막륜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재수술은 모두 정중 흉골절개하에 시행하였다. 재수술시 사용한 이식 혈관은 좌측 내흉동맥과 대 복재정맥을 사용한 경우가 6례, 좌측 내흉동맥과 좌측 요골 동맥을 사용한 경우가 2례, 좌측 내흉 동맥과 위장관 동맥을 사용한 경우가 1례, 대 복재정맥만을 사용한 경우가 5례(1례는 cephalic vein도 같이 사용) 있었으며, 평균 이식 편수는 2.1$\pm$0.9(1~4개) 개였다. 결과: 14명의 환자들 중에서 수술과 관련한 사망이나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은 신부전증, 호흡부전 및 경막하 출혈이 각각 1례 있었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40.1$\pm$38.6(1.1~l18.5) 개월 이었다. 추적기간 중 1명의 환자가 재수술 후 13개월에 협심증이 재발했고, 2명의 환자가 재수술 후 14.8개월 및 116.3개월에 만성 신부전증으로 사망하였다. 추적 기간 중에 3명의 환자에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는데 이식 혈관들은 모두 개존성을 보였다. 마지막 외래 내원시 생존 환자들의 평균 Canadian class는 1.3이었고, 재수술 후 9년까지 사건(event)이 없을 확률은 71.4$\pm$6.9%였으며, 생존률은 90.0$\pm$9.5%였다. 결론: 관상동맥우회 재수술은 수술 후에 환자 상태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고, 장기간의 생존률도 우수하기에, 수술적응이 된다면 수술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관상동맥 우회술 292례의 중기 성적 (Mid-Term Results of 292 case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김태윤;김응중;이원용;지현근;신윤철;김건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643-652
    • /
    • 2002
  • 국내에서도 관상동맥 질환과 관상동맥 우회술이 증가하고 수술성적은 점차 나아지고 있으나 중장기 성적에 대한 보고는 미흡하다. 이에 저자들은 본원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받은 292례의 조기 성적과 중장기 성적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6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292례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남자는 173례, 여자는 119례였고 연령은 39세에서 84세까지로 평균 $61.8{\pm}9.1$세였다. 모든 환자에서 술전 위험인자, 수술방법 및 결과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수술후 퇴원한 환자에 대해서는 외래 추적검사를 통하여 증상의 재발과 만기 합병증 그리고 만기 사망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술전 임상진단으로 불안정형 협심증이 137례(46.9%), 안정형 협심증이 34례(11.6%), 급성 심근경색이 40례(13.7%),Q-wave가 나타나지 않는 심근경색이 25례(8.6%), 심근경색 후 협심증이 22례(7.5%), 심인성 쇽이 30례(10.3%), 경피적 관상동맥 풍선 확장술 실패가 4례(1.4%)였다. 술전 관상동맥 조영술상 삼혈관 질환이 157례(53.8%), 이혈관 질환이 35례(12.0%), 단일혈관 질환이 11례(3.8%), 좌주관상동맥 질환이 89례(30.5%)였다. 수술시 원위부 문합은 대복재정맥이 630례, 내흉동맥이 257례, 요골동맥이 50례, 우측 위대망막동맥이 2례였으며 환자당 평균 원위부 문합수는 $3.2{\pm}1.0$개였다. 18례에서 관상동맥 우회술 외에 인공판막 치환술 8례(2.7%), 좌주관상동맥 성형술 6례(2.1%), 심근경색후 심실중격결손의 첩포 봉합 2례(0.7%), 상행대동맥의 인조혈관 치환술 1례 (0.3%), 관상동맥 내막절제술 I례(0.3%)와 같은 동반술식이 행해졌다. 대동맥 차단 시간은 평균 $96.6{\pm}35.3$분 이었고, 심폐관류 시간은 평균 179.2${\pm}$94.6분이었다. 전체 조기 사망률은 8.6%이었으나 선택적 수술에서의 사망률은 3.1%였으며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6례(2.1%)에서 나타난 저심박출증이었다. 조기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고혈압, 70세 이상의 고령, 좌심실 박출계수 40% 미만의 좌심실기능 저하, 울혈성 심부전, 술전 대동맥내 풍선펌프, 응급 수술, 만성 신부전이었다. 생존한 환자 269례중 241례에서 추적관찰을 시행하였으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39.0127.0개월이었다. 만기 사망이 7례(2.9%)에서 있었으며 이중 4례가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이었고, 증상의 재발이 14례(5.8%)에서 발생하였다. 증상이 재발한 환자 14례중 13례에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준하여 재관상동맥 우회술, 관상동맥 중재술과 약물요법을 시행했고 1례를 제외한 12례에서 이후 증상의 재발은 없었다. 결론: 관상동맥 우회술후 조기 성적뿐 아니라 만기 사망과 증상의 재발 등에 관하여 지속적으로 추적관찰을 하여 비교적 만족할만한 성적을 얻었으나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술수기의 향상뿐 아니라 수술후 관리와 외래 추적관찰 등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