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ction sound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5초

관 경사출구에 부착된 플랜지가 음향반사계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flange attached to the inclined exit of tube on the sound reflection coefficient)

  • 백두산;양윤상;이동훈;조재형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8-621
    • /
    • 2014
  •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reducing the noise radiated from the tube exit by controling the sound reflection coefficient at the inclined exit. The sound reflection coefficient at the inclined exit of flanged tube was measured by both transfer function method and standing wave ratio method. Accuracy on the sound reflection coefficient measured by transfer function method wa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sound reflection coefficient measured by standing ratio method. The flanged tube had lower sound reflection coefficient than the tube which have no flange. Also the sound reflection coefficient was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increasing the inclined angle of unflanged tube.

  • PDF

반사음이 존재하는 양귀 모델의 음원분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und source segregation of frequency domain binaural model with reflection)

  • 이채봉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91-96
    • /
    • 2014
  • 두 개의 입력소자에 의한 음원방향 및 분리방법으로서는 연산량이 적고, 음원분리 성능이 높은 주파수 양귀 모델(Frequency Domain Binaural Model : FDBM)이 있다. FDBM은 주파수 영역에서 양귀간 위상차(Interaural Phase Difference : IPD) 및 양귀간 레벨차(Interaural Level Difference : ILD)를 구하여 음향신호가 오는 방향과 음원의 분리처리를 한다. 그러나 실제 환경에서는 반사음의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반사음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선행음 효과에 의한 직접음의 음상정위를 모의하여 초기 도착음을 검출하고 직접음이 오는 방향과 음원분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음원방향 추정 및 분리에 대한 성능을 시뮬레이션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방향추정은 음원이 오는 방향에서 ${\pm}10%$의 범위로 집중되어 음원의 방향과 가까운 값으로 추정되었다, 반사음이 존재하는 경우의 음원분리는 기존의 FDBM에 비하여 코히런스(Coherence), 음성품질 지각평가 PESQ(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 PESQ)가 높고, 정면에서의 지향특성 감쇠량이 작아 분리의 정도가 개선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반사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분리 정도가 낮았다.

능동흡음재를 이용한 음파반사 제어기법 연구 (Study on Sound Reflection Control using an Active Sound Absorber)

  • 장우석;권대용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06-814
    • /
    • 2009
  • 이 논문은 능동흡음재를 이용한 수중음향반사파 상쇄에 관한 연구이다. 능동흡음재는 평판형 구동센서와 수신센서로 몰딩되고 외부 제어기와 연결된 구조로 되어있다. 이 두 층의 센서와 피드백제어기는 하나의 피드백 루프를 이루며, 이 루프의 특징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입사파에 대해 음향 임피던스가 자동적으로 정합되어, 자동적으로 반사파를 상쇄하는 특성을 가진다. 능동흡음재의 전기 구조 음향의 다중물리특성은 1차원 전달함수로 모델링 되고, 운용주파수 대역에서 입사파에 대한 반사파가 최소화 되도록 제어기의 전달함수가 설정된다. 능동형 흡음재는 수동형 흡음재의 두께에 비하여 현저히 얇은 두께를 가지며, 간단한 아날로그 회로 제어기만으로도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흡음특성을 보인다.

적응 삼각형 빔 방법에 의한 실내음장 해석 (A Study on the Indoor Sound-field Analysis by Adaptive Triangular Beam Method)

  • 조대승;성상경;김진형;최재호;박일권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17-224
    • /
    • 2003
  • In this study, the adaptive triangular beam method(ATBM) considering different sound reflection coefficients and angles of a triangular beam on two or more planes as well as diffraction effect is suggested. The ATBM, subdividing a tracing triangular beam into multiple triangular beams on reflection planes, gives reliable and convergent sound-field analysis results without the dependancy on the number of initial triangular beam segmentation to search sound propagation paths from source to receiver. The validity of the method is verified by the comparison of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for energy decay curve and steady-state sound pressure level of rooms having direct, reflective and diffractive sound paths.

두 개의 각주형 건물에 의한 도로교통소음의 감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ttenuation of Road Traffic Noise with two Pillar Buildings)

  • 김화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9-76
    • /
    • 2003
  • When houses or buildings are adjacent to roads, with no effective prevention of road traffic noise, neighbors are exposed to i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sound propagation before taking a countermeasure against road traffic noise. It is easy to estimate the properties of sound propagation without obstacles, but very difficult and complex to estimate them with o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useful tool that can estimate the properties of sound propagation. In the beginning of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ttenuation of road traffic noise with two pillar buildings, and presented practical approximate calculation method, and verified that through scale model. The outcome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Over second reflection sound waves can be ignored. (2) Diffraction sound waves that happen when reflection sound and first diffraction wave are projected at the wedge of other building can be ignored.

음향조정실에서 적절한 초기지연시간을 갖는 무반사지역의 설계연구 (Design for the Reflection Free Zone with the Adequate Initial Time Delay Gap at the Control Room)

  • 이에스더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2-41
    • /
    • 2007
  • 엔지니어의 모니터링 위치가 한 지점에만 한정되어 있는 음향조정실의 기존개념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지역적인 방식으로 개선하였다. 이를 위하여, Davis의 $LEDE^{TM}$ 방식을 도입하였고, 내부의 구조 및 흡음재료의 특성, 확산기 및 저역흡음기의 설치와 음상법 등을 활용하여 초기시간지연을 제어하였다. 따라서 여러 엔지니어들이 서로 유사한 음향특성 하에서 동시에 소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무반사지역을 형성시켰다. 뿐만 아니라, 음향조정실 (특히 무반사지역) 안에서 정재파, 음향초점, 컬러링, 하스효과 그리고 플러터 에코 등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

Acoustic Properties of Rubber Compound for Anechoic Coating

  • Bae, Jong Woo;Kim, Won Ho;Ahn, Byung Hyu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3권4호
    • /
    • pp.195-201
    • /
    • 2018
  • Three kinds of rubber compounds were prepared, and their underwater acoust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or anechoic coating.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rubber compounds were measured using a dynamic mechanical analyzer and extended to 100 kHz using time-temperature superposition. The sound speed, reflection coefficient, and attenuation constant were calculated. Silicone rubber showed the lowest reflection coefficient, and nitrile rubber showed the highest attenuation constant. The acoustic properties of nitrile rubber compounds with various compositions were investigated. The sound speed, reflection coefficient, and transmission coefficient of the nitrile rubber in the frequency range of 200-1000 kHz were measured in a water-filled tank.

시뮬레이션에 의한 성덕대왕 신종 음관의 특성 (A Simulation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Pipe of King Song-Dok Bell)

  • 최명진;박홍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69-76
    • /
    • 2005
  •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pipe on the top of King Song-Dok bell, using computer simulation, the throat impedance was evaluated for the straight pipe and conical pipes with varying taper angles. When sound propagates in a rigid walled, unflanged circular pipe with wavelength larger than radius, the acoustic motion is planar, much as in a bar. The incident sound waves are reflected at the end of pipe and some of them are transmitted. The reflection coefficient and radiation impedance of the sound-pipe of King Song-Dok bell were calculated, a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high frequency sound is radiated through the sound-pipe. It behaves like a frequency filter.

  • PDF

초미세 발포 플라스틱의 음향특성 연구 (A Study on Acoustical Characteristics in Microcellular Foaming Plastics)

  • 차성운;김학빈;이병희;강연준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71-77
    • /
    • 2008
  • Microcellular foaming plastics create a sensation at polymer industrial for lowering product costs and overcoming a lowering of mechanical intensity. Among many advantages, microcellular foaming plastics is well known to have a good acoustical properties. This research based on the experiment of sound absorption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inquire into acoustical properties of microcellular foaming plastics. Difference of transmission loss of microcellular foaming plastics and solid materials was defined as cell effect. Also, cell effect is expressed by sound reflection and sound absorp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fundamental research to present economical, functional alternative plan for products using sound absorption and transmission materials.

일차 반사음으로 구성된 음장에서의 최적지연시간과 주관 Preference의 판단 (Preferred Dealy Time and Subjective Preference Judgment for Sound Field with Single Reflection)

  • 강성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12
    • /
    • 1988
  • 일차 반사음의 최적지연시간과 음장의 Preference 판단에 있어서 다른 민족간의 피험자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기 위해, 무향실에서 일차 측방반사음을 시뮬레이션하여 지연시간을 가변하면서 주관 Preference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일차 반사음의 최적지연시간은 반사음의 레벨이 직접음의 레벨과 같을때 음원의 자기상관함수(ACF) 의 유효지속시간과 일치하며, 음악 모티브가 다르고, 판단 시리즈가 달라도 음장에 대한 Preference판단에 기본적인 차이가 없는 것을 알았다. 또 하나의 음악 모티프에서 다른 2개의 패세지를 사용하여 Preference실험한 결과, 음악 전체에 대한 ACF의 유효지속시간의 변동이 적음을 알았다. 따라서 일차반사음의 최적지연시간은 음원의 ACF와 반사음의 진폭으로부터 예측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