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 Employment Embodied in Exports: a Multi-Regional Input-Output and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우리나라 수출의 고용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다지역산업연관 및 구조적 요인분해 분석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0.08.14
  • Accepted : 2020.11.2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xports on Korea's employment and to decompose driving factors of change in Korea's employment embodied in exports (EEX). This study uses a multi-regional input-output (MRIO) and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SDA) for empirical analysis, and uses a dataset of World Input-Output Tables (WIOTs) and Socio-Economic Accounts (SEAs) from the World Input-Output Database (WIOD). The main findings of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s EEX continues to increase and Korea's share of EEX compared to total employment shows an upward trend. However, Korea's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of value-added exports showed a downward trend during the 2000-2014 period. Second, final demand from three countries (China, the United States, and the Rest of the World (RoW)) has affected a significant portion of Korea's EEX. Finally, from the results of the SDA, the effect of changes in final demand was the most important driving factor for the increase in Korea's EEX.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discusses useful policy implications that could increase domestic employment in Korea.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 수출의 고용파급효과와 그 변화 요인을 상세히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가장 최근에 공표된 World Input-Output Database (WIOD)의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세계산업연관표와 사회경제계정을 이용하여 다지역산업연관 및 구조적 요인 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수출에 체화된 고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우리나라 고용의 수출 의존도 역시 상승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부가가치 수출의 고용유발계수는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수출에 체화된 고용의 상당 부분은 중국, 미국, RoW(Rest of the World)의 최종수요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우리나라 수출에 체화된 고용의 증대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해외 최종수요의 변화 요인이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의 국내 고용 확대를 위한 의미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