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Emission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36초

외국인투자가 탄소배출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패널 VAR 모형을 이용한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Carbon Emissions: Analysis Using Panel VAR Model)

  • 류승우;이양기;김능우
    • 무역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5-5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investment and carbon emissions in the Korean electricity secto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oreign investment invested in the electric power sector in the 16 regional regions and the carbon emissions in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foreign investment on these sectors and the carbon footprint of these sectors using Panel Random Effect Analysis, Panel VAR and OLS models. A panel analysis of foreign investment and regional carbon emissions showed that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ased on this analysis, OLS analysis showed that 7 out of 16 metropolitan areas were foreign investment And carbon emissions were significant. In the remaining six regions except Gwangju,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investment in the local power sector and the reduction of carbon emissions. After categorizing the electric power industry by device, process, purpose and number of employees, causality also appeared in relation to foreign investment in these sectors and their carbon emissions.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s suggest that foreign investment can be a way to solve not only the financial burden of carbon emission problem, but als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and industry through the inflow of capital and advanced new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Framework for the Environmental Impacts in Construction

  • Tahoon Hong;Changwoon Ji;Kwangbok Jeong;Joowan Par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96-203
    • /
    • 2013
  • Environmental problems like global warming have now become important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all industries, including construction. In South Korea,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chieve the government's goals of reduction in environmental impacts. However, the research on buildings has only focused on CO2 emission as a research target despite the fact that other environmental impacts resulting from ozone depletion and acidific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global warm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ssessment criteria and methods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the structures from various aspects. The environmental impact category can be divided into global impacts, regional impacts, and local impacts. First, global impacts include global warming, ozone layer depletion, and abiotic resource depletion, while regional impacts include acidification, eutrophication, and photochemical oxidation. In addition, noise and vibration occurring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phase are defined as local impacts. The evaluation methods on the eight environmental impacts will be proposed after analyzing existing studies, and the methods representing each environmental load as monetary value will be presented. The method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present benefit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green buildings with a clear quantitative assessment on structures. Ultimately, it is expected that if the effects of green buildings are clearly presented throu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greening of structures will be actively expanded.

  • PDF

통과교통량을 고려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방안 연구 (A Methodology for CO2 Emissions Estimation with Through-Traffic)

  • 김태균;홍기만;백바름;우왕희;홍영석;조중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03-314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로 교통부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관리를 위한 지역별 배출량 산정 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지역별로 서로 다른 통행패턴(기종점 통행, 통과 통행)을 고려하였다. 기초자료는 국가교통DB센터(KTDB)에서 제공하는 O/D 및 Network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연구에서 제공하는 수도권의 총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매우 유사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경기도를 중심으로 권역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경기도 남부 지역에서는 통과교통량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지역 배출량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북부 지역에서는 지역 배출량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행의 구분에 따라 지자체에서 관리할 수 있는 배출량과 국가 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는 배출량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능형교통체계(ITS) 정보를 이용한 지역 간 도로의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Calculation of Greenhouse Gas and Air Pollutant Emission on Inter-regional Road Network Using ITS Information)

  • 우승국;김영국;박상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5-64
    • /
    • 2013
  • 교통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주로 연료사용량에 의해 산정되었다(Tier 1 방식). 그러나 이 방법은 연료사용량을 측정할 수 없는 도로 구간에서 발생하는 배출량 산정에 사용되기 어렵다. 도로구간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또한 연료사용량에 의해 정확히 측정되어질 수 없는데 이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속도, 차종, 차령, 유종 등의 함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ITS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간 도로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와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을 Tier 3 수준으로 산정하는 방법론을 정립하는 것이다. 이 방법론은 집계단위가 작은 ITS 검지기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배출계수의 오목한 형태에서 기인하는 과소추정의 오류를 피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제시된 방법론을 4개 사례 도로구간에 적용한 결과는 중차량의 속도관리가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산화물 배출량 관리에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GHG-CAPSS를 이용한 지역별,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특성 분석(2006) (Characterization of Greenhouse Gas by Emission Regions and Sectors using GHG-CAPSS(2006))

  • 이수빈;임재현;유영숙;여소영;홍유덕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9-77
    • /
    • 2011
  • 최근 화석 연료와 에너지 사용의 증가에 따라 기후변화가 심화되고 대기질이 악화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지역별 배출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배출 특성에 관한 분석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및 지자체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 수립 및 추진을 지원하기 위하여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관한 국제지침(IPCC Guideline)에 따라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통합관리시스템(GHG-CAPSS)을 구축하고, 국내 기초자치단체 단위(시 군 구)의 부문별(산업, 수송, 상업 공공, 가정, 폐기물, 농업, 기타)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향식 접근론(bottom-up approach)을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2006년도를 기준으로 국내 총 온실가스 배출량($CO_2$ eq.)은 588,011천톤/년으로 산정되었으며, 이중 산업 부문이 50.1%(294,467천톤/년)로 가장 높은 배출기여율을 나타냈고, 수송 부문 17.6%(103,255천톤/년), 상업 공공 부문 12.6%(74,309천톤/년), 가정 부문 12.6%(74,209천톤/년), 폐기물 부문 2.6%(15,358천톤/년), 농업 부문 2.5%(14,516천톤/년)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배출량 산정 결과, 경기도 지역의 배출량이 전체의 14.9%(87,342천톤/년)를 차지하였고, 전남 12.4%(73,067천톤/년), 경북 11%(64,814천톤/년) 순으로 나타났다.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지역 분광 모델을 이용하여 투영시킨 기후변화 시나리오 (Projected Climate Change Scenario over East Asia by a Regional Spectral Model)

  • 장은철;홍성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770-78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ECHAM5 모델을 통하여 생산된 현재 및 A1B 미래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기후 자료를 미 환경예측 센터의 분광모델인 RSM을 이용하여 역학적 규모축소를 수행하였다. 현재 기후 모의는 1980-2000년 기간에 대하여 수행되었으며, 미래 기후 모의는 2040-2070 기간에 대하여 CORDEX에서 제시한 동아시아 영역에서 수행되었다. RSM의 현재 기후 모의 검증을 통해 이 모델이 기후 관점에서 대기 상태를 적절히 모의함을 판단할 수 있었다. 미래 기후 모의 결과를 현재 기후 모의 결과와 비교하여 본 결과, 여름철에 열대 해양, 남아시아, 일본 부근에서 강수가 증가하였으며, 겨울철에는 서북 태평양 지역과 열대 인도양에서 강수가 증가하였고 열대 동인도양에서는 감소하였다. 동아시아 강수의 기후장에 있어서는 미래 기후가 현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2050년 이후의 여름철 강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미래 기후의 지상 온도는 현재와 비교해 볼 때 명확한 상승이 분석되었다. 대기장에 있어서는 미래 기후에서 지구 온난화에 대한 반응으로 전체적으로 온도와 지위고도장이 증가하는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이에 따라 상층 기압골이 발달함을 보였다.

지역 순환풍 발생 특성 이해를 통한 국내 주요항만 발생 대기오염물질의 항구도시 영향 범위 분석 -여름철 해륙풍 모사를 중심으로- (Dispersion of Maritime Air Pollutants from Harbor Area into Major Port Citie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Local Wind Circulation in Korea -A Case Study of Sea and Land Breezes during Summer-)

  • 권용범;조인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21-73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서로 다른 지리적 특성을 갖는 지역에서 발생되는 해륙풍에 의한 항만 내 선박 대기오염물질의 항구도시 확산 범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은 서해안(인천항 및 평택·당진항), 다도해 지역(목포항), 남해 및 동해(부산항 및 마산항), 동해 산간 지역(동해·묵호항)으로 선정하였다. 해륙풍 발생과 그로 인한 항만 내 선박에서 기인하는 대기오염물질의 확산 모사를 위하여 비선형(Non-linear) 및 비정상(Unsteady) 거동의 국지 순환풍 모사가 가능한 HOTMAC-RAPTAD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모사 기간은 전형적인 여름 날씨인 7월 중순으로 하였다. 그 결과, 해륙풍의 발생 특성과 항만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주변 지역 확산 거동이 지역마다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연구 대상 항만인 인천항, 목포항, 부산항, 동해·묵호항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은 항구로부터 각각 27~31km(서울 서쪽 일부 지역), 21~24km(무안 남부), 20~26km(김해 및 양산 인근), 22~25km(태백산맥 능선 지역)까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효과적인 항만 지역 대기질과 선박 대기오염물질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 수단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에너지다소비건물의 용도별.지역별 온실가스 배출원단위분석 연구 (A Study on the Greenhouse Gas Intensity of Building Groups and Regional in Korea)

  • 이충국;서승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162-169
    • /
    • 2012
  • Our country set the mid-term reduction goal of greenhouse gases up to 2020 in accordance with Bali roadmap agreed in 2007 through the negotiation with UNFCCC in 2009 and specified the proper goal as by the Basic Act on Green Growth that went into effect at April, 2010. First of all the enlargement of green building construction has been suggested as a worldwide strategy to achieve the green house gas reduction. Building area is one of most important sectors for the countermeasure of climate change agreement and the achievement of national green house gas reduction goal and the need to reduce its green house gases has been increased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characterization of mass energy consumption local governmental buildings' green house gas emissions depending on usage (hotel, school, apartment, hospital) through the green house gas emission source unit analysi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energy source unit was proportional to green house gas source unit and hotel showed the highest green house gas emission source unit per open area of construction unit, followed by hospital, apartment, and then school. In case of apartment, green house gas emission source unit per open area of construction unit decreased as year went on. Meanwhile school building showed a striking increase in the annual energy source unit.

동남지역 주요 배출지역의 PM2.5 기여도 분석 (PM2.5 Source Apportionment Analysis to Investigate Contributions of the Major Source Areas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South Korea)

  • 주혜지;배창한;김병욱;김현철;유철;김순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17-533
    • /
    • 2018
  • We utilize the CAMx (Comprehensive Air Quality Model with eXtensions) system and the PSAT (Particulate Source Apportionment Technology) diagnostic tool to determine the $PM_{2.5}$ concentration and to perform its source apportionment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South Korea. For a year-long simulation, eight local authorities in the region such as Pohang, Daegu, Gyeongju, Ulsan, Busan-Gimhae, Gosung-Changwon, Hadong, and all remaining areas in Gyeongsangnam-do, are selected as source areas based on the emission rates of $NO_x$, $SO_x$, VOC, and primary PM in CAPSS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2013 emissions inventory. The CAMx-PSAT simulation shows that Pohang has the highest $PM_{2.5}$ self-contribution rate (25%), followed by Hadong (15%) and Busan-Gimhae (14%). With the exception of Pohang, which has intense fugitive dust emissions, other authorities are strongly affected by emissions from their neighboring areas. This may be measured as much as 1 to 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self-contribution rate. Based on these estimations, we conclude that the efficiency of emission reduction measures to mitigate $PM_{2.5}$ concentrations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South Korea can be maximized when the efforts of local or regional emission controls are combined with those from neighboring regions. A comprehensive control policy planning based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neighboring jurisdictional boundaries is required.

수정된 물관리보정인자를 적용한 경기도 논에서의 메탄 배출량 산정과 지도화 (Estimation and Mapping of Methane Emission from Rice Paddies in Gyunggi-do Using the Modified Water Management Scaling Factor)

  • 최성원;김학영;김연욱;강민석;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0-326
    • /
    • 2016
  • 기후-스마트 농업의 관점에서 농업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그 양을 정확히 산정하는 것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농업 부문 배출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논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의 정확한 산정을 위해 2010년 농림어업총조사의 전수자료와 수정된 물관리보정인자 산정법 및 그 계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이해하기 쉽도록 ArcGI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지도화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된 값을 현장의 실측 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큰차이가 없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를 더욱 확대할 필요성이 충분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행정구역별 메탄 배출량 지도를 통해 지역적으로 나타나는 차이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으며, 주요 조절 인자에 대한 분석은 실질적인 메탄 저감 대책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