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oughout the Chinese sphere, that i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aiwan, tea houses, tea stores, and tea meditation groups often without a particular religious orientation have appeared in the past decades. Tea lovers groups with various philosophical discussions appear throughout cyberspace, where people show their appreciation for tea as a drinkable delicious product and a spiritual tool. The question to be asked here is whether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religious or spiritual practice agent in and of itself? Should we then talk about the present-day movement of teaism? If we do recognize this as a spiritual phenomenon, should it then be labeled as a New Religious Movement? The trajectory of tea in China is intrinsically connected to religious traditions. This connection is historical, yet it plays a part in the contemporary religious and spiritual sphere. The article explores the continuation and developments of tea culture in the context of the religious sphere of China, looking at practices connected to tea of communities, religious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The author explores how tea drinking, commercializing and tea related practices intersect with politics, materiality, and spirituality in contemporary society. In this context it is then argued that tea is a cultural element, religious self-refinement tool, and an active material agent with social-political capacities. The study includes historical narratives, ethnographic data, and literary sources about tea, making up a genealogy of tea which encompasses ritualistic aspects, economic aspects, and power relations related to tea in Chinese society.
This article explores religious responses to significant cultural and social change in a northern Vietnamese delta village from 1996 to 2008-the second decade after de-collectivization. Drawing upon extensive fieldwork in both the village and surrounding religious networks, the article teases out the meanings of the new religious movements for northern rural people in the new era of market economy; the symbols, language, and metaphoric resources people used in response to their uncertainty and mistrust of the new social landscape; and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rapid societal development such as marginalization, tensions, and social disintegration. The article argues that as in milleniarism elsewhere, new religious movements in northern rural Vietnam embody unorthodox syncretism between world religious and local traditions, thus linking past, present, and future. However, when drawing upon a common reservoir of memories and experiences to cope with risks and challenges of the new market world, local people not only drew on the power and imperial metaphor of deities in their traditional religion and belief, but became more creative to recuperate meanings, standards, and symbols from revolutionary discourse to reorient themselves, and overcome alienation and marginalization.
태평천국운동은 현대중국의 성립과 관련하여 차지하는 특별한 위상으로 인하여 세계 여러 곳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상당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적 측면의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이 글은 이 점을 중시하여 태평천국운동과 기독교와의 관계 중 19세기 중국 개신교가 홍수전과 태평천국운동에 끼친 영향을 먼저 파악한다. 홍수전은 양발과 이사카 로버츠로부터 유일하신 존재 하나님께만 예배드려야 함을, 예수님을 구세주로 고백해야 함을, 그리고 성경을 배우고 익혀야 함을 깨달았다. 심오한 여러 기독교 사상을 배웠고 영생을 소망하며 천국과 지옥이 존재함을 믿었다. 그러나 이런 믿음을 이 땅에서, 특히 19세기 중국에서의 삶 속에 적용함은 이와는 다른 별개의 이야기였다. 우리가 잘 아는 것처럼 홍수전은 19세기 중국이라는 시공간적인 토대 위에 생성된 중국문화의 영향 아래 살아가고 있었다. 따라서 그의 서양 기독교적 믿음은 중국화 되고 또 그들 중국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문화와 세계관으로 재해석되어 실행되었던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ole of children in the Korean new religious movement, Daesoon Jinrihoe. The research method combined archival studies with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s with two members involved in educating youth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Youth Camps and Donggeurami, the order's youth magazine. Our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1. Do children play a central role in the millennial vision of this NRM? 2. Are children separated from the world? 3. Have Daesoon childrearing methods been challenged by secular authorities or anticult groups? 4. Are there procedures to educate children in the religious beliefs and values of their parents and the community? Our results found that Daesoon Jinrihoe appears to be a religion designed for adults. Children do not usually participate in religious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since 2005 there has been a strategic effort to educate the children in the faith of their paren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Youth Camps and the youth magazine, Donggeurami.
The map where so-called 'New Religion' of Korea in the Colonial Era is entangled with 'Religion (Christianity, Buddhism, Shindo)' recogniz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nationalism. Accordingly positive research on how religious ideal and ideology in 'New Religion' in Korea was practically applied and practiced in the society is a crucial task. Meanwhile there is survey data representing the status in the long term from 1860s to early 1930s in regard to 'New Religion' of Korea in the Colonial Era. In other words it is 'Pseudo Religion in Joseon' by Murayama Jijun published in 1935. Most part of them are shown through statistics data. In particular he took a look at the distribution of 'Pseudo Religion', ups and downs of religious influence, faith consciousness, its impact and religious ideological movement and social movement. Therefore, if this statistical data could be utilized through quellenkritik, it is thought to have value of significant reference in research on Korea's 'New Religion'. This paper utilizes many statistics included in the survey data among critical review on recognition in Murayama's 'New Religion in Korea' as basic texts. During the procedure this paper seeks to look at the geology of Korean 'New Religion' and attempts basic consideration in the quantitative term related to trend and ups and downs of the groups. Through this basic research I hope that 'public concern of New Religion' in modern Korea and research on re-establishment will move forward.
이병헌은 27세 때부터 면우 곽종석을 스승으로 섬겨 한주학(寒洲學)과 접한다. 한주학파는 당시로서는 개방적인 성향을 보였다는 점에서 이병헌의 사상 형성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병헌은 중국 강유위(康有爲)의 금문경학(今文經學)을 받아들이고 공자교(孔子敎) 운동을 전개하면서 성리학을 오히려 배척하였다. 서구문물을 접하고 강유위의 사상을 받아들인 뒤로 이병헌의 저술에서 한주학은 찾아볼 수 없다. 이병헌이 금문경학을 연구하게 된 것은 천(天), 상제(上帝) 대신 리(理)를 내세움으로써 유교를 철학으로 만든 성리학(性理學)을 떠나야 유교에 종교성을 다시 살려낼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공자를 교조로 추숭하고, 지금까지 성리학에서 중시하던 리(理), 경(敬)과 같은 개념을 버리고 "중용"의 성(誠)과 신(神)을 매우 중시하였다. 그리고 그 자신이 유교를 종교화하여 기도, 염송(念誦)과 같은 종교생활을 실천하였다. 그가 "중용"의 대효(大孝)를 하늘의 효자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기독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하다. 그는 유교를 종교로 만들기 위해 공자를 유일한 교조로 삼고 상제를 신으로 받들었다. 그가 요(堯) 순(舜) 우(禹) 탕(湯) 문(文) 무(武) 주공(周公) 등 전통 유가의 성인들을 젖혀두고 공자만을 교조로 추숭한 것은 불교, 기독교 등 의 종교에 교주가 한 사람이기 때문에 그렇게 한 것다. 그가 말하는 상제(上帝)는 기독교의 하느님과 통하는 것이었고, 나아가서 그는 유교 사상과 배치되는 불교의 윤회를 긍정하기도 하였다. 이병헌의 "경설(經說)"을 읽어보면, 유학이 망해가는 시대에 유학이 생존할 길을 찾기 위해 유학의 종교화를 선택한 것보다 유학이 종교라는 신념이 그의 내면에 더 먼저 자리했던 것 같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contrast Kierkegaard and Turing, whose birth dates were one hundred years apart, analyzing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mit. The model of analysis is two concentric circles and movement in them and on the boundary of outer circle. In the model, Kierkegaard's existential stages have 1:1 correspondences: aesthetic stage, ethical stage, religious stage A and religious stage B correspond to inside of the inner circle, outside of the inner circle, the boundary of the outer circle and the outside of the outer circle, respectively. This paper claims that Turing belongs to inside of the outer circle and moves to the center while Kierkegaard belongs to outside of the outer circle and moves to the infinity. Both of them have movement of potential infinity but their directions are opposite.
Religious architecture in the Gwangju and Jeonam regions played the role of local culture, and in particular, cathedral architecture maintains a consistent religious context and seeks to integrate with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overall data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Eucharistic adoration, which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religious aspect and the space in the cathedral, and used it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local cathedral architecture. The Eucharistic adoration was activated starting from the time when the Eucharist storage room was placed in the Middle Ages, and in 1979, when Pope John Paul II published a letter, and Bishop Na Gilmo of Incheon introduced the Eucharist, the Eucharistic adoration movement was activated in parishes across the country. However, regarding the Eucharistic adoration, a way to use its spatial meaning and religious use is still unknown, even to its believers. The Eucharistic adoration of the cathedral contains the main spiritual function of managing faith rather than the functions of mission, fellowship, and office work. An approach which composes the liturgical spaces in various architectural planning methods is necessary, but the fundamental and religious meaning must not be abandoned.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1905년 브레멘에서 일어난 교사들의 학교에서의 종교수업 폐지 운동에 관한 역사적 사건 문헌 연구다. 한국 기독교학회에는 아직 소개되지 않은 독일 종교교육사의 한 사건을 조망하면서, 이 사건 안에 얽혀있는 통시적·공시적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1905년 독일 브레멘을 중심으로 일어난 학교 종교수업에 대한 논쟁은 학교종교교육 역사에서 중립적 종교수업으로의 개혁을 공식적으로 요구한 최초의 사건이다. 그 배경에는 19세기 시민 사회의 성장, 과학과 학문의 발전, 사회민주주의 정치적 발달, 루터교회와 개혁교회의 갈등과 같은 다양한 촉발 요인이 존재한다. 이 논쟁의 공식 결과물인 '브레멘 문서'에서 교사들은 종교가 지극히 사적인 영역에 속한다는 논리로 학교와 교회, 종교와 교육이 분리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그리고 가치중립적인 도덕교육을 지향하며 객관적 '성서 역사 수업'을 제안한다. 1905년 브레멘 학교논쟁은 이후 1948년 브레멘 주 헌법, 1949년 독일 기본법의 종교교육 관련 법 조문에 영향을 미쳤다. 기본법 제 141조는 '브레멘 조항'이라고 불리며, 브레멘 종교수업에 교회가 관여할 수 없는 법적 근거를 제시하기 때문이다. '브레멘 문서'에서 요구된 성서 역사 수업은 오늘날 브레멘 종교교육 과정의 특징인 '성서역사수업'(BGU)의 모태가 된다. 결론 및 제언 : 1905년 브레멘 학교논쟁은 학교에서의 종교 중립적인 수업에 대한 최초 논의이다. '브레멘 학교 논쟁'의 배경, 내용, 영향을 살펴보면 오늘날 한국 기독교 학교교육의 논의에서도 놓치지 말아야 할 점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기독교 정체성을 지켜나가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