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ovable oral applianc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4초

구강내에서 재광화용액 (IN VIVO QUANTITATIVE ANALYSIS OF REMINERALIZATlON EFFECT OF REMINERALIZATlON SOLUTION )

  • 김명은;정영일;금기연;이찬영;노병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2호
    • /
    • pp.175-182
    • /
    • 2002
  • Dental caries is a chronic disease that causes the destruction of tooth structure by the interaction of plaque bacteria, food debris, and saliva. There has been attempts to induce remineralization by supersaturating the Intra-oral environment around the surface enamel, where there is incipient caries. In this study, supersaturated remineralized solution "R" was applied to specimens with incipient enamel caries,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remineralization was evaluated using microradiography. Thirty subjec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Removable appliances were constructed for the subjects, and the enamel specimen with incipient caries were embedded in the appliances. The subjects wore the intra-oral appliance for 15 days except while eating and sleeping. The removable appliance were soaked in supersaturated solution "R", saline, or Senstime$^{\circledR}$ to expose the specimen to those solutions three times a day, 5 minutes each time. After 15 days, microradiography was retaken to compare and evaluate remineralization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1. The ratio of remineralized area to demineralized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persaturated solution "R" and Senstime$^{\circledR}$ than in the saline (p<0.05) 2. Remineralization in the supersaturated buffer solution "R" occurred in the significantly deeper parts of the tooth. compared to the Senstime$^{\circledR}$ group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r fluoride. (p<0.05) As in the above results, the remineralization effect of remineralized buffer solution "R" on incipient enamel caries has been proven. For clinical utilization, further studies on soft tissue reaction and the effect on dentin and cementum are necessary In conclusion compared to commercially available fluoride solution. remineralization solution“R”showed better remineralization effect on early enamel caries lesion, so it is considered as effecient solution for clinical application.

가철성 유해자극차단장치를 이용한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치료 증례 (Case Report : Treatment of Burning mouth Syndrome Using a Removable Anti-Nociceptive Appliance)

  • 노병윤;안종모;윤창륙;유지원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1호
    • /
    • pp.1-7
    • /
    • 2012
  • 구강작열감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 BMS)은 특기할 임상적인 증상 없이, 구강 내에 나타나는 병적인 작열감 또는 통증을 지칭한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주로 혀 전방 그리고 측방에 증상이 나타나며, 경구개 전방, 입술 등의 다른 구강점막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원인은 분명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며,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염과 외상 같은 국소적 요인, 내분비 변화, 당뇨, 영양결핍(비타민, 아연 등), 철분 또는 엽산 결핍과 관련된 빈혈과 같은 전신적인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불안, 우울, 암공포증과 같은 심리적 요인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이 신경학적 병변에 의한 신경병변성 통증의 특성을 나타냄을 보고하고 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치료는 알려진 원인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 또한 여러 각도로 시행되고 있다. 그 중, clonazepam의 국소적 적용, capsaicin, alpha lipoic acid 투여 등의 약물요법이 주로 이루어지며, 저주파 에너지 레이저 조사, 침술요법과 같은 치료법도 보고되고 있다. 최근의 몇몇 연구들은 혀를 국소적 자극요인으로부터 보호하여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증상을 완화시킨 사례들을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구강작열감증후군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 하악 치아에 가철성 유해자극차단장치를 장착하여 증상이 개선된 증례를 소개하고, 구강 이상악습관과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연관성 및 이에 대한 치료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가철식 장치를 이용한 구강조직 자해 환자의 치료 (TREATMENT OF SELF-INJURIOUS BEHAVIOR WITH INTRAORAL APPLIANCE IN EPILEPSY PATIENTS)

  • 김익환;이고은;이제호;강정민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19
    • /
    • 2016
  • 본 증례의 환아들의 경우, PEG-tube를 통한 식이로 구강 위생관리가 용이하며, 사지마비 및 의식 저하로 스스로 장치의 탈착이 어렵다는 점에서 가철성 장치를 장착한 결과 양호한 치유 양상이 관찰되었다. 구강조직에 자해로 인한 손상이 발생한 경우, 환자의 병력, 현재 상태, 치료 기간 등을 고려하여, 환자에게 가장 바람직한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 가철성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구강 위생 관리 및 병소의 관찰을 위하여 주기적인 치과 검진이 필요하다.

뇌성마비환자에서 가철성장치를 이용한 상악 전치부 돌출 완화 : 증례보고 (MITIGAT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PROTRUSION WITH CEREBRAL PALSY USING REMOVABLE APPLIANCE : A CASE REPORT)

  • 민보람;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2-126
    • /
    • 2013
  • 14세 남환이 정기검진을 위해 내원하여 임상 구강검사 결과 상악 전치의 돌출과 상악궁 협착이 관찰되었다. 환아는 뇌성마비를 가지고 있었으나 간단한 설명을 이해하고 쉬운 지시를 수행할 수 있었으므로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교정치료를 시도하였다. 단계적이고 주의 깊은 접근을 통해 상악궁 협착 해소 및 상악 전치의 돌출을 완화할 수 있었다. 뇌성마비 환아의 경우 특징적으로 상악 전치의 돌출이 흔히 나타나는데, 이는외상의 위험에 쉽게 노출된다. 하지만 뇌성마비 환아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반사, 침 흘리기 습관, 행동조절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많은 임상의들이 교정 치료를 포기하게 된다. 적절한 환자 선정과 수행 가능한 치료목표를 세운다면, 뇌성마비 환아에서도 단계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조절과 약물을 이용하여 치료가 가능하다. 교정 치료를 통해 얻어진 상악 전치의 돌출 완화는 외상의 위험성을 줄이고 더 나은 심미성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임상의들은 뇌성마비 환아의 치료에 대한 인식 변화 및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뇌성마비 환아들은 더 나은 구강 건강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유구치의 편측치아절제술을 이용한 공간유지장치 (A CASE REPORT ON THE SPACE MAINTAINER USING PRIMARY MOLAR HEMISECTION)

  • 김준현;이제호;김성오;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76-780
    • /
    • 1997
  • Patient with alveolar abscess due to dental caries with severe alveolar bone loss, severe tooth mobility, root resorption need extraction of tooth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arry out pulp treatment and restoration by using conventional method. Early loss of primary molar might cause masticatory interference, extrusion of opposing tooth, problem in maintaining space and interference on eruption of permanent tooth. Especially, early loss of primary second molar before the eruption of permanent first molar might cause space closure by mesially erupted permanent first molar and impaction of second premolar. In such a case, distal shoe space maintainer and removable space regaining appliance was the first choice of treatment. But, distal shoe space maintainer need precise adaptation and might cause chronic inflammation if the oral hygiene is poor. In a case using removable space regaining appliance, patient's cooperation is most important. If the distal root of primary second molar is comparably sound and alveolar abscess with alveolar bone loss is localized at mesial root, hemisection should be carried out for precise guide to eruption of the permanent first molar, restoration of masticatory fuction and solution to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 PDF

ASC52 attchment 이용한 하악편측 유리단 회복의 일례 (A CASE REPORT ON THE UNILATERALLY DESIGNED MOLAR RESTORATION)

  • 이선형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4권4호
    • /
    • pp.377-379
    • /
    • 1976
  • Lower right first and second molar missings were restored by unilaterally desig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not to disturb the phonetic function. Terminal abutment teeth were splinted and ASC52 attachment aws used as a direct retainer. After that, oral examination and Roentgenographic examination were done periodically for 2 years. There were no remarkable changes on the abutment teeth and its surrounding structures. Also, there no phonetic disturbances by the appliance.

  • PDF

투명교정장치의 임상적 한계와 그 해결 (Clinical limitations and its solutions of the clear overlay appliance treatment)

  • 배기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7호
    • /
    • pp.563-574
    • /
    • 2016
  • A clear overlay appliance is a type of a removable appliance made from transparent thermoplastic plastic film that covers the entire dentition to move the teeth. It is one of the most favored orthodontic methods opted for by adult patients; this treatment is esthetic, does not cause discomfort and allows oral hygiene to be easily managed when compared to other conventional fixed treatment methods. However, the use of clear overlay appliances, such as invisalign or clear aligner, is associated with various clinical challenges. In particular, the appliances require longer treatment periods compared to fixed treatment, and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liances, it is difficult to make proper posterior occlusion and certain type of tooth movement, including extrusion, rotation and tip. Thus, the clear overlay appliances are regarded as supplementary appliances by most orthodontists and have been used for simple orthodontic treatments, such as partial anterior alignments or orthodontic relapse cases. Owing to the remarkable advancement in the field of 3D digital technology over a period of 15 years, the accuracy and convenience of modern clear overlay appliances have continuously improved. Moreover, orthodontic outcomes have also been greatly improved by the introduction of new materials and successful application of various biomechanical methods from conventional orthodontic treatments in the design of clear overlay applianc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linical limita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during the application of clear overlay appliances and also examines the efforts and methods used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 PDF

보철물 장착 환자의 구강 칸디다균 분포 (The Distribution of Oral Candida Species in Patient with Prosthetic Appliance)

  • 손승화;백수민;박영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77-487
    • /
    • 2014
  • 본 연구는 보철물 장착 환자의 구강 내 C. albicans 분포에 대한 연구로 구강 Candida 감염증의 주 원인균인 C. albicans의 분포를 측정한 후 감염 위험정도의 분석을 통해 보철물 장착 환자들에게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연구대상자의 성별, 흡연 및 음주유무, 구강 내 보철물 종류 및 장착 기간, 1일 칫솔질 횟수에 따른 C. albicans 집락 정도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들 중 11.6%에서 감염 1단계 이상의 분포를 보여 구강 Candida 감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타액 채취 부위별 C. albicans 분포를 분석한 결과 상악보다 하악의 설면에서, 입천장보다 혀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계의 분포를 보였다. 성별, 흡연 및 음주유무에 따른 C. albicans 분포는 여자보다 남자가, 흡연을 하는 경우보다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가, 음주를 하지 않는 경우보다 음주를 하는 경우에 구강 Candida 감염 단계 평균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 C. albicans의 단계별 분포는 구강 Candida 감염 3단계의 분포가 여자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남자는 1.4%의 분포가 관찰되었으며, 구강 Candida 감염 2단계 이상의 분포가 흡연 및 음주를 하는 경우에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 3.3%, 3.6%의 분포가 관찰되었다. 구강 내 보철물 중 가철성 교정장치보다 의치 혹은 임플란트를 장착한 경우 C. albicans의 분포에 더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보철물을 1년 이상 장착한 경우에 기간이 길어질수록 구강 Candida 감염 1단계 이상의 분포가 점점 높아졌다. 단, 7~9년 장착한 경우에는 100.0%의 0단계의 분포를 보였다. 1일 칫솔질 횟수에 따른 구강 Candida 감염 단계 평균 수치를 통해 구강위생관리와 C. albicans의 분포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칫솔질 횟수는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보철물 장착 환자의 성별, 구강 내 부위, 보철물 종류, 보철물 장착 기간이 구강 내 C. albicans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관련된 여러 요인들을 모두 추가, 보완하거나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구강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킬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Bar attachment와 Konus telescope를 이용한 부분 무치악 환자의 수복 (Clinical Appliance of Konus Telescope Denture and Bar-Retained Overdenture on Partially Edenturous Patient)

  • 최성호;심준성;이호용;이근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8권2호
    • /
    • pp.119-12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torate a patient who has a few remaining teeth with #15,23,24 supported Konus telescope denture in Maxillar and #44,43,33,34 supported Dolder bar retained overdenture in Mandible. Konus telescope and bar retained overdenture was taken better results in retention, support, stability compair with regular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Removable partial denture, the change of remaining teeth and edentulous ridge is natural. But Konus telescope and bar retained overdenture is a little effected in this change, so it is possiblble in long-term use. In cosider of patient's medical history and the possibility of additional tooth loss, Konus telescope denture can be easily repaired. Compaired with Konus telescope and bar retained overdenture showed high stability and easy cleansing because of rigid support, cross - arch splinting, and simple design. In delivery, patient had a difficulty with removal of denture and plaque control, but showed better condition, good oral hygienic care. Patient satisfied with denture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This study showed Konus telescope and bar retained overdenture was effective for treatment of patient remaing a few teeth in function, esthetic and psycologic satisfaction.

불안정한 하악운동을 보이는 환자에서 가철성 의치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using removable prosthesis of patient with unstable mandible movements: A case report)

  • 손동환;이양진;조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5-41
    • /
    • 2020
  • 구치부 지지소실과 편측 저작으로 교합이 환자는 불안정한 하악운동을 보이며, 이는 고령의 환자에서 복잡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교합붕괴와 이상 하악운동(Oral dyskinesia)을 보이는 환자에서 고딕아치 묘기법(Gothic arch tracing)과 스플릿 캐스트법(Split cast technique)을 이용하여 중심위와 습관적 전방 폐구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후 교합안정장치 형태의 임시의치를 사용하여 안정된 교합과 재현성 있는 하악운동을 회복하고자 하였고, 설측교합(Lingualized occlusion) 개념을 이용하여 총의치와 국소의치를 제작해 수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