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ve Growth Rate

검색결과 632건 처리시간 0.047초

생태독성평가를 위한 미역(Undaria pinnatifida) 암배우체 생존율 및 상대성장률의 환경조건 연구 (A Study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f Survival Rate and Relative Growth Rate in Female Gametophyte of Undaria pinnatifida for Toxicity Assessment )

  • 이주욱;박윤호;심보람;전형주;허승;황운기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6-93
    • /
    • 2022
  • 미역(Undaria pinnatifida) 포자를 사용한 생태독성 시험법은 연중 상시 이용하기에 어렵다. 미역의 암배우체는 실험실에서 배양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자의 단점을 보완하고 상시 생태독성 시험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미역의 암배우체를 생태독성 시험에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환경조건에 노출된 미역의 암배우체 생존율과 상대성장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미역 암배우체는 염분(5~40 psu), 온도(5~30℃), pH (2~10), 광량(0~120 μmol photon m-2 s-1)에 노출되었다. 암배우체의 생존율은 최고 평균값을 기준으로 온도 20℃, 염분 27.5 psu, pH 8, 광량 30 μmol photon m-2 s-1에서 가장 높았다. 상대성장률은 최고 평균값을 기준으로 온도 15℃, 염문 35 psu, pH 9, 광량 60 μmol photon m-2 s-1에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미역 암배우체의 생존율과 상대성장률을 활용하여 연안환경을 상시 신속하게 평가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건축자재 내의 수분이 곰팡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oisture on Mold Growth in Building Materials)

  • 서장후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4권12호
    • /
    • pp.852-857
    • /
    • 2012
  • Recently, the indoor air pollution by microbes such as fungi and mites have become a concern as important research topic on indoor air quality. Fungal growth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humidit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relative humidity on the surface of building materials and the water content of building materials on the fungal growth rate by measuring the mycelium length of fungi in the fungal detector placed on the surface of building materials. As a result, even if the relative humidity on the surface of building materials is identical, the more water content of building materials is, the more fungi grow faster. It was suggested that fungal growth rate depends on not only the relative humidity on the surface of building materials but also the water content of building materials.

상대습도가 황금배(pyrus pyrifolia Nakai cv.) 동녹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Relative Humidity on Russet Occurrence in Whangkeumbae Pear (Pyrus pyrifolia Nakai cv,))

  • 조일환;우영회;최장전;한점화;서흥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4
    • /
    • 2002
  • '황금배' 동녹발생이 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강우가 크게 관여하기 때문인 바 본 연구에서는 강우와 동녹발생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가습처리를 하여 높은 상대습도와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높은 상대습도는 기공저항을 적게 하였다. 따라서 순수동화산물의 축적이 과실의 비대를 촉진하여 가습처리에서 평균 과중이 크게 나타났다 광합성속도에는 처리간의 차이가 없었다. 동녹 발생시기는 과중과 과실표면적의 신장속도가 가장 빠른 시기인 7월 25일 전후이며, 높은 상대습도가 과실의 신장을 촉진하였으므로 가습처리에서 동녹발생이 많았다. 7월 하순은 과실의 칼슘농도변화가 큰 시기로서 세포벽 구성에 주요한 물질인 칼슘량의 저하가 동녹발생과 상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강우에 의한 높은 상대습도가 동녹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높은 상대습도에 의해 순수광합성물질의 많아지고 이에 따라 과실신장이 빨라지나 과실세포의 신장을 위해 전류되는 동화산물량과 이동되는 수분 포함한 무기성분량의 일시적 불균형이 큰 이유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채소용 육묘 상토로서 지렁이분립의 이용 (Utilization of Earthworm Cast as a Component of Plant Growth Medium for Tomato)

  • 조익환;전하준;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5-6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쓰레기와 축분의 vermicomposting 처리로 얻어지는 지렁이 분립을 이용하여 채소의 육묘상토 자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시판상토 100%, 지렁이분립 100%, 지렁이분립 50% + vermiculite 50%, 지렁이분립 50% + Perlite 50% 및 지렁이분립 40% + vermiculite 30% + perlite 30%의 각각 다른 지렁이분립 혼합비율이 토마토(Lycopersicum esculentum Mill.) 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마토 생육 2주째까지는 시판상토구가 전 처리구에서 초장, 엽수, 경경, 엽중, 경중, 지상부중, 근중 및 생물수량이 가장 높았지만, 이후부터는 지렁이 분립 100%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시판상토구에 비해서도 양호한 생육을 나타내었다. 지렁이 분립과 Vermiculite를 혼합한 구는 시판상토구와 유사한 생육을 나타내었다. 한편 생물수량의 상대생장율(BYRGR), 지상부 무게의 상대생장율(RGR) 및 지하부무게의 상대생장율(RWGR)은 생육 4주 째까지 지렁이 분립 100% 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 PDF

임분내 광환경의 차이에 따른 주요 참나무 수종의 생장과 엽록소 함량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of Major Oak Tree Seedlings under Different Light Environment in Forest)

  • 권기원;최정호;송호경;강병식
    • 임산에너지
    • /
    • 제22권3호
    • /
    • pp.20-28
    • /
    • 2003
  • 참나무류 주요 수종을 대상으로 다양한 광선 조건에 식재된 실생묘의 활착 및 상대생장량과 광선에 대하여 민감하게 작용하는 엽록소 함량의 계절적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수리나무 1-1묘, 1-0묘, 신갈나무 1-0묘, 졸참나무 1-0묘, 굴찬나무 1-0묘를 상수리나무 임분내에 상층임분 밀도를 자연광의 81%, 34%, 21% 등 3가지로 조절하였다. 조사대상 수종의 묘목을 20m x l0m 크기의 시험구에 100본씩 식재하여 활착율, 상대생장량, 엽록소 함량을 비교하였다. 상수리나무 1-1묘가 평균 73%로 다른 수i종에 비해 높은 활착율을 보였고, 상수리나무 1-0묘가 66%, 신갈나무와 졸참나무가 각각 56%, 45%였으며, 굴참나무는 41%로 이식후 활착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자연광의 81% 실험구에서 대부분의 주요 참나무류 수고, 근원경 생장이 가장 좋은 경향을 보여 주고 있었으며 자연광의 21% 실험구에서는 오히려 광도가 낮아지면서 생장이 상대적으로 저해되는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엽록소 함령(a, b, 총엽록소 함향)은 광도가 낮아지면서 엽록소 함량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주요 참나무류 수종의 피음 효과에 대한 생장반응은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하며, 엽록소 함량과 생장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피음이 층층나무 1년생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on Growth of 1-year-old Cornus controversa H$_{EMSL}$, Seedlings)

  • 최재형;홍성각;김종진
    • 임산에너지
    • /
    • 제19권1호
    • /
    • pp.20-29
    • /
    • 2000
  • 본 연구는 피음이 층층나무 1년생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은 자연전광의 100, 50, 30, 17, 9, 및 1%로 조절된 야외피음 포지에서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묘고생장은 상대광도 100%와 50%에서 가장 높았으며 상대생장율에서는 100%구보다는 50%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상대광도 9%구 이하에서는 생장을 하지 못했다. 근원경생장은 묘고생장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엽면적은 상대광도 50%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이하의 광도에서는 대구조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SLA와 LAI는 광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LAR과 LWR은 광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상대광도 9%이하의 광도에서 LWR은 다시 감소하였다. 상대광도가 낮아짐에 따라 유묘의 뿌리, 줄기, 잎의 biomass 생산 및 가지와 잎 수는 감소되었다. T/R율은 17%와 30%구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측근은 50%구를 제외하고 광도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 PDF

Effect of Gamma Rays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Bangladesh Clone Tea

  • Ali, M. Aslam;Samad, M. A.;Amin, M. K.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6-70
    • /
    • 2005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mma radiation on the early growth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traits of BT2 clone tea, the most promising cultivar released by Bangladesh Tea Research Institute. The fresh shoot cuttings were irradiated with seven different levels of gamma radiation such as 0, 10, 20, 30, 40, 50 and 60 Gy from Cobalt 60Co source (Dept. of PlantBreeding, Bangladesh Institute of Nuclear Agriculture). Thereafter, the irradiated shoot cuttings were planted in polythene bags and kept under natural conditions. It was observed that callusing was initiated from 8th weeks after placement of tea shoot cuttings in the polythene bags and completed by 12th weeks. The morphological growth of tea shoot cuttings were recorded under varying levels of gamma radiation and growth stages. It was observed that the number of leaves, number of primary branches, base diameter, root length and total leaf area per plan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progress of time and increasing levels of gamma radiation, however, the plant height showed decreasing trend with the increasing levels of gamma radiation, which could be due to the change in chromosomal structure and genetic makeup. After 56 weeks of planting, the plant height, the number of leaves and primary branches per plant, base diameter, root length and total leaf area per plant recorded were 65.70 cm, 30.67, 7.33, 1.48 cm, 23.50 cm, and 1250.67 cm2 per plant respectively under the radiation level 60 Gy, whereas the corresponding figures of the above parameters at the control treatment were 76.21 cm, 18.33, 3.67, 0.92 cm, 17.75 cm and 778.33 cm2 per plant, respectively.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observed among the physiological growth parameters with the increasing levels of gamma radiation. The total dry matter gain, leaf area index, absolute growth rate and relative growth rate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with the rising levels of gamma radiation (up to 60 Gy), whereas the net assimilation rate of individual tea plant non-significantly responded a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treatment. Finally after 56 weeks of planting, the maximum total dry weight gain, leaf area index, absolute growth rate, relative growth rate and net assimilation rate recorded under 60 Gay radiation level were 40.25 g/plant/week, 4.25, 1.18 g/week, 0.0621g/g/week and 17.07 g/m2/week respectively.

오존에 노출된 자작나무류 4수종 잎의 가시적 피해와 생장 반응 (Visible Foliar Injuries and Growth Responses of Four Betula sp. Exposed to Ozone)

  • 이재천;한심희;김장수;장석성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9-37
    • /
    • 2002
  • 본 연구는 자작나무류의 오존에 대한 잎의 가시적 피해율과 생장 반응을 측정하여 수종별 오존 민감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시험 재료는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 자작나무, 사스래나무로 온실에서 양묘하여 포트로 옮겨 심고, 100 ppb의 오존 농도에서 하루 8시간 씩 5주 동안 오존에 노출시킨 후 그들의 가시적 피해율과 잎 수, 잎 면적 및 생장(수고와 직경 상대생장율, 잎, 줄기, 뿌리의 건중량)을 측정하여 수종간, 처리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4개 수종의 오존에 대한 반응은 매우 다르게 나타나는데 사스래나무를 제외한 3개 수종의 생장은 오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아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초기에 많은 조기낙엽을 나타내는 거제수나무와 가시적 피해율이 가장 높은 물박달나무는 오존에 대해 민감한 수종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사스래나무는 초기에 오존에 대한 영향으로 생장이 감소하지만 오존에 대한 적응을 통하여 생장을 회복하는 내성 수종으로 판단된다.

Response of Soybean Growth to Elevated $CO_{2}$ Conditions

  • Kim Young-Guk;Lee Jae-Eun;Kim Sok-Dong;Shin Jin-Ch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03-309
    • /
    • 2006
  •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_2$ enrichment on growth of soybean (Glycine max). Two soybean varieties were used, Taekwang and Cheongja. The plants were grown in growth chambers with a 12-h photoperiod and a day/night temperature of $28/21^{\circ}C$ at the seedling stage and $30/23^{\circ}C$ from the flowering stage. The plants were exposed to the two elevated $CO_2$ levels of 500 and 700 ppm and the ambient level of 350 ppm.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at the second-node trifoliate stage of the two varieties, the elevated $CO_2$ increased plant height, leaf area and dry weight. The elevated $CO_2$ also raised the photosynthetic rate of soybean as compared to the ambient level. From the beginning bloom stage to the full maturity stage of the two varieties, the elevated $CO_2$ increased plant height, leaf area, seed weight and photosynthetic rate. The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decreased on long days relative to short days of treatment. Through the entire stages, the elevated $CO_2$ increased the water use efficiency of soybean plants because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decreased at the elevated $CO_2$ levels relative to the ambient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