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characterization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초

화학적 포화 호흡정지 급속 자기공명영상에서 국소적 간지방병변의 특성화 (Chemical Saturation Breath-hold Fast MR Imaging for characterization of Regional Fatty Changes in Liver)

  • 김동국;유정식;김태훈;오세정;김지형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권1호
    • /
    • pp.135-141
    • /
    • 1997
  • 목적: 초음파에서 의심된 국소적 간지방병변을 진단함에 있어 화학적 포화 방식의 지방억제를 호함한 호흡정지 급속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초음파검사에서 발견된 국소 간병변의 진단을 위해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할 때 별도의 parameter 조정없이 지방억제 전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화학적 포화방식의 영상을 추가하였을 때 국소병변의 전체에 걸쳐 균일한 신호가도의 변화가 있었던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방억제 전후의 영상을 fast low-angle shot(FLASH) sequence를 이용한 T1강조영상과 turbo spin-echo sequence를 이용한 T2강조영상으로 호흡정지증의 급속영상을 얻었으며 각각의 병변에 대해 지방억제 전후 의 T1강조영상과 T2강조영상에서 주변 간실질에 대해 상대적인 신호강도의 증감과 초음파 소견상의 에코의 증감을 비교하였다. 결과: T1이나 T2강조영상에서 신호강도가 지방억제 후 감소했던 환자는 7명이었으며 이 중 3명은 지방억제 후의 T1강조영상에서만 신호강도가 감소하였으며 7명 모두 초음파상 고에코의 국소병변과 일치하여 국소지방침착 소견과 일치하였다. 지방억제 후 T2강조영상에서만 주변 간실질에 비해 신호강도가 높았던 2명을 포함하여 지방억제 후 T1과 T2강조영상에서 신호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보였던 6명은 모두 초음파에서 저에코의 병변을 가지고 있어서 국소지방결여와 잘 일치하였다. 국소지방침착의 경우 지방억제 후 T1강조영상의 신호강도의 감소가 T2강조영상에서의 변화에 비해 컸으며(P=0.0002) 국소지방결여의 경우는 T2강조영상에서의 변화가 T1강조영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하였다(P=0.042). 결론: 호흡정지 급속영상방법의 T1과 T2강조영상에서 공히 화학적 포화방식을 이용한 지방억제 전후의 영상을 얻으면 초음파에서 발견된 국소병변을 간지방변화로 특성화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 PDF

아세트아닐리드의 초기 환경위해성 평가 (Initial Risk Assessment of Acetanilide with Respect to Ecological Integrity)

  • Lee, Su-Rae;Park, Seon-Ju;Lee, Mi-Kyung;Nam, U-Kyung;Chung, Sun-Hwa;Seog, Geum-Su;Park, Kwang-Sik;Kim, Kyun;Kim, Yong-Hwa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5권1_2호
    • /
    • pp.19-29
    • /
    • 2000
  • 아세트아닐리드는 의약품과 염료의 합성과정에서 중간체로서 공기와 폐수를 통하여 환경 중에 방출될 수 있다. 아세트아닐리드는 호기적 조건하에서 신속히 생분해되고 OH 래디컬의 존재하에 간접적으로 광분해된다. 생물농축계수는 4.5로 추정되므로 수생생물에서의 생물농축은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세트아닐리드에 관한 생태독성학적 데이터 조사결과 4종 어류에 대한 급성독성치만 보고되어 있으며, EUSES시스템에 의하면 어류에서의 최저 PNEC 값(예상 무작용농도)은 0.01mg/l이고 표면수에서의 PEC값(예상 환경농도)은 지역수준에서 최악의 경우 9.1$\times$$10^{-5}$mg/l이다. 지역수준에서 표면수에 대한 아세트아닐리드의 RCR(위해성지수)은 9.1$\times$$10^{-3}$으로 추정되어 어류에 대한 안전성은 충분하다. 그러나 국지 수준에서의 RCR은 물과 침적물에서 각각 1.3과 1.6이므로 제조공장 주변에서는 생태독성 위험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아세트아닐리드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물벼룩과 조류에 대한 급성독성 자료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실험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역고유 지진응답 특성 정량화를 통한 국내 부지 분류 기준의 추가 반영 제안 (Suggestion of Additional Criteria for Site Categorization in Korea by Quantifying Regional Specific Characteristics on Seismic Response)

  • 선창국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3권3호
    • /
    • pp.203-218
    • /
    • 2010
  • 지진 지반운동의 증폭 유발 요인인 부지 효과는 지역적 및 국부적 부지 조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됨에도 불구하고, 현행 국내 내진 설계 기준의 부지 분류와 그에 따른 부지 증폭계수는 미국 서부 지역의 기준을 준용한다. 이러한 내진 기준의 경우, 단주기와 중장주기에 관한 두 종류의 부지 증폭계수들을 30 m 심도까지의 평균 전단파속도라는 기준에 따라 A 부터 E까지의 다섯 종류로 분류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부지 조건을 반영한 부지 분류 체계를 제시할 목적으로, 경주, 홍성, 해미, 사천의 네 지역에 대해 체계적인 부지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현장에서는 지표면부터 기반암까지의 전단파속도 깊이분포를 결정하고 실내에서는 지반의 비선형적 물성을 획득하였다. 국내 토사층은 미국 서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얕고 강성이 크게 파악되었고, 그로 인해 국내의 부지 주기는 상대적으로 작고 좁은 범위에 분포하였다. 현장과 실내에서 구한 지반 특성을 이용하여 등가선형 및 비선형 기법을 적용한 다양한 부지고유 지진응답 해석을 총 75부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해석 결과로부터 현행 국내 기준에 정의된 부지 증폭계수는 지반운동을 단주기에서는 과소 평가하고 중장주기에서는 과대평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국내와 미국 서부간의 기반암 심도를 포함한 국부적 지반 특성들의 차이로 인한 것이다. 본 연구의 해석 결과와 한반도 대상의 선행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대표 기준인 부지 주기와 추가 기준으로서의 30 m 보다 얕은 심도까지의 평균 전단파속도를 도입함으로써, 국내 지역적 부지 특성을 고려한 지반운동과 설계 스펙트럼을 신뢰성 높게 결정할 수 있는 새로운 부지 분류 체계를 개발하였다.

청초호 어류군집을 통해 본 석호의 해양화 (Oceanization of a Lagoon Through Analysis of Fish Community in the Lagoon Cheongcho, Korea)

  • 박승철;이광열;윤영진;최재윤;조강현;최재석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166-174
    • /
    • 2013
  • 2008년과 2012년에 청초호의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어류는 총 26과 48종 17,281개체였다. 우점종은 황어(75.2%), 우세종은 문절망둑(5.4%), 잔가시고기(3.1%) 등이었으며, 수체의 기원에 따른 어류의 생태형을 조사연도별로 비교한 결과, 담수어는 감소하였으며 기수어와 해수어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석호와 유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뉘어졌으며, 청초호는 담수의 유입이 적고 지속적으로 해수가 유입되는 경포호와 유사한 그룹 A에 포함되었다. 그러므로 어류군집에 따른 청초호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 청초호는 석호의 특징을 서서히 상실하고 있으며 해양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석호생태계 본연의 특성을 회복하고 관리하기 위해선 지속적인 연구 및 습성천이에 따른 관리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시판 소건 샛줄멸의 식품성분 및 관능 특성 (Food Components and Sensual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Plain-dried Silver-stripe Round Herring)

  • 김형준;윤민석;박용석;하진환;정인권;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57-1464
    • /
    • 2008
  • 제주특별자치도의 특산품으로 개발한 소건 샛줄멸의 효율적 이용, 마케팅 및 규격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소건 샛줄멸의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아울러 이를 자건 샛줄멸 및 자건 멸치의 식품성분과도 비교, 검토하였다. 수분함량 및 염도는 소건 샛줄멸이 각각 31.9% 및 7.6%로, 자건 샛줄멸(각각 27.2% 및 12.3%) 및 자건 멸치(각각 22.8% 및 15.4%)에 비하여 수분함량의 경우 높았고, 염도의 경우 낮았다. 과산화물값, 지방산 조성, 황색도 및 갈변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지질의 산화정도는 소건 샛줄멸이 자건 샛줄멸 및 자건 멸치에 비하여 높았다. 소건 샛줄멸이 자건 샛줄멸 및 자건 멸치에 비하여 총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낮았으나, 칼슘과 인 함량의 경우 높았다. 열수 가용성 질소, 엑스분 질소, 유리아미노산 및 taste value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소건 샛줄멸의 맛은 강도 및 경향에서 모두 자건 샛줄멸뿐만이 아니라 자건 멸치에 비하여도 우수 하였다. 소건 샛줄멸은 자건 샛줄멸에 비하여 맛 및 형상에서 우수하였으나 반드시 비린내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Molecular Description of Macroorchis spinulosus (Digenea: Nanophyetidae) Based on ITS1 Sequences

  • Won, Eun Jeong;Kim, Deok-Gyu;Cho, Jaeeun;Jung, Bong-Kwang;Kim, Min-Jae;Yun, Yong Woon;Chai, Jong-Yil;Ryang, Dong Wo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1호
    • /
    • pp.109-112
    • /
    • 2016
  • We performed a molecular genetic study on the sequences of 18S ribosomal RNA (ITS1 region) gene in 4-day-old adult worms of Macroorchis spinulosus recovered in mice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metacercariae from crayfish in Jeollanam-do Province, Korea. The metacercariae were round, $180{\mu}m$ in average diameter, encysted with 2 layers of thick walls, but the stylet on the oral sucker was not clearly seen. The adult flukes were oval shape, and $760-820{\mu}m$ long and $320-450{\mu}m$ wide, with anterolateral location of 2 large testes. The phylogenetic tree based on ITS1 sequences of 6 M. spinulosus samples showed their distinguished position from other trematode species in GenBank. The most closely resembled group was Paragonimus spp. which also take crayfish or crabs as the second intermediate host.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 spinulosus and provided a basis for further phylogenetic studies to compare with other trematode fauna in Korea.

한국 베이비붐세대의 은퇴 후 주거 선택과 이동 특성 (Residential Choice and Mobility of Korean Babyboomer after Retirement)

  • 임기흥;백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438-449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베이비붐세대의 은퇴후 주거선택을 고찰하기 위해 은퇴 후 주거선택 기준, 선호하는 주택유형, 규모 및 주거이동특성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에는 은퇴 전과 다른 기준으로 주거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쾌적성과 편의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 아파트거주 비율이 대폭 축소될 것으로 보이며, 반면 전원주택 및 타운하우스의 거주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 주거면적을 일괄적으로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보유 주택규모에 따라 다른 형태를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한국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 62.4%가 주거이동을 계획하고 있고, 이 중 지역 간 이동은 주거이동가구수의 과반수가 넘는 52.3%에 달해 은퇴 후 활발한 주거이동이 예상된다. 다섯째, 한국의 베이비붐세대의 지역 내 이동과 지역 간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변수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ACE-Asia 집중관측기간에 제주고산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분포특성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Measured at Kosan during ACE-Asia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 신혜정;김지영;최병철;오성남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87-501
    • /
    • 2002
  • The concentrations of gaseous (NO$_{x}$, SO$_2$, and $O_3$) and particulate (Elemental Carbon, EC and Organic Carbon, OC) pollutants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air quality of Kosan. Samples were taken at Kosan during ACE-Asia (Asian Pacific Regional Aerosol Characterization Experiment) IOP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2001. 3. 21~2001. 5. 5). The mean concentrations of $O_3$(46.3$\pm$10.4 ppb) is higher than those at urban area such as Seoul and Busan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mean concentrations of other gaseous species, NO$_{x}$(4.73$\pm$3.42 ppb) and SO$_2$(0.62$\pm$0.63 ppb) are lower than those at great cities. So we concluded that there are a few primary sources emitting atmospheric pollutants. The concentration of EC is higher and the concentration of OC is similar with or higher than those at other background sites. The recent EC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ose measured before at Kosan. We concluded that there are more primary sources than other background sites and the amount of primary source have increased recently in Jeju. Backward trajectory and co..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study where the air masses originated and distinguish the source of pollutants. While NO$_{x}$ and $O_3$ were mainly emitted and formed from Jeju inland area, concentrations of SO$_2$, OC and EC were affected by Asian Dust from China. Using the mean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ozone, cleanness coefficient was obtained. The cleanness coefficient value, is 1.6 times larger than the value in 1992. Recently, the air quality of Kosan has been contaminated because of the Asian Dust events since spring and the rapid industrialization development.pment.

참굴, Crassostrea gigas, haemocytes의 형태 및 면역학적 특징 (Morphological and immunological characterizaiton of the haemocytes of the oyster, Crassostrea gigas)

  • 권문경;조병열;최혜승;박명애;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3-251
    • /
    • 2006
  • 패류의 방어시스템에서 순환 haemocytes는 중요하다. 참굴, Crassostrea gigas haemocytes의 형태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서 광학현미경적 특징과 전자현미경적 특징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4종류의 haemoctyes type을 확인하였다: type Ⅰ small hyalinocytes, type Ⅱ large hyalinocytes, type Ⅲ large granulocytes, type Ⅳ small granulocytes. 또한, 면역세포학적 방법으로 haemocytes의 alkaline phosphatase (ALP), acid phosphatase (ACP), peroxidase (POD), α-naphthyl acetate esterase, β-glucuronidase, PAS, sudan black B와 oil red O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조사한 모든 효소의 활성이 granulocytes에서 hyalinocytes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Haemoctyes와 Vibrio FKC를 incubation 후 식균지수와 식균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균지수와 식균율은 배양 15분째부터 증가하여 120분까지 높게 나타났다. 또한, ALP, ACP, α-naphthyl acetate esterase와 β-glcuronidase의 효소활성도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 이와 같은 효소는 참굴의 식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응집-막분리 공정 적용시 전처리 응집조건에 따른 용존성 유기물 상(相)변화 특성 (The Characterization of Floc Formation Under Various Pre-coagulation Conditions)

  • 정철우;손희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139-1145
    • /
    • 2008
  • 응집-막분리 공정의 적용시 전처리 응집공정에서 응집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플럭 생성특성을 파악하고 생성된 플럭 특성에 따른 막투과 플럭스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공시수와 낙동강 원수에서 전처리 응집공정을 적용시 급속교반 후 용존성 유기물질(자연유기물질)이 미세 플럭의 형성으로 인하여 입자상 유기물질로 전환이 발생하였으며 급속교반초기 10초 사이에 용존성 유기물이 입자상 물질로 전환되었다. 또한 응집제 주입량이 0.025 mM as Al (7.5 mg/L Alum) 이었을 경우 입자 전환율 K값이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나 0.05 mM (15 mg/L Alum)이상으로 응집제 주입량이 증가할 경우 K값은 감소하였으며 0.15 mM까지 유사한 값을 보이고 있었다. 낙동강 원수를 이용하여 전처리 공정으로 응집 공정을 적용시 UF 단독공정에 비하여 투과 flux 감소는 상당히 낮게 나타났으며 투과 flux 변화는 응집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입자크기 분포에 의존하였으며 응집조건에 따른 투과 flux 실험결과 급속교반-UF공정과 급속교반-완속교반-UF공정의 투과 flux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막의 재질에 따른 투과 flux 실험결과 소수성 재질의 막에 비하여 친수성 재질의 막이 투과 flux가 높게 유지되었으며 응집제 자체의 금속성분에 의한 막오염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