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i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6초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o threat assessment of combat systems

  • Seung-Joon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7호
    • /
    • pp.47-55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전투체계 위협지수를 머신러닝 모델 중 Gradient Boosting Regreesor, Suppor Vector Regressor를 통해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현재 전투체계는 안전성과 신뢰성이 중시되는 소프트웨어이므로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은 AI 기술의 적용을 정책상 제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력화된 국내 전투체계는 AI 기술을 탑재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AI의 전력화를 목표로 하는 국방부의 정책 방향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투체계의 머신러닝 적용에 필요한 기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위협지수 평가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한 뒤 데이터 가공 및 정제, 머신러닝 모델 선정 및 최적의 하이퍼 파리미터를 선정하여 학습된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모델 점수가 99점 이상으로 도출되었으며 전투체계에 머신러닝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멀티 클라우드 서비스 공통 플랫폼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Cloud Service Common Platform)

  • 김수영;김병섭;손석호;서지훈;김윤곤;강동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75-94
    • /
    • 2021
  •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eeds a fus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ics, the Internet of Things (IoT), edge computing, and other technologies. For the fusion of technologies, cloud computing technology can provide flexible and high-performance computing resources so that cloud computing can be the foundation technology of new emerging services. The emerging services become a global-scale, and require much higher performance, availability, and reliability. Public cloud providers already provide global-scale services. However, their services, costs, performance, and policies are different. Enterprises/ developers to come out with a new inter-operable service are experiencing vendor lock-in problems. Therefore, multi-cloud technology that federatively resolves the limitations of single cloud providers is required. We propose a software platform, denoted as Cloud-Barista. Cloud-Barista is a multi-cloud service common platform for federating multiple clouds. It makes multiple cloud services as a single service. We explain the functional architecture of the proposed platform that consists of several frameworks, and then discuss the main design and implementation issues of each framework.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our proposal, we show a demonstration which is to create 18 virtual machines on several cloud providers, combine them as a single resource, and manage it.

LoRa CSS 확산 인자의 준직교 특성을 고려한 수신응답의 다중 게이트웨이 조화 전송 기법 (Harmonic ACK Transmissions from Multiple Gateway considering the Quasi-Orthogonal Characteristic of LoRa CSS Spreading Factors)

  • 변승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897-90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LoRa 네트워크의 신뢰성과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 게이트웨이의 수신 응답 조화 전송 기법 HAT-LoRa를 제안한다. LoRa 네트워크는 알로하류의 매체 접근 제어를 사용하여 충돌에 매우 취약한데, 데이터 패킷은 여러 게이트웨이가 수신하여 전달률을 일정 부분 보장할 수 있지만 수신응답 패킷은 단일 게이트웨이를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HAT-LoRa는 LoRaWAN의 여러 확산 인자로 동시에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다중 게이트웨이가 다른 논리채널을 이용해 수신응답을 동시에 전송하여 증가된 수신 기회를 제공한다. 제안 기법은 단일 게이트웨이와 이중 게이트웨이 환경에서 수신 응답의 기대 전송 시간이 각각 최대 55%와 60%, 평균 35%와 40% 줄어드는 결과를 보인다. 특히, 단말과 여러 게이트웨이와의 거리가 비슷한 환경에서 높은 성능을 나타낸다.

인공지능 기반의 자율형 교통정보 응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Autonomous Traffic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827-833
    • /
    • 2022
  • 본 연구는 교통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검지기 와 돌발 상황 검지에 사용되는 다양한 알고리즘들의 분석을 통해 기존 교통정보 수집체계의 한계를 극복하여 심각도가 높은 2차 교통사고를 예방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2차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돌발 상황과 기존 교통정보 수집체계를 분석하고 그에 알맞은 2차 교통사고의 선제적 예방이 가능한 솔루션 및 도로 전 구간에 대한 정확한 정보수집이 가능한 지능화된 새로운 교통정보 수집 및 전달체계를 제시한다. 실험결과 데이터 전송 신뢰도는 95% 기준 97%를, 데이터 전송 속도는 1000ms 기준 평균 209ms, 네트워크 장애복구 시간은 120sec 기준 50sec의 목표치를 달성하였다.

유관기관 정보 공유를 위한 지능형 해상교통정보 체계의 대용량 해양 정보 연계 시스템 기본 설계에 대한 연구 (Study on Basic Design of Maritime Information Gateway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about Korean e-Navigation Service)

  • 송용학;김현;김도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08-309
    • /
    • 2022
  • 해양수산부는 지능형 해상교통정보 체계 운영을 통해 제한된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한 해사안전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이러한 해상교통정보시스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신뢰성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실시간 운영 시스템의 연계를 위해선 성능 영향을 최소화하고 개인정보 보안을 처리한 후 연계할 수 있는 별도의 시스템 구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성능영향 최소화와 개인정보 보안을 반영한 지능형 해상교통 정보체계의 대용량 해양 정보 연계 시스템에 대한 기본 설계를 수행한다.

  • PDF

몰드 두께에 의한 팬 아웃 웨이퍼 레벨 패키지의 Warpage 분석 (Analysis of Warpage of Fan-out Wafer Level Package According to Molding Process Thickness)

  • 문승준;김재경;전의식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24-130
    • /
    • 2023
  • Recently, fan out wafer level packaging, which enables high integration, miniaturization, and low cost, is being rapidly applied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 particular, FOWLP is attracting attention in the mobile and Internet of Things fields, and is recognized as a core technology that will lead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such as 5G, self-driving ca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uture. However, as chip density and package size within the package increase, FOWLP warpage is emerging as a major problem. These problems have a direct impact on the reliability and electrical performance of semiconductor products, and in particular, cause defects such as vacuum leakag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lack of focus i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so technical demands for solving them are increasing. In this paper, warpage simula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FOWLP material was performed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The thickness range was based on the history of similar packages, and as a factor causing warpage, the curing temperature of the materials undergoing the curing process was applied and the difference in deform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materials was used. At this time, the stacking order was reflected to reproduce warpage behavior similar to reality. After performing finite element analysis,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on causing warpage was defined, and based on this, it was confirmed that warpage was controlled as intended through design modifications.

  • PDF

XAI기반 악성코드 그룹분류 결과 해석 연구 (Analysis of Malware Group Classification with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 김도연;정아연;이태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559-571
    • /
    • 2021
  • 컴퓨터의 보급 증가와 더불어 일반 사용자들에 대한 공격자들의 악성코드 배포 횟수 또한 증가하였다. 악성코드를 탐지하기 위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AI를 이용한 악성코드 탐지 및 분석 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AI 알고리즘은 어떠한 이유로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분류하는지 설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런 AI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용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XAI 기법이 등장하였다. XAI를 사용하면 AI의 최종 결과에 대해 판단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XGBoost와 Random Forest를 이용하여 악성코드 그룹분류를 진행하였으며, SHAP을 통해 결과를 해석하였다. 두 분류모델 모두 약 99%의 높은 분류 정확도를 보였으며, XAI를 통해 도출된 상위 API feature와 악성코드 주요 API를 비교해보았을 때 일정 수준 이상의 해석 및 이해가 가능하였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직접적인 AI 신뢰성 향상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주거약자를 위한 AI 스마트하우징 주거서비스의 필요성과 중요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AI Smart Housing Services for the Housing Disadvantaged Persons)

  • 배융호;김성완;하춘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45-56
    • /
    • 2023
  • Purpose: Recently, Korea has been promoting smart cities that combine artificial intelligence(AI), big data, ICT, and the Internet of Things(IoT), and these technologies are being applied to housing services and are developing into smart housing services. This study try to analyze what is the most necessary and important the AI smart housing services for the housing disadvantaged persons through a survey of experts and the housing disadvantaged persons. And by collecting these necessary and important services, we aim to present elements and directions for the AI smart housing services policy for the housing disadvantaged persons. Methods: Firstly, we asked 11 experts, Secondly, the desire and necessity for the above smart housing service was identifi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the housing disadvantaged persons. Thirdly, the survey was analyzed and reliability was measur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program. Fourthly, based on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AI smart housing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ousing disadvantaged were deriv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firstly, both experts and the housing disadvantaged persons viewed safety and health-related services as the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among AI smart housing services, secondly, there is a difference in perspectives on the services that should be priority between expert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lastly there ar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and needs for services that should be priority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신제품 개발을 위한 GAN 기반 생성모델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s of GAN-Based Generative Model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 이동훈;이세훈;강재모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867-871
    • /
    • 2022
  • 최근 빠른 유행의 변화 속에서 디자인의 변화는 패션기업의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업들은 신제품디자인 선택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 최근 인공지능 분야의 발달에 따라 패션시장에서도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계학습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우리는 선호도와 같은 추상적인 개념을 수치화함으로써 신제품 개발에 신뢰성을 높이는 부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가지 적대적 생성 신경망(Generative adversial netwrok, GAN)을 통하여 기존에 없는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고, 미리 훈련된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m, CNN)을 이용하여 선호도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수치화시켜 비교하였다. 심층 컨볼루션 적대적 생성 신경망(Deep convolutional generative adversial netwrok, DCGAN), 점진적 성장 적대적 생성 신경망(Progressive growing generative adversial netwrok, PGGAN), 이중 판별기 적대적 생성 신경망(Dual Discriminator generative adversial netwrok, D2GAN)의 3가지 방법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였고, 판매량이 높았던 제품으로 훈련된 합성곱 신경망으로 유사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측정된 유사도의 정도를 선호도로 간주하였으며 실험 결과 D2GAN이 DCGAN, PGGAN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유사도를 보여주었다.

CNN 기반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분류시 신뢰도 및 계산 효율을 고려한 이미지 증강 규모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image augmentation scale considering reliability and computational efficiency when classifying concrete structure cracks in CNN)

  • 장현준;이호현;홍성택;최영돈;김성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4-327
    • /
    • 2022
  • 노후화된 구조물의 균열 검사는 검사원이 직접 현장에서 측량 도구를 사용하여 육안으로 검사를 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방식은 전문 작업 인력의 주관성에 크게 의존하게 되고,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일관성과 신뢰성 있는 판단을 하기 위해 인공지능 이미지 분류 알고리즘을 활용하고 있다. 2018년부터는 이미지 전처리 단계에서 이미지 증강 기법이 높은 성능 향상을 이끌고 있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증강 기법을 활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에 관한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증강 비율에 따른 정확도와 속도를 비교 측정하여 최적화를 하였다. 그 결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경제성을 감안했을 경우 8배에서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