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ote Device Control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35초

Power Line Communication을 이용한 반도체 Plasma 장비 전력시스템 원격제어 (The Electric Power System Remote Control Of Semiconductor Plasma Manufacturing Equipment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 이내일;김진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678-1679
    • /
    • 2007
  • This paper is the electric power system remote control of semiconductor plasma manufacturing equipment using PLC(power line communication). PLC is useful for economical data link but various problems and limitations are caused in using power lines for communications channel Develop of Semiconductor plasma manufactur ing equipment and remote automation technologies of tool develops day after day and standards. Also, Remote electric power control and device module control by GUIRCS(Graphic User Interface Remote Control System) of tool are monitoring in real time.

  • PDF

굴삭기를 이용한 해체 장비용 햅틱 장치 설계 (Design of A Haptic Device for Dismantling Process Using Excavator)

  • 김동남;오경원;홍대희;박종협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A
    • /
    • pp.1190-1194
    • /
    • 2007
  • Since the dismantling processes of building are very dangerou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develop a remote operating devices using joystick.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dismantling actuator that is usually an excavator, a novel concept of tele-operated haptic device is proposed. Operators who use this haptic device with additional environmental sensing devices can work safely away from the dangerous sites. First, based on the concept design of the haptic device, the workspace mapping from the haptic device to the excavator is explored. Second, the kinematics which deals with the conversion from the 3 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haptic device to the joint variable information of the backhoe is included. Lastly, 3D graphical simulation of both haptic device and the backhoe will be shown. This new design of the haptic device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gives the workers very convenient and transparent remote control capability.

  • PDF

AVRCP 기반의 블루투스 핸즈프리를 위한 음향반향제거기 설계 (Design Adaptive Acoustic Echo Canceller for AVRCP Bluetooth Hands Free)

  • 정용규;김경웅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3-38
    • /
    • 2009
  • 근래에 들어 많은 A/V 제품들이 AVRCP의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모바일 환경에 맞게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AVRCP는 고품질의 A/V 제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표준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AVRCP는 A2DP와 VDP 기술과 함께 모든 A/V장비들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콘트롤러와 타켓을 블루투스와 함께 적용해서 활용될 수 있다. 모바일 환경에서 블루투스 기술은 이동성은 물론 소형화와 복합화를 가능케 한다. 이런 블루투스를 적용할 경우 기존의 적외선방식의 리모콘에서 수행했던 것처럼, 콘트롤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A/V 장비에게 손쉽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런 원격 콘트롤러는 이런 AVRCP 프로토콜을 활용해서 A/V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이런 AVRCP 표준을 적용한 핸즈프리같은 제품에 일반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음향반향의 문제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DSP를 설계하였다.

  • PDF

원격 감시용 카메라의 자동 조향을 위한 Fuzzy 제어 (Fuzzy control of camera pan tilt device for remote surveillance system)

  • 정우태;박영수;윤지섭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3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22 Oct. 1993
    • /
    • pp.811-814
    • /
    • 1993
  • The development of fuzzy pan/tilt controller for remote handling in hostile environment is presented in this paper. In remote handling, control of the camera system is somewhat tedious and time consuming. Operators should do the two tasks of manipulating teleoperator and camera pan/tilt at the same time. By automating pan/tilt control, we expect operators could concentrate only on remote operation. When operators control camera pan/tilt they use simple linguistic rules such as "If the position of end effector on TV monitor is at the edge of the screen, control pan/tilt to display the end effector near the center of the screen." Such a rule is similar to fuzzy logic, so we used fuzzy logic controller to control camera pan/tilt. pan/tilt.

  • PDF

Deterministic Multi-dimensional Task Scheduling Algorithms for Wearable Sensor Devices

  • Won, Jong-Jin;Kang, Cheol-Oh;Kim, Moon-Hyun;Cho, Moon-Ha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10호
    • /
    • pp.3423-3438
    • /
    • 2014
  • In recent years, wearable sensor devices are reshaping the way people live, work, and play. A wearable sensor device is a computer that is subsumed into the personal space of the user, and is always on, and always accessible. Therefore, among the most salient aspects of a wearable sensor device should be a small form factor, long battery lifetime, and real-time characteristics. Thereby, sophisticated applications of a wearable sensor device use real-time operating systems to guarantee real-time deadlines. The deterministic multi-dimensional task scheduling algorithms are implemented on ARC (Actual Remote Control) with relatively limited hardware resources. ARC is a wearable wristwatch-type remote controller; it can also serve as a universal remote control, for various wearable sensor devices. In the proposed algorithms, there is no limit on the maximum number of task priorities, and the memory requirement can be dramatically reduced. Furthermor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asks, the complexity of the time and space of the proposed algorithms is O(1). A valuable contribution of this work is to guarantee real-time deadlines for wearable sensor devices.

홈네트워크를 위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장치 제어 및 UPnP 미들웨어 구현 (Implementation of UPnP Middleware and Device Control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for Home Network)

  • 김관형;전재환;강성인;오암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25-32
    • /
    • 2009
  • 본 논문은 홈 네트워크 구축에 있어서 저속의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UPnP 브릿지를 통하여 TCP/IP 기반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내부의 제어 모듈에 대한 통신은 저속 저력선 기반의 SCP( Simple Control Protocol)을 설계하여 각 장치들 사이를 연결하여 제어 할 수 있도록 구현 하였다. PLC 기반의 지능형 홈 네트워크 내부에 새로운 UPnP 장치가 연결 되었을 때는 등록된 UPnP 장치의 정보에 따라 UPnP 브릿지를 통하여 장치를 모니터링 하도록 기능을 구현하였다. 전력선 통신 기반의 장치 제어 및 각 장치에 대한 UPnP 장치로의 구현은 TCP/IP 기반의 원격 제어 및 장치 관리가 효율적이며, 홈 네트워크상의 다양한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쉽게 모니터링 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50KW 태양광발전의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of 50KW Photovoltaic System)

  • 박재범;김병목;신건;노대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7-1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배전지능화시스템과 정보 연계, 미래 지능형전력망 운용 및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등과 같은 신에너지전원의 단지를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하여, 유 무선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특성을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거리감시제어 장치를 제작하였다. 이 장치는 50KW급 태양광전원과 유 무선 네트워크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전압, 전류데이터를 무선네트워크로 장거리 전송하여, HMI 프로그램인 Autobase로 실시간 모니터링 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원거리 감시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50KW급 태양광 발전 데이터를 무선네트워크 기술로 전송받아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 결과를 분석하여 태양광발전량의 운용특성을 분석하였다.

가상 디바이스 네트워크상에서 불확실한 시간지연을 갖는 실시간 분산제어를 이용한 예지보전에 관한 연구 (Real-time Distributed Control in Virtual Device Network with Uncertain Time Delay for Predictive Maintenance (PM))

  • Kiwon Song;Gi-Heung Choi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4-160
    • /
    • 2003
  • 원격지에 위치한 분산제어 시스템과 센서 데이터 또는 제어 명령을 주고받을 때에는 불확실한 시간지연이 발생한다.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 데이터 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네트워크와 디바이스 네트워크를 결합한 가상 디자이스 네트워크도 불확실한 시간지연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시간지연은 분산제어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불안전성을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상에 내재하는 시간지연을 평가하고 부정적인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Smith Predictor를 적용하였다. 제안된 제어 알고리즘은 실시간 서보제어를 통하여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가상 디바이스 네트워크 개념에 근거한 분산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간 예지보전을 수행할 때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CEP 기반의 스마트 홈 IoT 디바이스 원격 제어 정책 관리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Smart Home IoT Device Remote Control Policy Management System based on CEP)

  • 김계영;문대진;조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76-578
    • /
    • 2016
  • 사물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스마트 홈 IoT 디바이스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홈 IoT 서비스의 핵심은 사용자가 인터넷 통신을 통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이다. IoT 디바이스들의 통신은 대부분 사설 네트워크 내에서 IP를 가지기 때문에 외부의 네트워크에서 접근하여 제어하는 원격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서로의 IP를 파악해 통신을 하는 UDP 홀 펀칭이 있다. UDP 홀 펀칭은 100%에 가까운 데이터 통신 성공률을 보장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 3단계 과정을 거쳐야한다. 본 논문은 UDP 홀 펀칭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원격제어에서 불필요한 단계를 생략시키기 위해 CEP 기반으로 원격 제어 정책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