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ular Workers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21초

의료기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직무만족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Job Satisfaction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in Hospitals)

  • 양종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3-342
    • /
    • 2015
  • Backgrou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differences of the job satisfaction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in hospitals. Methods: The samples used for data analysis are 632 workers of 6 hospitals using a standardized questionnaires in B, C, D, and G provinces. In research methodology, all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case of regular workers, communication, working conditions and employee benefit, and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case of non-regular workers, empowerment, reward systems, communication, working conditions, and employee benef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hospitals needed to reinforce communication, working conditions and employee benefit to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in orde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Especially, more empowerment, working conditions, and employee benefit should be given to non-regular workers.

정규직-비정규직 간 훈련격차와 임금효과 (On-the-job Training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and Wage Effects)

  • 오호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3호
    • /
    • pp.33-6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기업주도 재직자 훈련(On-the-Job Training: OJT)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 간 훈련격차와 직업훈련의 임금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OECD의 주관하에 조사된 국제성인역량조사(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원자료에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비모수추정법인 성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 PSM)을 적용하였다. 비정규직을 처치집단으로 정규직을 대조집단으로 하여 훈련참여 및 훈련의 임금효과를 각각 추정한 결과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비해 불리한 훈련기회에 직면하였고 훈련의 임금효과는 정규직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비정규직에서는 훈련이 임금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비정규직의 저숙련 함정 극복을 위한 정부개입의 근거를 제공하며 비정규직에 대한 훈련기회 확대가 미취업과 정규직을 잇는 가교로써 비정규직이 기능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비정규직 활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과정에 대한 연구: 종업원 역량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Process of Non-regular Workers' Utilization on Firm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Competence)

  • 김현의;박오원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2호
    • /
    • pp.95-106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tilization of non-regular workers and firm performance.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utilized 427 firm level data from HCCP.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es. Findings - We found that the utilization of non-regular workers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firm performance. However, the utilization of non-regular workers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ployee competence, and that employee compet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tilization of non-regular workers and firm performance.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As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competition between firms intensify, more and more firms are utilizing non-regular worker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tilization of non-regular workers and firm performance is continuously conducted, but research o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still insufficient. Our study contributes the related research area by identifying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competence on the utilization of non-regular workers and firm performance relationship.

비정규직 노동자 투쟁의 승패와 조직력 변화 (The success and failure of non-regular workers' struggles and their effects on organizational strength)

  • 조돈문
    • 산업노동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9-176
    • /
    • 2011
  • 민주노조운동과 노동계급 형성의 후퇴기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투쟁과 함께 새로운 계급형성의 잠재적 주체로 등장했다. 하지만 주체 형성의 효과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왜 투쟁은 성과를 내지 못했는가? 어떤 변인들과 인과적 메커니즘을 통해 투쟁의 성과가 결정되는가? 이러한 물음들에 대한 답변을 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정규직 투쟁에 비해 비정규직 투쟁은 자본의 공세에 대응하는 수세적 방어적 성격이 짙고, 생산현장 접근성 제약으로 파업 투쟁 이외의 방식에 의존하며, 사측의 비타협성으로 인해 장기화되고, 교착상태를 타개하기 위해 극단적 투쟁 방식에 호소하며, 정규직 연대 확보가 어려워 외부연대에 크게 의존하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비정규직 투쟁은 승리보다는 패배, 조직력 강화보다는 약화로 귀결되는 경향이 강하다. 패배 경향성을 상쇄하고 승리하기 위해서는 비정규직 주체들의 조직 동원 역량과 정규직 노조의 연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조건이며, 강력한 사회적 연대나 위치적 권력은 정규직 연대의 대체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투쟁이 조직력 강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투쟁의 승리가 필요하지만 투쟁의 승리로 쟁취한 정규직화가 승리의 덫이 될 수도 있다. 정규직 노조의 연대와 투쟁 주체의 내적 통합은 비정규직 투쟁이 승리하고 조직력을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쟁을 전개하는 부분은 비정규직 노동자들 가운데 조직력이 가장 강한 부분인데 이들이 투쟁 과정에서 조직력 위축 혹은 조직 와해를 겪으면서 비정규직 주체 형성을 어렵게 한 것이다. 하지만, 비정규직 투쟁이 없었더라면 자본의 공세가 그대로 관철되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비정규직 투쟁은 적어도 자본의 공세를 약화 혹은 지연시킨 효과는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형 설정자 역할의 부담 속에서 강경투쟁 전략과 양보타협 전략 사이의 투쟁 전략 딜레마는 투쟁 주체의 분열을 심화하여 투쟁의 승패와 조직력 변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비정규직 투쟁의 실천적 함의는 비정규직 투쟁의 궁극적 목표를 노동계급 형성을 위한 주체형성으로 재정의한다면 비정규직 투쟁의 전략적 목표는 당면 요구조건의 완전한 쟁취보다 조직의 보전 강화에 두는 것이 합리적 선택이라는 점이다.

비정규 근로와 정규 근로의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 패널자료를 사용한 분석 - (Wage Differentials between Non-regular and Regular Works - A Panel Data Approach -)

  • 남재량
    • 노동경제논집
    • /
    • 제30권2호
    • /
    • pp.1-31
    • /
    • 2007
  • 본 연구는, 비정규 근로에 대한 차별처우의 문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고용형태에 따른 임금격차에 대한 객관적 사실들을 제시함으로써, 비정규 근로에 대한 논의를 보다 생산적이게 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비정규 근로의 임금수준은 2005년에 정규 근로의 63%에 불과하여 37%의 임금격차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는 근로시간, 인적자본의 양, 직무의 성격, 그리고 개인의 능력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근로시간만 추가로 감안하더라도 임금격차는 29%로 감소한다. 근로자들의 인적특성, 인적자본, 사업체 규모, 노동조합 등 분석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변수들 대부분을 통제하면 임금격차는 2.7%로 급감한다. 직무까지 추가로 통제할 경우, 임금격차는 다시 2.2%로 줄어든다. 이 가운데 생산성에 의한 임금격차가, Oaxaca 방법으로 분해하면, 91%를 차지한다. 이는 차별처우의 최대치가 정규 근로 시간당 임금의 0.2%에 불과함을 의미한다. 나아가 개개인의 능력을 비롯한 미관측 이질성까지도 추가로 통제하기 위해 패널자료를 구축하고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추정 할 경우, 비정규 근로의 시간당 임금은 정규 근로의 경우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거나 오히려 다소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이론으로 쉽게 설명된다. 다른 상황이 동일하다면 근로자들은 고용이 보다 불안한 비정규 근로로 노동을 공급할 경우 이에 대한 보상으로 보다 높은 임금을 받으려 할 것이다. 기업들은 추가로 고용유연성을 확보할 경우 보다 높은 임금을 지급할 용의가 있다. 따라서 비정규 근로가 정규 근로에 비해 보다 불안한 고용과 보다 높은 임금을 가지는 균형이 성립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비정규 근로 문제를 차별처우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시각에 매우 회의적이며, 비정규 근로에 대한 논의의 방향을 수정할 것을 함축하고 있다.

  • PDF

대규모 사업장 남녀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행태 (Health Behaviors by Job Stress Level in Large-Sized Company with Male and Female Workers)

  • 박현주;정혜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852-862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by job stress level in male and female workers in a large-sized company. Methods: Participants were 576 male and 228 female worker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Job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Short Form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SF-KOSS)'. Health behaviors included smoking, alcohol consumption, regular exercise, and diet. Frequency, mean, SD,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using SAS version 9.1 were used to analyze data. Results: Smoking, drinking and regular exercise rates were not different by job stress level in male or female workers. Only regular die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job stress level in male and female workers. From multivariate analysis, the alcohol consumption rates for female workers differed by marital status. Regular exercise rat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for male workers and type of employment for female workers. After adjusting for demographic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regular diet significantly differed by shift work for male workers and marital status and shift work for female worker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o manage job stress to improve diet habits for male and female workers in large-sized companies.

의료기관 비정규직의 차별경험과 삶의 질 관계 분석 (Association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among Non-regular workers in Hospitals)

  • 양종현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27
    • /
    • 2018
  •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among non-regular workers in hospitals. Methodolog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92 employees of 7 university hospitals using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In research methodology, the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In case of non-regular workers, inequality of distribution, position unfairness, employment instability, number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quality of life. Religion, income in general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quality of life. And the discrimination of non-regular woman workers was higher and the quality of life was lower than that of men. Practical Implicat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hospitals needed active efforts to create non-regular woman-friendly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active religious activities gave emotional stability and positive effect to no-regular workers.

국내 임금근로자에서 고용형태에 따른 hs-CRP level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hs-CRP Level in Korean Wage Workers)

  • 주재한;이준희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127
    • /
    • 2021
  • Objectives: We aimed to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hs-CRP level among Korean wage workers using the 2016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KNHANE, revise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937 daytime wage workers over the age of 19 and within a normal weight range (18.5≤BMI≺25). Regular workers were defined as those granted an employment guarantee until reaching retirement age, and non-regular workers were defined as temporary, non-typical, dispatched, short-term workers and contractors. For hs-CRP, three divisions were classified as recommended by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and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with less than 1.0 mg/L indicating low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bove 1.0 mg/L and below 3.0 mg/L considered moderate risk, and more than 3.0 mg/L indicating high risk.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type and hs-CRP level in Korean wage workers,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For non-regular workers, the odds ratio of the cardiovascular moderate-risk group and cardiovascular high-risk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regular workers. After adjusting for factors such as gender, age, subjective health status, income, education, smoking, and physical labor, the odds ratio of the cardiovascular high-risk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non-regular workers and high hs-CRP level was examined. Based on this, institutional strategies should be pursued to prevent and manage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non-regular workers.

비정규직 보호법의 차별 시정 효과 (The effect of Korean Employment Protection Legislation on Eliminating Discrimination on Non-Regular workers)

  • 고혜진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4호
    • /
    • pp.125-161
    • /
    • 2018
  • 본 연구는 비정규직 보호법의 시행이 비정규직의 노동시장 차별 개선에 기여하였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이다. 이때 기존 연구와 달리, 임금뿐 아니라 사회보장 혜택을 포괄하여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 시정 효과를 살폈다. 이는 사용자의 고용 관련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노동비용에 사회보장기여금 부담도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분석에서는 기업을 분석 단위로 하여 기업 규모별 시행 시기의 차이를 반영한 패널토빗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비정규직 보호법이 일부 심각한 사회보장 배제를 경험한 집단에서 차별 개선의 효과를 가졌다. 하지만 이는 제한적인 효과로 전반적으로 비정규직 보호법이 임금과 사회보장에서 차별 해소에 기여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게다가 비정규직 내부에서도 특히 임금과 사회보장 차별에 취약한 집단들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비정규직에 대한 임금과 사회보장 차별이 이들의 삶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들에 대한 차별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제도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직 보호법의 차별을 정당화하는 이유를 제한하는 것과 함께 차별 금지 영역에 대한 개방적 접근 및 보완적 크레딧 제도의 도입 그리고 비정규직 사용 사유 규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

Association between Work-related Communication Devices Use during Work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toms in Wage Workers

  • Min-Sun Kim;Shin-Goo Park;Hwan-Cheol Kim;Sang-Hee Hwa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5권1호
    • /
    • pp.73-79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related communication devices use during work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toms in wage workers. Methods: Data from 50,538 workers aged 15 years or older who had participated in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KWCS) were used. The final sample was 32,994 wage workers. The questionnaire asked the respondents how often they used communication devices for work during work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using WHO-5 Well-Being Index.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work-related communication devices use during work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toms. Results: The rate of depressive symptoms was highest among workers who did not use work-related communication devices during work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and work-related factors, the odds ratio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workers who used communication devices when working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was 1.20 (95% CI: 1.09-1.32); the odds ratio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group not using communication devices for free-time work was 1.66 (95% CI: 1.37-2.00),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group, that is, workers who did not work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Regardless of whether work-related communication devices are used, working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increases depressive symptoms. The use of work-related communication devices during work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can reduce the rate of depressive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