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onship formula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32초

만성 B형 간염 산모들의 모유수유에 대한 인식조사 (A Survey for Understanding of Breastfeeding among Mothers with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 이광희;김종현;강진한;허재균;고대균;박숙경;김영택;서경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6권2호
    • /
    • pp.191-198
    • /
    • 2009
  • 목 적: 만성 B형 간염 산모로부터 분만된 신생아에게 주산기 예방조치를 실시하면 모유수유는 권장되어져야한다. 그러나 실지로 국내에서는 높은 비율에서 산모들은 모유수유를 꺼리고 있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 같은 현상이 초래되는 요인을 찾아보았다. 방 법: 질병관리본부가 주관하는 'B형간염수직감염예방사업'에 참여하여 등록된 만성 B형 간염 산모 중 보건소에서 혈액 채취를 위해 보건소를 방문하고 동의서에 서명을 얻은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결과를 고지할 때 이들의 모유수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반송봉투와 함께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결 과: 설문지를 발송한 839명 중 주소 이전 등의 이유로 반송된 114명을 제외한 725명이 설문지를 모두 받았다고 가정할 때 응답율은 17% (125명)이었다. 응답자의 수유방법은 모유 65명(52%), 분유 60명(48%)이었다. 모유수유를 한 경우 가장 영향을 미쳤던 요인은 본인 및 가족의 결정 75%, 산부인과 의사 17%이었고, 분유수유를 한 경우는 산부인과 의사 57%, 본인의 결정 28%이었다. 모유수유와 주산기 예방조치 실패간의 관련성에 대한 인식은 '관련이 있다' 45%, '관련이 없다' 50%이었고, 관련이 있다고 했을 때의 관련 정도는 '어느 정도 관련이 있다'가 55%이었다. 모유수유를 한 경우 추후에 모유수유를 하겠다는 답변은 91%이었고, 분유수유를 하였지만 '모유수유가 주산기 예방조치 실패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사실이 소개된다면 추후에는 모유수유를 선택하겠다는 경우가 78%이었다. 결 론: 모유수유가 B형 간염 주산기 예방조치의 실패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숫자에서 모유수유를 하지 않고 있는데, 이러한 결정을 하게 된 경우의 대부분이 의료인에 의해서였다. 교육을 통한 의료인들의 개념전환과 국민홍보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PDF

차량용 강우센서의 Signal과 관측강우의 관계식 개발 (Development of relationship equation for vehicle sensor signal and observed rainfall)

  • 이석호;김영곤;김병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1호
    • /
    • pp.29-35
    • /
    • 2017
  • 차량용 강우센서는 강우에 따라 와이퍼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따라서 강수의 많고 적음을 대략적으로 판단하여 와이퍼의 속도단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강우센서의 성능이 개선됨에 따라 와이퍼의 속도단계 결정 외에 강우량의 크기를 좀 더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입자로 인한 빛의 산란을 이용한 강우계측 방법을 이용하였다. 센서에서 광신호를 보내고 전면부 유리창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물방울 입자가 커지면 빛의 산란으로 센서의 광 감지량이 줄어들게 된다. 강우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강우센서의 검지면적과 검지채널을 기존 강우센서에 비해 크게 확장하였다. 또한 센서의 감지 신호(Signal)를 강우량으로 환산하기 위하여 실내 강우발생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와이퍼의 속도단계(W)에 따른 특정 강우(R) 발생시 센서 감지량(S)과의 관계를 이용한 W-S-R 관계식을 개발하였다. 이 관계식을 통하여 차량 강우센서의 신호체계를 실제 강우량으로 환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면 차량관측망이 강우측정망이 되어 실제 강우측정망보다 고해상도의 강우정보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질특성에 따른 현장타설말뚝 지지력 산정 경험식의 적용성 (Applicability of Bearing Capacity for Single Drilled Shaft Using Empirical equation based on Ground Condition)

  • 김대현;정상국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167-180
    • /
    • 2019
  • 마찰말뚝의 경우 연약지반이 깊은 동남아 지역(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 등)의 많은 건설현장에서 시공되고 있으며, 경험적인 측면에서도 마찰말뚝에 대한 시공사례가 많이 축적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사층에서 발휘되는 주면마찰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미얀마 현장에서 시행된 4개소의 정재하시험과 하중전이시험 결과를 이용하였다. 현장타설말뚝의 정재하시험 및 하중전이시험에서 얻어진 주면마찰력과 해당 위치에서의 각각의 표준관입시험(SPT) N치와의 상관관계식을 제안하였다. 미얀마지역은 토사층의 범위가 폭넓게 분포하여 국내 지반조건과 상이한 특성으로 인해 SPT-N값에 의한 각각의 주면마찰력 산정결과가 달라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사질토 지반에서는 미얀마 지역의 fs=0.096N, 국내에서의 fs=0.106N으로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점성토 지반조건에서는는 미얀마 지역의 fs=0.315N, 국내에서의 fs=0.062N으로 미얀마 지역의 주면마찰력이 약 5배 정도 높은 값이 얻어졌다. 본 연구의 비교분석자료는 국내·외의 제한된 Data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이므로 향후 보다 많은 하중전이시험 결과가 축적된다면, 현장 토질 특성이 반영된 N치에 따른 주면마찰력 산정식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며, 금회 분석한 결과는 이에 대한 선행연구로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항만의 방파제 피복 블록의 신뢰성 해석 (Reliability Analyses of Breakwater Armor Blocks of Harbors in Korea)

  • 김승우;서경덕;이철응;박동헌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5-29
    • /
    • 2009
  • 방파제 피복 블록은 주로 Hudson 공식과 van der Meer 공식을 사용하여 설계되고 있다. 각 공식을 사용하여 저항과 하중이 같아지는 최소 중량을 각각 산정하며 그 중 큰 값을 설계중량으로 채택한다. 이렇게 설계된 국내 무역항 12곳과 연안항 8곳의 방파제 피복 블록에 대하여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신뢰성 해석 결과 산정된 파괴확률은 각 항만별 피복 블록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최소 중량으로 설계한 경우에 파괴확률은 모든 항만에서 거의 비슷하게 계산되어 기존 방파제 피복 블록의 안전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결정론적 설계법의 설계 기준인 안전율과 신뢰성 설계법의 설계 기준인 파괴확률은 뚜렷한 선형관계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기존 구조물의 파괴확률은 안전율을 통해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결과는 향후 방파제 피복블록의 목표파괴확률을 결정하는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지위별(地位別) 왕죽(王竹) 및 맹종죽(孟宗竹)에 있어서 생장인자(生長因子)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Growth Factors in Phyllostachys Reticulata Kock and Phyllostachys Edulis Riv by Each site)

  • 김장수;정영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16
    • /
    • 1968
  • 왕죽(王竹) 및 맹종죽(孟宗竹)을 지위(地位) 상등지(上等地), 중등지(中等地), 하등지(下等地)에 따라서 생장인자(生長因子) 즉(卽) 죽고(竹高), 지하고(枝下高), 죽관장(竹冠長), 흉고주위(胸高周圍), 근경부주위(根莖部周圍)를 각각(各各) 측정(測定)하여 제(第)8표(表)를 작정(作定)하였다. 본표(本表)에 의거(依據)하여 맹종죽(孟宗竹)에서는 어느 정도(程度)의 등차(等差)를 그리고 왕죽(王竹)에서는 하등지(下等地)의 생장인자(生長因子) 특(特)히 근소(僅少)한 구티(數値)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상관표(相關表)를 작성(作成)하여 이에 의거(依據)한 상관계수(相關係數)를 산출(算出)하였다. 이때에 사용(使用)한 공식(公式)은 ${\mu}=\frac{{\Sigma}xy}{\sqrt{{\Sigma}X^2y^2}}$ 또 She.ppard 식(式)으로 추정(推正)할때 적욕(適用)한 공식(公式)은 ${\mu}=\frac{{\Sigma}xy}{\sqrt{({\Sigma}X^2-\frac{m}{12})({\Sigma}y^2-\frac{n}{12})}}$ 평균오차(平均誤差)의 공식(公式)은 $e=0.6745\frac{1-{\mu}^2}{\sqrt{n}}$ 상관계수(相關係數)에 따라 신뢰도(信賴度)를 좌우(左右)하는데 ${\mu}$ >0.5일때에는 상관계수(相關係數)가 있고 ${\mu}$ <0.3일때에는 상관계수(相關係數)가 없다고 하여 맹종죽(孟宗竹)에 있어서 죽고(竹高)와 흉고주위(胸高周圍) 죽고(竹高)와 근경부주위(根莖部周圍)와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높으며 죽고(竹高)와 지하고(枝下高)와의 상관율(相關率)은 0.49로서 약(弱)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성립(成立)되고 있다. 또한 왕중(王竹)에 있어서는 죽고(竹高)와 흉고주위죽고(胸高周圍竹高)와 근경부주위(根莖部周圍) 그리고 죽고(竹高)와 지하고(枝下高)의 상관계수(相關係數)가 0.45, 0.46, 0.48로서 높은 유의성(有意性)은 아니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성립(成立)된다고 하겠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지위조정(地位組定)에 있어서는 Daher 씨(氏)의 수고생장(樹高生長)을 이용(利用)하고 있으나 상술(上述)된 상관관계(相關關係)를 통(通)하여 생장인자(生長因子)인 죽고(竹高) 흉고주위(胸高周圍) 근경부주위(根莖部周圍) 및 지하고중(枝下高中) 어느 한가지만을 특정(測定)하여도 지위(地位)를 결정(決定)할수 있다는 것이 본연구(本硏究)를 통(通)하여 입증(立證)되고 있다.

  • PDF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권역별 대표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A Derivation of Regional Representative Intensity-Duration-Frequency Relationship Using Multivariate Analysis)

  • 이정식;조성근;장진욱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통권25호
    • /
    • pp.13-2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강우에 다변량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대표확률분포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확률분포형으로부터 확률강우강도식을 유도하였다. 강우자료는 30년 이상의 연최대강우자료로서 12개의 지속기간(10분, 1, 2, 3, 4, 5, 6, 8, 10, 12, 18, 24시간)과 50개의 강우특성인자를 적용하였다. 확률분포형은 빈도해석에 널리 사용되는 14개 분포형을 사용하였으며, 전 지역의 강우 동질성을 검정하는 방법으로 주성분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으로 얻어진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전역을 대표할 수 있는 적정분포형을 선정할 수는 없었으나, 수문학적 동질성이 인정되는 5개의 권역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I, III, IV, V 권역은 GEV 분포, I I권역은 Gumbel 분포가 대표적정분포형으로 선정되었다. 셋째, 대표적정분포형에 의한 확률강우량은 기존 연구들과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대표적정분포형으로부터 얻어진 확률강우량을 이용하여 대표확률강우강도식을 유도하였다.

사질토의 투수계수와 전기전도도 간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Hydraulic Conductiv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n Sands)

  • 김진욱;추현욱;이창호;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45-5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Kozeny-Carman식을 변형하여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한 사질토의 투수계수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예측식에 대한 실험적 검증을 위해 6종류의 사질토에 대하여 4개의 전극을 설치한 정수위 투수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변수들 하에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 결과, 사질토에서 흙 입자 표면을 통한 전기전도는 미미하였으며, 간극수의 전기전도도가 투수계수와 formation facotor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흙 입자의 유효입경이 formation factor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으나 투수계수에는 큰 영향을 주었다. 제안된 식을 활용하여 투수계수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형상계수와 Archie's m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여 error norm방법을 사용해 형상계수를 구하였다. 또한, 간극률을 변화시키며 측정된 formation factor를 사용하여 Archie's m을 구하였다. formation factor를 사용하여 계산한 투수계수를 측정값과 같이 도시한 결과, 계산된 투수계수는 측정된 투수계수와 유사한 값을 보여주었다. 기존 Kozeny-Carman식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전기전도도를 이용한 투수식 간의 정량적인 비교를 위해, 정규화된 투수계수를 사용하여 형상계수, Archie's m, 간극률에 따른 정규화된 투수계수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형상계수와 Archie's m의 변화에 따른 정규화된 투수계수의 변화 폭에 비해, 간극률의 변화에 따른 정규화된 투수계수는 매우 큰 폭으로 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전기전도도를 이용한 투수계수 예측식이 기존 Kozeny-Carman식보다 더 높은 신뢰도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99m}Tc$-DTPA를 이용한 신장스캔에서 사구체 여과율의 측정방법과 영상분석에서 구한 지표들에 의한 신장기능의 평가 (Estimation of Glomerular Filtration Rate(GFR) Using $^{99m}Tc$-DTPA Renal Scan and the Parameters for Renal Function)

  • 조인호;윤현대;원규장;이찬우;이형우;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101-108
    • /
    • 1994
  • 저자들은 Gates의 방법으로 구한 사구체 여과율과 신장스캔 시행중에서 얻을 수 있는 relative intensity of peak renal to peak aortic activity (pK/pA), time between aortic and kidney peak(A-K) 및 parenchymal renal activity at 25 min compared to peak kidney activity(25K/pK)등의 지표들이 신기능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정상 및 신장질환 환자등 57명을 대상으로 Gates의 방법을 시행하여 사구체 여과율을 구하고 이를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그리고 A-K, pK/pA및 25K/pK등의 지표들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99m}Tc$-DTPA를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과 크레아티닌 청소율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9) A-K, pK/pA 및 25K/pK 등과 $^{99m}Tc$-DTPA를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 사이에는 각각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r=-0.42, 0.66, -0.48) 이상의 결과로 Gates의 방법을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의 측정은 통상적인 신장 스캔과 함께 시행함으로서 환자에게 별다른 고통을 주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는 검사로써 임상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그리고 A-K, pK/pA 및 25K/pK등의 지표들도 신기능의 평가에 사구체 여과율과 함께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관상동맥우회술 환자에서의 심근관류점수제에 대한 연구: 완전혈관재생술의 평가 (Myocardial Perfusion Scoring System in Coronary Bypass Grafting - Estimation of Completeness -)

  • 채헌;백완기;안혁;김용진;노준량;김종환;서경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9호
    • /
    • pp.881-889
    • /
    • 1991
  • The ideal goal of the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is complete revascularization. To estimate the numerical degree of completeness of revascularization, the following formula was used in 50 patients having aorta-coronary bypass grafting for the treatment of unstable angina. myocardial perfusion score of revascularized area Degree of Completeness = ----------------------------------------------------------------------------- x100[%] preoperative myocardial perfusion score Randomized patients who underwent revascularization procedures in 19Hb were compared with the patients who received similar elective operation each year from 1988 through 1991. To obtain these data, the patients aged 38 ~ 75[mean 54$\pm$9.1years], composed of 31 males and 19 females were randomly sampled. The number of grafts per patient increased from 2.30 in 1986, to 3.07 in 1988 - 89, to 3.21 in 1990, and to 3.50 in 1991. [0.05 The degree of completeness improved from 75.4% to 81.4%, 91.6% and 88.6% respectively. It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last two years, [P<0.05, Mann-Whitney U test] At a follow-up of three months, 90 percent[45/50] of patients remained angina, free, 6 percent[3/50] had residual angina, and 4 percent[2/50] died. The last two patients degree of completeness corresponded to 43% and 30% respectively As a conclusion, the degree of completeness seems to improve year by year, and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linical results.

  • PDF

액셜 피스톤 펌프내 유압유 유동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Hydraulic Fluid Flows Within Axial Piston Pumps)

  • 정종현;김종기;서용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2호
    • /
    • pp.129-136
    • /
    • 2010
  • 액셜 피스톤 펌프는 유압시스템의 동력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펌프내의 유체유동에 관한 연구는 유체 압축성, 고속회전, 유량변화와 복잡한 형상 때문에 1차원 해석으로 수행되어졌다. 본 연구의 목표는 3차원 수치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액셜 피스톤 펌프내의 유압유체 유동과 토출압 맥동의 생성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모델의 수렴성 향상 및 강건성 확보를 위하여 밸브 플레이트 주위의 격자계는 육면체 격자로 구성하였다. 또한, 수치해석시 필요한 오일의 밀도와 압력의 관계는 실험식을 적용하였다. 3차원 수치해석의 결과는 실험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