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ge Differentials between Non-regular and Regular Works - A Panel Data Approach -

비정규 근로와 정규 근로의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 패널자료를 사용한 분석 -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wage differentials between non-regular and regular works. Data from EAPS(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2005 show that the monthly wage level of non-regular worker is only 63% of regular worker and thus there exist 37% wage differentials. However, these wage differentials do not control for hours of work, the amount of human capital, job characteristics, and oth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ffecting wages. If these variables are added to the hourly wage regression equation, the wage gap between non-regular and regular workers drastically decreases to 2.2%. Furthermore, decomposition of the wage differentials by Oaxaca method shows that productivity difference between non-regular and regular workers explains up to 91% of the wage gap. This implies that the magnitude of wage discrimination against non-regular workers is at most 0.2% of hourly wage of regular workers. To control for 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ies more accurately, we also construct panel data and estimate wage differentials. The results from the panel data approach show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hourly wages between non-regular and regular workers. In some specifications, the wage rate of non-regular worker is rather higher than that of regular worker.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economic theory. Other things being equal, workers with unstable employment may require higher wages to compensate their unstability. Firms are willing to pay higher wages if they can get more flexibility from non-regular employment. Empirical results in this paper cast doubt on the view that there is wage discrimination against non-regular workers in the labor market. Public policies should be targeted for disadvantaged groups among non-regular workers, not for non-regular workers in general.

본 연구는, 비정규 근로에 대한 차별처우의 문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고용형태에 따른 임금격차에 대한 객관적 사실들을 제시함으로써, 비정규 근로에 대한 논의를 보다 생산적이게 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비정규 근로의 임금수준은 2005년에 정규 근로의 63%에 불과하여 37%의 임금격차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는 근로시간, 인적자본의 양, 직무의 성격, 그리고 개인의 능력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근로시간만 추가로 감안하더라도 임금격차는 29%로 감소한다. 근로자들의 인적특성, 인적자본, 사업체 규모, 노동조합 등 분석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변수들 대부분을 통제하면 임금격차는 2.7%로 급감한다. 직무까지 추가로 통제할 경우, 임금격차는 다시 2.2%로 줄어든다. 이 가운데 생산성에 의한 임금격차가, Oaxaca 방법으로 분해하면, 91%를 차지한다. 이는 차별처우의 최대치가 정규 근로 시간당 임금의 0.2%에 불과함을 의미한다. 나아가 개개인의 능력을 비롯한 미관측 이질성까지도 추가로 통제하기 위해 패널자료를 구축하고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추정 할 경우, 비정규 근로의 시간당 임금은 정규 근로의 경우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거나 오히려 다소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이론으로 쉽게 설명된다. 다른 상황이 동일하다면 근로자들은 고용이 보다 불안한 비정규 근로로 노동을 공급할 경우 이에 대한 보상으로 보다 높은 임금을 받으려 할 것이다. 기업들은 추가로 고용유연성을 확보할 경우 보다 높은 임금을 지급할 용의가 있다. 따라서 비정규 근로가 정규 근로에 비해 보다 불안한 고용과 보다 높은 임금을 가지는 균형이 성립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비정규 근로 문제를 차별처우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시각에 매우 회의적이며, 비정규 근로에 대한 논의의 방향을 수정할 것을 함축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