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evance Judgment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2초

정보검색에서의 사용자 중심 적합성 판단 모형 (User-centered relevance judgement model for information retrieval)

  • 박정아;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489-500
    • /
    • 2009
  • 본 연구는 정보검색의 핵심 개념인 적합성을 사용자 중심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이다. 적합성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적합성 판단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기준들을 정의해 왔다. 본 연구는 적합성 유형별로 사용자가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준과 적합성 유형 간의 관계를 정보 검색 과제별로 연구함으로써 사용자 중심 적합성 판단 모형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7개의 사용자 적합성 판단 기준-주제성, 신선성, 신뢰성, 이해가능성, 특수 성, 구체성, 흥미성-과 3가지의 사용자 적합성 유형-인지 적합성, 상황 적합성, 정서 적합성-을 고려하였다. 이를 대학생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검색 과제 수행 후 설문에 답하는 반 제어(semi-controlled) 설문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제성, 신뢰성은 모든 검색 과제에 중요한 적합성 판단 기준이었고, 과제 유형별로 볼 때 사실 검색 과제에서는 주제성, 신뢰성, 신선성, 구체성, 흥미성이, 문제 해결 검색 과제에서는 주제성, 신뢰성, 이해가능성, 특수성이, 의사 결정 검색 과제에서는 주제성, 신뢰성, 신선성, 이해가능성, 구체성, 특수성, 흥미성이 적합성을 판단하는 주요 기준들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적합성 유형들 간의 관계도 실증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적합성 판단 기준과 적합성 유형 간의 관계를 정보 검색 과제별로 확인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사용자 중심의 적합성 판단 모형을 확립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PDF

유사문헌집단에서 적합/부적합정보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ty of Relevance/Non-relevance Information in Homogeneous Documents)

  • 문성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7-29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문헌의 적합성수준을 적합성정도에 따라 4그룹(부적합한, 조금 적합한, 적합한, 매우 적합한)으로 나눈 후 서로 다른 심사자가 적합성 판정을 내린 4개의 적합성 판정세트(A, B, C, D)에서 "조금 적합한" 문헌을 부적합문헌으로 분류했을 때와 적합문헌으로 분류하였을 때에, 초록/표제 시스템과 전문검색시스템에서 적합성피드백으로 인한 검색효율성의 증진은 어느 쪽이 더 혜택을 받게 되는 지를 연구하였다. "조금 적합한" 문헌을 적합문헌으로 포함시켰을 때 초록/표제시스템이 전문검색시스템보다 모든 적합성판정세트에서 검색효율성의 증가율이 높았고, 반면에 전문검색시스템에서는 "조금 적합한" 문헌을 적합문헌그룹에서 제외시켰을 때 검색효율성의 증가율이 일관성 있게 높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전문검색시스템에서는 적합문헌으로 포함된 "조금 적합한" 문헌으로부터 얻어지는 적합성피드백 정보는 잡음의 역할을 하게 되어 검색효율성의 증진에 도움이 안 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특히, 매우 동질적인 문헌을 색인 및 검색대상으로 하고 있는 전문검색시스템에서는 잡음에 의해 초래되는 낮은 정확률을 개선하는 정교한 검색기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만 한다.

상이한 적합성 판정과 전문검색시스템의 평가에 관한 연구 (Variations in relevance assessments and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full-text retrieval system)

  • 문성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3-141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문헌의 전문을 대상으로 얻어진 4개의 상이한 적합성 판정 세트가 전문검색시스템의 검색효율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각 적합성 판정 세트간의 검색효율성에는 주목할 만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적합성 개념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검색효율성의 평가에는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적합성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정교한 검색기법인 적합성 피이드백을 통합한 검색실험은 계속 연구되어야 할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 PDF

Building a text collection for Urdu information retrieval

  • Rasheed, Imran;Banka, Haider;Khan, Hamaid M.
    • ETRI Journal
    • /
    • 제43권5호
    • /
    • pp.856-868
    • /
    • 2021
  • Urdu is a widely spoken language in the Indian subcontinent with over 300 million speakers worldwide. However, linguistic advancements in Urdu are rare compared to those in other European and Asian languages. Therefore, by following Text Retrieval Conference standards, we attempted to construct an extensive text collection of 85 304 documents from diverse categories covering over 52 topics with relevance judgment sets at 100 pool depth. We also present several application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collection. Although this collection is primarily intended for text retrieval, it can also be used for named entity recognition, text summarization, and other linguistic applications with suitable modifications. Ours is the most extensive existing collection for the Urdu language, and it will be freely available for future research and academic education.

이미지 검색 실패에 나타난 비적합성 평가요소 규명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Non-Relevance Criteria for Image in Failed Image Search)

  • 정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17-435
    • /
    • 2016
  • 적합성 평가는 검색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이미지의 검색과 이용이 인터넷과 디지털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보편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지 적합성 평가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미지 검색 실패 사례에 나타난 비적합성 평가요소를 규명하고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총 135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1,452건의 평가요소가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 밝힌 평가요소를 포함하여 본 연구는 13종의 평가요소를 규명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주제적합성', '구성', '정확성', '시각적특성', '완전성', '심미적요소', '구도', '서지적요소', '인상', '자세', '얼굴특성', '새로움', '시대배경' 순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구성'과 '구도'는 본 연구에서 특징적으로 새롭게 규명한 평가요소이며, 기존의 연구에서 밝힌 '행동' 평가요소는 본 연구 데이터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 또한 이러한 평가요소의 비중은 이용자가 지닌 이미지요구와 이용목적의 특성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건설기업의 경영효율성과 미청구공사의 가치관련성 (Operational Efficiency and Value Relevance of Unbilled Revenue in the Construction Company)

  • 김영훈;조석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3003-3014
    • /
    • 2018
  • 본 논문은 건설기업 미청구공사 정보의 가치관련성이 해당 건설기업의 효율성 정도에 따라 차별화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미청구공사는 국내 건설기업의 IFRS 도입에 따라 재무상태표의 자산에 표시되는 계정으로서 매출채권적인 성격을 가지는 항목이기는 하지만 추정된 진행률에 연동되어 계산된다는 점 등에서 그 자산성에 의심이 가는 항목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청구공사의 가치관련성이 해당 건설기업의 경영효율성에 따라 차별화된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였으며,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청구공사는 기업가치와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일관된 모습을 보였다. 둘째, 미청구공사의 가치관련성은 경영효율성의 정도가 높은 기업에서 더욱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이 논문은 미청구공사가 단순히 가치관련성을 가진다는 점뿐만 아니라 기업의 효율적 운영정도에 따라 차별화 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증거를 함께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Time Perception and Memory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A Preliminary Study

  • Sung-Ho Woo;Jarang Hahm;Jeong-Sug Kyong;Hang-Rai Kim;Kwang Ki Kim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8-157
    • /
    • 2023
  • Background and Purpose: Episodic memory is a system that receives and stores information about temporally dated episodes and their interrelations. Our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episodic memory to time perception, with a specific focus on simultaneity/order judgment. Methods: Experiment 1 employed the simultaneity judgment task to discern differences in time perception betwee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and age-matched normals. A mathematical analysis capable of estimating subjects' time processing was utilized to identify the sensory and decisional components of temporal order and simultaneity judgment. Experiment 2 examined how differences in temporal perception relate to performance in temporal order memory, in which time delays play a critical role. Results: The temporal decision windows for both temporal order and simultaneity judgments exhibited marginal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with episodic memory impairment, and their healthy counterparts (p = 0.15, t(22) = 1.34). These temporal decision windows may be linked to the temporal separation of events in episodic memory (Pearson's ρ = -0.53, p = 0.05). Conclusions: Based on our findings, the frequency of visual events accumulated and encoded in the working memory system in the patients' and normal group appears to be approximately (5.7 and 11.2) Hz,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internal clock model, a lower frequency of event pulses tends to result in underestimation of event duration, which phenomenon might be linked to the observed time distortions in patients with dementia.

럿거스 정보검색 평가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 (Rutgers Information Retrieval Evaluation Project on IR Performance on Different Precision Levels)

  • 이혁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7-111
    • /
    • 2006
  • 이 논문의 주요목적은 정보이용자들이 어떤 수준의 정확률 차이에서 유의미하게 차이를 인지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에 관련한 몇 가지 흥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 외에 적합성 판정은 이용자의 판정시간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제에 대한 이용자의 배경지식과 적합성 판정의 관계가 두드러졌다. 또한, 적합 문서의 숫자가 적었을 때 이용자들은 적합성 판정에 더욱 어려움을 겪었다. 마지막으로, 검색결과리스트중 상위 N 문서의 적합성 판정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동색인기 성능시험을 위한 Test Set 개발 (A Development of the Test Set for Estimating the Retrieval Performance of an Automatic Indexer)

  • 김성혁;서은경;이원규;김명철;김영환;김재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1-102
    • /
    • 1994
  • 다양한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검색시스템은 선진국에서 일찍이 개발되어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어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할 수 있는 정보검색시스템이 실험적으로 또는 상업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개발된 시스템의 실행 가능성 테스트 (feasibility test)가 계속 부수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평가 테스트들의 객관성 부족으로 인하여 개발된 정보검색시스템의 성능 또한 논쟁이 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정보검색시스템과 자동색인기의 객관적인 성능평가를 위하여 실험 데이타 컬렉션을 개발하였다. 실험데이타 컬렉션은 정보과학회논문지, 한국정보과학회 1993 proceedings, 정보관리학회지에 수록된 1,053개의 논문으로 구성되었다. 입력된 모든 데이타는 국문 및 영문 저자, 서명, 서지사항, 초록, 분류번호, 색인어 등 18개의 access point를 지니며, 한국어 문헌 set 구축이외에 test set과 관련된 질의문을 작성하였고 질의문에 해당하는 적합문헌을 제시해 주었다.

  • PDF

Exploring the Effect of Mental Demand in Web Searches: A Pilot Study

  • 나경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379-398
    • /
    • 2014
  • This pilot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mental demand on a Web searcher's thoughts, emotions, efforts, and performance in Web searches in order to address whether or not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searchers exposed to mental demand manipulation and searchers not exposed.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via think-aloud protocol (TAP) with a dual-task in experiments and interviews with 10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e searcher's thoughts, relevance judgment was found to be hindered by mental demand. For the searcher's emotions,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frustrated than the control group. With respect to the searcher's efforts, searcher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ith mental demand manipulation were more likely to spend more time, make fewer queries, and visit fewer pages but work harder to find more relevant information that they needed. Lastly, with regard to the searcher's performance, it is likely that performance was highly dependent upon the completion of the search tasks for both groups. The NASA-TLX six components and cognitive load scores of searchers did no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utcome. The findings support the use of a dual-task methodology as a promising approach for the assessment of cognitive load induced by complex Web sear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