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Input-output Model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8초

우리나라의 권역별 농산업 클러스터 분석: 6개 권역간 산업연관모형희 적용 (An Analysis of Korean Regional Agricultural and Agri-Manufacturing Clusters Using Multi-Regional Input-Output Model)

  • 윤민경;최명섭;김의준
    • 농촌계획
    • /
    • 제16권1호
    • /
    • pp.9-20
    • /
    • 2010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Korean agricultural and agri-manufacturing cluster using a multi-regional input-output model. This paper derives a representative set of five agricultural and agri-manufacturing clusters in Korea in terms of spatial and industrial interdependency. The results show that agriculture and agri-manufacturing clusters agglomer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 Area are linked both production and manufacture functions, whereas Gangwon Area is more focused on production and Jeolla Area is more concentrated on manufacture.

Medical Tourism Industry in Kangwon Province and Its Economic Impacts on the Region

  • Zhu, Yan Hua;Kang, Joo Hoon;Jung, Yong-Sik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15-125
    • /
    • 2014
  • This paper has two purposes. The first is to suggest the new and simple method to derive a regional input-output model from the national input-output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The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has not been devised in spite of its potential use while the national table has been made every five years with the revised version during each five years. Second, this paper aims to derive Kangwon interregional input-output model from the national model using the regional supply proportion of industry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medical tourism industry on the regional economy of Kangwon Province. The paper measures, in particular, the effect of medical tourism industry on the financial self-sufficiency of Kangwon Province using the estimated output elasticity of tax revenue with th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scheme ADL(1,1) in which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single explanatory variable are each lagged once.

순자산을 활용한 농촌형 역모지기 도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ional economic impact of farmland reverse mortgage using farmers' net asset - In case of Gyeongsangbuk-Do -)

  • 이종의
    • 농촌계획
    • /
    • 제15권2호
    • /
    • pp.69-8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regional economic impact of reverse mortgage system based on farmer's net asset of house and farmland together. The regional economic impact was estimated by using inter-regional input-output model.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input-output analysis shows that 49,130 million won of production effect, 20,040 million won of value added effect, and 24,759 number of employment effect, 2) Since the result shows that the elderly spend most of the reverse mortgage money for their living expenses, it seems necessary to adopt net asset based reverse mortgage system to improve and stabilize farmers' living conditions and regional economy.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중심으로- (Economic Impact of Andong Maskdance Festival -using Regional Input-Output Model-)

  • 이지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71-378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축제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2008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지역축제의 총 경제성 분석을 위해 한국은행(2009)에서 직접조사를 통해 작성한 '지역산업연관표'를 사용하여 산업승수(생산유발계수, 수입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를 도출하였다.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2008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개최로 안동지역에 미치는 총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축제기간중 방문객의 총 지출액인 237억 5천만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309억 6천만원으로 평가되었고, 수입유발효과는 158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43억 1천만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보편적인 문화유산인 '탈'이라는 컨셉을 잘 살린 축제기획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은 지역축제를 기획하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것이다.

환경규제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Impact Analysis on the Regional Economy Affected by Environmental Regulations)

  • 김호언
    • 지역연구
    • /
    • 제15권3호
    • /
    • pp.1-13
    • /
    • 1999
  • Since the 1990'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issue on the earth is characterized by "global worming problem".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plays an significant role to solve this problem on a worldwide scal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impact of $CO_2$ reduction on the Daegu regional economy through 1995 regional input-output coefficients derived from the 1995 national input coefficients table by using non-survey method. The sectoral impacts on output, income, and employment were computed under the decline-unequalized assumption in final demand influenced by $CO_2$ reduction. This article has six main sections. Section 1 is an introduction to this paper. Section 2 explains briefly the derivation method of the regional technical coefficients. Section 3 describes the model building through input-output multipliers. In section 4 regional data on output, income, employment and final demand are computed to estimate the regional impacts. Section 5 deals with impact analysis on the Daegu economy. Section 6 contains a brief summary and concludintg remarks. The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1995, under the assumption of 10% decrease on an average in final demand sectors, the economy of the region studied decreased \3600 billion of output, ₩1114 billion of income, and 49919 man-years of employment. The percent ratios of each value to the total showed 9.4%, 9.7%, and 9.2%, respectively. The dominant sectors associated with impact analysis within the region are chemicals and chemical products, paper, printing and publishing, and textiles and leather, etc; nevertheless, the least dominant sector is non-metallic mineral products. products.

  • PDF

지역문화축제의 지역경제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전주 국제 영화제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gional Economic Multiplier Impacts of Local Cultural Festival : In Case of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김연형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1호
    • /
    • pp.125-140
    • /
    • 2008
  • 지역문화축제의 성과에 대한 경제적인 접근을 통해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지역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전주국제영화제에 대한 지역경제파급효과는 다음과 같다. 생산유발효과는 112억, 부가가치유발효과가 53억 그리고 취업 유발효과는 254명으로 추정되었다. 지역 문화축제는 지역경제정책의 수단으로 매우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축제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관광지, 문화유적, 식당, 숙박, 오락시설 등의 산업들과 밀접한 연계관계를 구축해서 관광객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2011 서울모터쇼'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전시참관객의 지출액을 바탕으로 (Estimating the Economic Impact of '2011 Seoul Motor Show' Using Regional Input-Output Model: Based on Expenditures of Exhibition Attendees)

  • 김대관;한연주;이상민;최영배;송수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87-196
    • /
    • 2011
  • 본 연구는 전시회 개최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11년 4월 1일부터 10일까지 일산 KINTEX에서 열린 '2011 서울모터쇼'의 참관객을 대상으로 지출액 조사를 실시하여 '2011 서울모터쇼' 참 관객들이 경기 지역 및 기타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지역산업연관모델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경제에 파급시킨 총 생산 유발액은 약 531억 원이며, 총 소득유발액은 약 117억 원, 총 부가가치 유발액은 약 241억 원, 총 취업유발효과는 1,030명, 총 세수유발액은 약 26억 원 등으로 추정되었다. 이 밖에 전시산업의 생산유발승수는 다른 산업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득유발승수, 부가가치유발 승수, 취업유발승수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전시산업이 지역경제에 비교적 많은 소득, 부가가치와 고용을 창출시키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국립자연휴양림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Estimating the Local Economic Impact of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Using Regional Input-Output Model)

  • 한상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218-22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자연휴양림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지역산업연관분석에 적용하여 자연휴양림의 조성 정책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전략적 수단을 발굴하고자 시도되었다. 지역산업연관분석은 한국은행(2009)에서 발표된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자연휴양림의 생산, 소득, 부가가치, 고용파급의 승수효과 분석을 통하여 지역내(內)와 지역외(外) 경제적 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나의 국립자연휴양림이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지역내(內)에서 연간 생산파급은 3,380백만원, 소득파급 328백만원, 부가가치파급은 1,017백만원, 고용파급은 2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외(外)에 미치는 연간 생산파급은 687백만원, 소득파급은 85백만원, 부가가치파급은 245백만원, 고용파급은 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수출의 고용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다지역산업연관 및 구조적 요인분해 분석을 중심으로 (Korea's Employment Embodied in Exports: a Multi-Regional Input-Output and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 김태진
    • 경제분석
    • /
    • 제26권4호
    • /
    • pp.65-97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 수출의 고용파급효과와 그 변화 요인을 상세히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가장 최근에 공표된 World Input-Output Database (WIOD)의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세계산업연관표와 사회경제계정을 이용하여 다지역산업연관 및 구조적 요인 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수출에 체화된 고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우리나라 고용의 수출 의존도 역시 상승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부가가치 수출의 고용유발계수는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수출에 체화된 고용의 상당 부분은 중국, 미국, RoW(Rest of the World)의 최종수요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우리나라 수출에 체화된 고용의 증대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해외 최종수요의 변화 요인이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의 국내 고용 확대를 위한 의미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고창 생물권보전지역 체험관광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하전갯벌체험마을 사례 - (An Analysis of Economic Impacts of Gochang biosphere by tourism : In case of Hajun mud village)

  • 오세라;박윤선;임정빈
    • 농촌계획
    • /
    • 제21권2호
    • /
    • pp.23-32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uch economic impact is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designation as biosphere reserve area by tourism. The subject region of this study is Hajun mud village which is the famous place to experience eco-tourism located in Gochang-gun. This region has been designated as a UNESCO biosphere reserve in 2013. In order to estimate the regional economic effects, we employ a regional input-output model which is derived by a RAS method. Using regional input-output model analysis, this study estimate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ourist's expenditure on experience of Hajun mud village in Gochang-gun across associated industries between 2011 and 2013. Also, we tried to calculate a net increase in number of visitors in 2013 with considering the trend of tourist in this region and estimate a net regional economic effect after the designation as a biosphere reserve area by tourism. The empirical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change of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shows that regional outputs is approximately increased by 386 million won between 2011 and 2013, (2) regional value-added is increased by 223 million won during the same period, (3) regional employment is approximately increased by 20 according to the labor inducement effects of expanding tourist's expenditure in biosphere reserve area. (4) social service industry has highly been benefited by increase in experience tourist after Gochang-gun was designated as the biosphere reserve area. (5) estimated net increase in number of visitors after the designation as biosphere reserve area is about 37,364 which is 93.4% of the absolute increase in number of visitors amounting 40,011 between 2011 and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