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igious Life

검색결과 498건 처리시간 0.02초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 (Posttraumatic Growth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 최순옥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1호
    • /
    • pp.1-9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수준과 이에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및 돌봄관련 특성들을 심층 분석하여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간호중재 모색에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두 개의 종합병원과 일개의 대학병원에서 입원 및 외래 치료를 받고 있는 201명의 암환자의 가족돌봄자이다. 외상 후 성장은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 점수 평균은 3.10점이었다. 하위 요인별로는 자기 지각의 변화, 대인관계의 깊이 증가,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영적 종교적 관심의 증가 순이었다.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돌봄 관련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 수준의 차이는 나이, 종교, 종교생활의 중요성, 돌봄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암환자에 대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함에 있어 환자뿐 아니라 가족돌봄자들도 포함해야 한다. 또한 암환자 가족돌봄자가 환자의 암 투병 경험에서 궁극적인 성장에 도달할 수 있도록 자신들의 영적 종교적 신념을 유지할 수 있는 영적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일개 대학교 신입생과 예비졸업생의 우울수준과 그 관련요인 - 영적안녕과 신앙성숙도를 중심으로 (Depressive Symptom and Its Associates in College Freshmen and Seniors - Focus on Spiritual Well-being and Faith Maturity)

  • 김태규;장인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1-80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 spiritual well-being and faith maturity between college freshmen and seniors and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on their depressive symptom. Methods: The study wa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A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335 college students during June to July, 2010. Data were analyzed by ${\chi}^2$-test,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14.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depressive symptom was $17.55{\pm}11.24$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26.5% in college freshmen. And those in college seniors were $14.18{\pm}14.17$ and 17.4%. And tho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freshmen than in seniors. The depressive symptom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piritual well-being,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and faith maturity.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on depression in college freshmen include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subjective health status, age, and confidence of salvation ($R^2$=49.7%). And those in college seniors include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R^2$=53.3%). Conclusion: The counseling program and spirituality development program for preventing depression considering these affecting factors for especially college freshmen are necessary.

영화 『나쁜 교육』: 신성모독을 통한 반가톨릭정서의 표현에서 문화적 반영으로 (From anti-catholicism to cultural and sexual reflexion in Spain in the movie by Pedro Amodóvar)

  • 송선기
    • 비교문화연구
    • /
    • 제23권
    • /
    • pp.167-189
    • /
    • 2011
  • In modern Spanish culture, there is not other cineaste who has explored the controversial topic of sexuality deeper and more reiterative ways than Pedro $Almod{\acute{o}}var$. In our opinion, $Educaci{\acute{o}}n$> fundamentally, is a metaphoric work about the corruption of the Catholicism during Francisco Franco regime in Spain. This movie is a brilliant and solid critic to the abuses suffered by a child in a religious school during the Franco regime. This movie is about the forbidden desire in Catholicism and the tragic end of a priest. Father Manolo sexually abused one of his students at the school; as a result, this student loses his sexual identity and ends up ruining his own life due to using drugs. Eventually he is revenged by his younger brother. On this movie, $Educaci{\acute{o}}n$>, Pedro $Almod{\acute{o}}var$ portrays a sentiment of anticlericalism and blasphemy against God and Jesus Christ through a story which contains homosexual scenes and direct quotations of biblical cites, such as the expulsion of the merchants and sellers out of the temple in Jerusalem in the Mathew gospel to insinuate Jesus'lack of charity and love to others. We conclude that Almodovar's description of the fallout of this priest, caused by his forbidden desire, is not only beyond anti-Catholicism but it can also be seen as an actual reflection of the cultural and sexual change in the European and, in particular, Spanish society.

근대 여성기독교인의 영성형성과정 연구 : 황에스터와 어윤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iritual Formation Process of Modern Christian Women : Focusing on Hwang Ester and Eo Yoon Hee)

  • 김희영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4권
    • /
    • pp.369-407
    • /
    • 2020
  • 본 글은 근대 여성기독교인의 영성형성과정을 황에스터와 어윤희를 중심으로 연구한 글이다. 먼저 기독교 영성의 개념을 맥그래스(McGrath)의 정의 "기독교 영성은 진정으로 의미 있는 그리스도인의 존재에 대한 탐구이며, 기독교의 근본적인 개념들을 함께 묶어주어 삶과 연관시키는 것으로 기독교 신앙의 범위와 규범 안에서 살아가는 삶의 총체적인 경험이다"로 보며 '그리스도인의 존재'와 '총체적인 경험'에 초점을 두어 그리스도인의 존재됨은 제자됨으로, 총체적인 경험은 그 범위를 시민사회로 확장하여 시민됨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를 황에스터와 어윤희의 생애사를 통해 이들 여성의 영성을 제자됨과 시민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여성의 제자됨과 시민됨은 불가분의 관계이며, 참된 제자됨은 바른 시민됨으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신을 연기하기: 뮤리엘 스파크 소설의 자아반영성, 종교, 윤리 (Playing God: Self-Reflection, Religion, and Morality in Muriel Spark's Fiction)

  • 김희선
    • 영미문화
    • /
    • 제18권4호
    • /
    • pp.33-64
    • /
    • 2018
  • Through the experimental narrative construction by authorial divinity, Muriel Spark's novels and films based on her fiction show the difficulty of living like a human being under various inhumane and manipulative circumstances of the modern capitalistic society. By adopting flash-forward, self-reflection, and deceptive omnipotent viewpoints, her work has surprisingly predicted the post-modern trend in which humans are increasingly attracted and interpellated to the digitalized media. Muriel Spark called the recent anesthetic situation by stimulation "a driver's seat" because it is a symbol of how humans should act to maintain the critical subject. Emphasizing the value of self-reflection, religion and morality in the mechanized society, Muriel Spark stressed literature should play the role of helmsman who sails safely in the rough sea. In Muriel Spark's works, God is often synonymous with writers. As a Jewish immigrant she experienced alienation in Scotland, marital violence, prejudices of the London-based publishing world, Nazism, and Watergate. For her, the harsh reality of the modern society needs to be guided and complemented by something beyond human control. But rather than relying entirely on traditional Catholic doctrines such as Graham Greene and Evelyn Waugh, Muriel Spark has taken a personal, religious view of literature and insists that the genuine writer must play God's play. Seeking for the speculative vision for the future of human life in God's plan, she tries to understand the complex twisted motives of human beings which are often far from the ideal form. Simply put, her search of self-reflection, religion and ethics is modeled on the God's plan for the ideal human being who is supposed as the writer with the transfigurative imagination of the trinity.

의학과 신학의 융합 교육과정 개발, 의료선교의 역사적 사례, 연구개발 성과에 관한 연구 (The Design of Convergence Curriculum, the Historical Case of Medical Mission and the Research Initiative Outcome of Medicine and Theology)

  • 손문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5권
    • /
    • pp.133-161
    • /
    • 2021
  • 이 연구는 코로나-19 펜데믹의 상황 속에서 우리 사회의 취약성에 주목한다. 중증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019는 사스-코비드-2 바이러스의 심각성을 파생하고 그것의 의학적 치료 속에서 새로운 회복 탄력성의 희망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기독교 여성실천신학의 생태적 관계 속에서 사회와 환경의 지속가능한 회복 가능성을 제공한다. 연구자는 코로나-19 시대의 침체와 우울감을 절망과 통합의 기독교교육적 내러티브 속에서 해석학적 대안으로 제안한다. 특히 의학과 신학의 융합교육 과정 개발은 노인세대를 위한 의료선교와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교육적 모형으로 제네바대학교가 제공하는 역사적 사례로서 칼빈의 MOOC 강좌를 사례를 통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의학과 신학의 융합 교육과 연구의 개발 성과는 코로나-19의 심각성을 극복하며 신앙공동체의 새로운 회복과 복지를 위한 기독교교육의 도덕적 함의를 제공함으로 의미 있는 공헌을 하게 된다.

아마겟돈을 지나서 - 여호와의 증인이 말하는 지상낙원은 상상할 수 있는 것인가? - (Beyond Armageddon: Is the Jehovah's Witnesses' Paradise Earth Conceivable?)

  • 조지 크리사이드
    • 대순사상논총
    • /
    • 제32집
    • /
    • pp.237-267
    • /
    • 2019
  • 이 논문은 여호와의 증인을 특별히 언급하면서 지상낙원을 상상하는 문제를 고찰한다. 여호와의 증인과 기독교의 개신교 전통, 특히 그리스도 재림설과 미국의 근본주의와의 관계에 대한 설명 후, 워치타워 조직의 몇 가지 핵심 교리가 확인되며, 특히 미래의 지상낙원에 대한 그들의 믿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호와의 증인은 복원주의 운동으로서, 지상의 복원된 낙원을 찾아, 그들이 본래의 형태로 삼는 것으로 진정한 기독교를 복원시키려고 노력한다. 또한, 지상낙원에서의 물리적 수용 가능성, 동물의 위상, 가정생활, 언어, 기술 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근본적으로 다른 세계관을 가지고 있는 대순진리회의 지상천국과 간략하게 비교하며, 그러한 차이점이 대순진리회 등 한국의 자생종교에 비해 여호와의 증인이 한국에서 제한된 성공을 거둔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선의 해석과 중첩 효과로 표현된 작품연구 (Study of Artwork Expressed through Interpretation of Lines and Overlapping Effects)

  • 한아름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29-35
    • /
    • 2024
  • 선(線)의 역사를 보면 인류 문명의 시작과 함께 선은 종교적, 주술적 의미나 기록을 남기기 위해 동굴 벽이나 바위 표면에 새겨졌다. 시대가 변하면서 문자가 발명되었고, 이는 의사 표현과 기록의 수단으로 사용 되었으며, 회화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동양에서는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에 따라 자연을 빌어 선으로 자신 뜻을 화폭에 담았으며, 그림을 그리기 전이나 후에 자신의 심상을 화폭에 적기도 하였다. 선을 단순한 경계선이 아니라 대상의 생명감을 불러일으키는 기운의 현현(顯現)으로 여겨졌다. 하나의 선이 그어진다는 것은 우주 공간 속에 새롭게 태어나는 생명 최초의 작용으로 간주 되었다. 선 자체는 공간의 깊이와 표현 요소를 함축하고 있다. 많은 작가들이 문헌에 나와 있는 이론을 바탕으로 선을 시대에 맞는 감각과 재료를 사용해 발전시켜 왔다. 본 연구는 기록된 문헌과 자료를 통해 선의 개념과 동서양의 선묘적(線描的) 특성을 연구하고, 현대적 표현 방법으로 선의 중첩성을 활용하여 작품을 연구하고자 한다.

마쓰리(祭)와 신찬(神饌): 이세신궁과 천황의 제사를 중심으로 (Matsuri and Shinsen : Centering on the Rites of Ise Shrine and Emperor)

  • 박규태
    • 종교문화비평
    • /
    • 제32호
    • /
    • pp.13-54
    • /
    • 2017
  • 12만 개소에 달하는 일본 신사(神社)의 총본산이라 할 만한 미에현 이세시(伊勢市) 소재 이세신궁(伊勢神宮)은 황조신 아마테라스(天照大神)를 모시는 내궁(內宮=황대신궁(皇大神宮)) 과 식물신 도요우케(豊受大神)를 모시는 외궁(外宮=풍수대신궁(豊受大神宮))으로 이루어져 있다. 흔히 천황가의 조상신이라 말해지는 태양의 여신 아마테라스를 제사지내는 신사라는 점에서 역사상 천황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일본 신도에서 신에게 바치는 음식물 즉 신찬을 다루는 본 연구는 연간 약 1,500회나 거행되는 상기 이세신궁의 마쓰리 중 매일 조석으로 행해지는 일별조석대어찬제(日別朝夕大御饌祭)를 비롯하여 가장 대표적인 대제(大祭)인 신상제(神嘗祭, 간나메사이), 20년마다 한차례씩 행해지는 식년천궁제(式年遷宮祭),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고대 이래현대에 이르기까지 천황이 집전하는 각종 제사 가운데 가장 중요한 신상제(新嘗祭, 니이나메사이) 및 대상제(大嘗祭, 다이죠사이)를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때 본고의목적은 기본적으로 신찬의 유형과 주요 특징 및 그 신화적 배경과 역사적 변천과정 등을개략적으로 살펴본 후, 구체적으로 상기 마쓰리에 등장하는 신찬의 품목과 절차 등을 검토하면서 궁극적으로 신찬의 사회적, 종교적, 정치적, 문화적 의미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가령 신도 신찬의 사회적 의미는 농경사회적 특징, 고대 식생활과의 관계, 일본요리와의연관성, 현대사회에 있어 신찬의 의미 및 그것과 관련된 신불(神佛)관념의 문제등을 중심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신찬은 특히 신성, 생명, 재생의 관념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종교적 의미를 말할 수 있다. 한편 고대일본에서 정치는신에 대한 제사를 뜻하는 '마쓰리고토'라고 불렸으며, 천황의 최대 역할은 바로 신을 모시는 데에 있었다. 다시 말해 일본에서 정치란 신에게 신찬과 공물을 바치고 그 가호를 기원하는 데에서 시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신찬이 본래 정치와 밀접하게 연루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고는 고대 한일간 문화교류의 뚜렷한 흔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신찬의 문화적 의미를 조명하고 있다.

대순진리회의 인간관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 고병철
    • 대순사상논총
    • /
    • 제28집
    • /
    • pp.1-3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종교사의 맥락에서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향후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을 연구할 때 필요한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한국종교사의 맥락은 어떤 종교의 인간관이든지 특정한 역사적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다는 시각을 말한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연구 목적에 따라,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제2장 선행연구의 접근)는 인간관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는 부분이다. 여기서는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에 대한 선행연구를 심리학, 철학, 교육학, 비교 연구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보면, 인간관에 대한 연구 방식이 심리학적 접근과 경전 해석의 접근으로 시작해서, 철학적 접근, 교육적 접근, 그리고 다른 종교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다변화되고 있지만, 앞으로 인간관의 설명 요인들을 좀 더 다양화해서 인간관을 연구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두 번째(제3장 대순진리회의 인간관)는 6개의 요인들을 활용해서 인간관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6개 요인들은 '인간의 기원, 인간을 구성하는 요소, 죽음 이후 인간의 상태, 인간의 현실 인식, 인간 삶의 목표,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설명 요인들은 기존의 연구에 비해 인간관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세 번째(제4장 남는 문제)는 인간관 형성 요인들에 비추어봤을 때 앞으로 논의가 필요한 과제들을 추출하는 부분이다. 이 연구에서는 과제를 인간관의 내부 논리를 설명하기 위한 과제, 그리고 인간관 형성 요인들의 배경을 설명하기 위한 과제로 구분하였다. 인간관의 내부 논리와 관련해서는 인간의 기원·출생, 인간의 구성 요소, 사후 심판, 인간의 주체성, 인간이 처한 현실 인식, '선천-후천'의 구도에서 논의가 필요한 부분들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인간관 형성 요인들의 배경과 관련해서 대순진리회와 다른 종교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끝으로, 결론 부분에서는 인간관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인간관과 관련된 용어들을 '전경용어사전'에 포함시키는 과제, 교리와 그 쟁점에 대해 논의할 기구를 설치하는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종교학 연구자들이 한국의 주요 종교인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