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AI Smart Housing Services for the Housing Disadvantaged Persons

주거약자를 위한 AI 스마트하우징 주거서비스의 필요성과 중요도에 관한 연구

  • 배융호 (한국환경건축연구원) ;
  • 김성완 (한국환경건축연구원) ;
  • 하춘 (한국환경건축연구원)
  • Received : 2023.10.17
  • Accepted : 2023.11.22
  • Published : 2023.12.15

Abstract

Purpose: Recently, Korea has been promoting smart cities that combine artificial intelligence(AI), big data, ICT, and the Internet of Things(IoT), and these technologies are being applied to housing services and are developing into smart housing services. This study try to analyze what is the most necessary and important the AI smart housing services for the housing disadvantaged persons through a survey of experts and the housing disadvantaged persons. And by collecting these necessary and important services, we aim to present elements and directions for the AI smart housing services policy for the housing disadvantaged persons. Methods: Firstly, we asked 11 experts, Secondly, the desire and necessity for the above smart housing service was identifi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the housing disadvantaged persons. Thirdly, the survey was analyzed and reliability was measur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program. Fourthly, based on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AI smart housing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ousing disadvantaged were deriv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firstly, both experts and the housing disadvantaged persons viewed safety and health-related services as the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among AI smart housing services, secondly, there is a difference in perspectives on the services that should be priority between expert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lastly there ar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and needs for services that should be priority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과제번호 RS-2020-KA157018)

References

  1.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9, "AI 기반 스마트하우징 기술개발(스마트하우징 플랫폼 및 주거서비스 기술개발) 기획보고서", 국토교통부, 세종특별자치시
  2. 국토교통부, 2022, "2021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연구", 국토교통부, 세종특별자치시
  3. 김인설, 김미연, 서리나, 김영주, 2020, "이행과 성과점검을 위한 정성지표 타당성 검증 연구 :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26권 제3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인천
  4. 대한민국 장애인복지법, 2023,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5. 대한민국 고령자.장애인 등 주거약자 지원에 관한 법률, 2023
  6. 변혜령, 박수연, 최령, 이순복, 2021, "스마트하우징 주거서비스 방향 설정을 위한 거주자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제32권 제6호, 한국주거학회, 서울
  7. 서동구, 2022, "스마드도시 기반 스마트하우징 주거서비스의 역할", 건축 제66권 제8호, 대한건축학회, 서울
  8. 안기언, 양현정, 채창우, 2020, "AI 기반 스마트하우징 플랫폼 및 서비스 기술 개발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제20권 제6호,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서울
  9. 안기언, 2022.9.22, "AI 기반 스마트하우징 플랫폼 및 지능형 융복합 주거서비스 기술 개발",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feel_kict&logNo=222881126461&redirect=Dlog, 2023.10.1.
  10. 안상민, 유지원, 최소라, 박명규, 김성완, 2022,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스마트하우징 주거서비스 평가방법 방향성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춘계학술박표대회 논문집 제22권 제1호,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서울
  11. 안상민, 유지원, 최소라, 배융호, 박명규, 김성완, 2022, "스마트하우징 주거서비스 평가방법 개발 방향",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제16권 제2호, 한국생태건축학회, 서울
  12. 양현정, 김수암, 황은경, 이종호, 2018, "스마트홈 기술 동향 분석을 바탕으로 한 스마트하우징 개발 방향 설정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0권 제2호, 한국주거학회, 서울
  13. 양현정, 김수암, 정준수, 김태민, 이현수, 2021, "스마트 월을 활용한 세대내부 음환경 제어 서비스 개발 방법론 - 재택근무 지원 가변공간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41권 제1호, 대한건축학회, 서울
  14. 양현정, 2022, "스마트 주거 현의 서비스 개발", 대한건축학회지 제66권 제8호, 대한건축학회, 서울
  15. 이종호, 환은경, 서동구, 이재욱, 2021, "스마트하우징 활성화를 위한 건설부분의 연구통향 분석 : 등재학술지를 중심으로(2000~2020)", 한국친환경생태건축학회지 제21권 제5호, 한국친환경생태학건축학회, 서울
  16. 이학식, 임기훈, 2015, "SPSS 20.0 매뉴얼", 초판5쇄, 집현재, 서울
  17. 정한나, 이윤정, 김정연, 이민진, 한수영, 이유미, 안신기, 김필자, 2023, "델파이조사를 통한 신규간호사 역량 도출 및 내용타당도 검증", 학교육논단 제25권 제20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18. 진상기, 2020, "지능정보사회 속 'AI기반의 스마트하우징'의 과제", 지역정보화, Mar.30, 지역정보개발원. 서울
  19. 채창우, 2022, "AI기반 스마트하우징 플랫폼 및 서비스 기술 개발", 건축학회지 제66권 제08호, 대한건축학회. 서울
  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0, "AI 스마트하우징 주거서비스 연구개발계획서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울시
  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2, "AI 스마트하우징 주거서비스 3차년도 자체평가워크숍 발표 자료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울시
  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3, "AI 스마트하우징 주거서비스 4차년도 자체평가워크숍 발표 자료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울시
  23. Lawshe. C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 Psy\-choi, 제28권 제4호. 재인용. 정한나 외, 2023, "델파이조사를 통한 신규간호사 역량 도출 및 내용타당도 검증, 의학교육논단 제25권(제20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