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eligious Tendency shown in 「Gyeongseol」 by Jinam Lee Byeong-hun

진암(眞庵) 이병헌(李炳憲)의 「경설(經說)」에 나타난 종교적 성향

  • Received : 2010.11.30
  • Accepted : 2010.12.24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Lee Byeong-hun was introduced to Hanjuhak when he was taught by Myeonwoo Gwak Jong-seok. It is assumed that Hanjuhak circles had a certain influence on formation of his ideas in that they had liberal tendency at that time. Lee Byeong-hun accepted Geummungyonghak developed by Gang Yu-wee of China and participated in Confucian Science Movement while excluding Confucianism. After he accepted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ideas of Gang Yu-wee, no traces of Hanjuhak was found in his writing, but it is assumed that Hanjuhak might work as a nutritious element for his ideas. He thought that religious nature of Confucianism could be revived only when he left Neo-confucianism which changed Confucianism into a philosophy by insisting reason instead of God. So, he respected Confucius as a religious founder and left such concepts as reason and respect which were considered important in Neo-confucianism and valued disposition and faith in "Jungyong", a doctrine of the Mean. He considered Confucianism as religious and joined in religious practices such as praying and reciting scriptures. He insisted that filial piety indicates a filial son of the Heaven when interpreting the following passage: Shun (Chinese leader) is a filial duty, which is assumed that he was influenced by Christianity. He respected Confucius as the only religious founder and God as the God to make Confucianism a religion. It is believed that he considered only Confucius as a founder instead of traditional Confucian sages as religion such as Buddhism and Christianity has one founder. God he thought is related with the God in Christianity and furthermore accepted reincarnation of Buddhism which is contrary to Confucian ideas. According to "Gyeongseol" by Lee Byeong-hun, it was believed that he was engaged in religion based on a faith that Confucianism is a religion rather than he pursued Confucianism as a religion to find out a way of its survival.

이병헌은 27세 때부터 면우 곽종석을 스승으로 섬겨 한주학(寒洲學)과 접한다. 한주학파는 당시로서는 개방적인 성향을 보였다는 점에서 이병헌의 사상 형성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병헌은 중국 강유위(康有爲)의 금문경학(今文經學)을 받아들이고 공자교(孔子敎) 운동을 전개하면서 성리학을 오히려 배척하였다. 서구문물을 접하고 강유위의 사상을 받아들인 뒤로 이병헌의 저술에서 한주학은 찾아볼 수 없다. 이병헌이 금문경학을 연구하게 된 것은 천(天), 상제(上帝) 대신 리(理)를 내세움으로써 유교를 철학으로 만든 성리학(性理學)을 떠나야 유교에 종교성을 다시 살려낼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공자를 교조로 추숭하고, 지금까지 성리학에서 중시하던 리(理), 경(敬)과 같은 개념을 버리고 "중용"의 성(誠)과 신(神)을 매우 중시하였다. 그리고 그 자신이 유교를 종교화하여 기도, 염송(念誦)과 같은 종교생활을 실천하였다. 그가 "중용"의 대효(大孝)를 하늘의 효자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기독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하다. 그는 유교를 종교로 만들기 위해 공자를 유일한 교조로 삼고 상제를 신으로 받들었다. 그가 요(堯) 순(舜) 우(禹) 탕(湯) 문(文) 무(武) 주공(周公) 등 전통 유가의 성인들을 젖혀두고 공자만을 교조로 추숭한 것은 불교, 기독교 등 의 종교에 교주가 한 사람이기 때문에 그렇게 한 것다. 그가 말하는 상제(上帝)는 기독교의 하느님과 통하는 것이었고, 나아가서 그는 유교 사상과 배치되는 불교의 윤회를 긍정하기도 하였다. 이병헌의 "경설(經說)"을 읽어보면, 유학이 망해가는 시대에 유학이 생존할 길을 찾기 위해 유학의 종교화를 선택한 것보다 유학이 종교라는 신념이 그의 내면에 더 먼저 자리했던 것 같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