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erence Object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21초

공공예술의 기본 특성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공항 공공예술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r Satisfaction Based on Basic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A Case Study of Airport Public Art)

  • 장온;추장운;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167-1174
    • /
    • 2022
  • With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city, public art as a business card of the famous city of culture has become a hot topic of research. The intervention of public art in public space not only brings users a sense of space experience, but also becomes a unique carrier of urban and rural image making. Although there is much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aesthetics and function of public art, there is few quantitative research on user satisfaction. This paper takes the basic features of airport public art as a research object and the basic features of airport public art as the theoretical basis to study the impact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airport public art on user satisfaction. Research methods were based on questionnaire data of 247 people, in whi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PSS 21.0 software, based on the induction and extraction of nine influential factors i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The study found that public interpretation, media patterns, color perception, modeling form, place perception, city image and memory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user satisfaction. The sharedness of public art, cognition and communication in public culture and spatial relations do not affect satisfaction. Conclusion, inspiration and prospect provide suggestions for designers and reference data and theoretical support for public art evaluation.

도심 자율주행을 위한 라이다 정지 장애물 지도 기반 위치 보정 알고리즘 (LiDAR Static Obstacle Map based Position Correction Algorithm for Urban Autonomous Driving)

  • 노한석;이현성;이경수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9-44
    • /
    • 2022
  • This paper presents LiDAR static obstacle map based vehicle position correction algorithm for urban autonomous driving. Real Time Kinematic (RTK) GPS is commonly used in highway automated vehicle systems. For urban automated vehicle systems, RTK GPS have some trouble in shaded area. Therefore, this paper represents a method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host vehicle using AVM camera, front camera, LiDAR and low-cost GPS based on Extended Kalman Filter (EKF). Static obstacle map (STOM) is constructed only with static object based on Bayesian rule. To run the algorithm, HD map and Static obstacle reference map (STORM) must be prepared in advance. STORM is constructed by accumulating and voxelizing the static obstacle map (STOM). The algorithm consists of three main process. The first process is to acquire sensor data from low-cost GPS, AVM camera, front camera, and LiDAR. Second, low-cost GPS data is used to define initial point. Third, AVM camera, front camera, LiDAR point cloud matching to HD map and STORM is conducted using Normal Distribution Transformation (NDT) method. Third, position of the host vehicle position is corrected based on the Extended Kalman Filter (EKF).The proposed algorithm is implemented in the Linux Robot Operating System (ROS) environment and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only lane-detection algorithm. It is expected to be more robust and accurate than raw lidar point cloud matching algorithm in autonomous driving.

대구 근현대 출판문화기록 도큐멘테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예비 분석 (A Preliminary Analy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 Documentation Strategy of Modern and Contemporary Publishing Cultural Records in Daegu)

  • 정인영;이종욱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6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대구 근현대 출판문화를 기록화하여 보존,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ackman의 실행모델 중 도큐멘테이션 '영역의 정의와 예비분석 단계'를 적용하였다. 예비분석 단계에서는 특정 주제를 기록화한 사례를 조사하고 대구 출판문화 기록화 관계자(연구자, 현장관계자, 기록관리요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조사 내용은 국내 사례와 해외 사례를 '수집영역', '참여집단', '수집방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면담 내용은 '대구 근현대 출판문화의 가치', '수집 대상과 방법', '도큐멘테이션 집단','어려움과 한계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도큐멘테이션 전략 요소를 제안한 뒤, 기록관리 전문요원의 의견을 수렴하여 이를 수정, 보완하였다. 전략 요소는 도큐멘테이션 목적, 시기적·지리적·형태적 영역, 집단별 역할, 참고정보원, 선행작업과 수집 및 운영의 주요 고려사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예비분석이 대구의 출판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하는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SoC 환경에서 TIDL NPU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도로 영상 인식 기술 (Road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Using TIDL NPU in SoC Enviroment)

  • 신윤선;서주현;이민영;김인중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11호
    • /
    • pp.25-31
    • /
    • 2022
  •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딥러닝 기반 영상처리는 매우 중요하다. 자동차를 비롯한 SoC(System on Chip)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도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영상처리 모델을 딥러닝 연산에 특화된 NPU(Neural Processing Unit) 상에서 실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GPU 서버 환경에서 개발된 7종의 오픈소스 딥러닝 영상처리 모델들을 TIDL (Texas Instrument Deep Learning) NPU 환경에 이식하였다. 성능 평가와 시각화를 통해 본 연구에서 이식한 모델들이 SoC 가상환경에서 정상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NPU 환경의 제약으로 인해 이식 과정에 발생한 문제들과 그 해결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딥러닝 모델을 SoC 환경에 이식하려는 개발자 및 연구자가 참고할 만한 사례를 제시한다.

주기가열법을 이용한 탄소/에폭시 및 다공성 단열재의 진공 열확산도 측정 (Thermal Diffusivity Measurement of Carbon/Epoxy and Porous Thermal Insulation Material under Vacuum Condition Using Cyclic Heating Method)

  • 남기원;이영무;;공철원
    • Composites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20-25
    • /
    • 2007
  • 열주기법은 다공성 소재의 열확산도를 측정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본 논문의 주 목적은 진공환경에서 다공성 소재의 열확산도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검증하는데 있다. 이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알루미나 시편과 폴리스티렌 폼의 열확산도를 측정하였다. 이 시편들의 열확산도는 참고값과 일치하였다. 탄소/에폭시 소재와 다공성 단열소재의 열확산도를 대기상온과 대기진공 환경에서 측정하였다. 탄소/에폭시 소재와 다공성 단열소재의 진공환경에서 열확산도는 대기환경에 비하여 각각 66.4%와 64.9% 감소하였다. 이 차이는 소재내의 기공에 있는 공기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모래 상자 놀이 기반 심리 진단 전문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sychological Diagnosis Expert System based on the SandTray)

  • 손세진;이강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235-244
    • /
    • 2017
  • 본 논문은 모래 상자 놀이에서의 심리 진단을 위한 시스템을 규칙 기반 전문가 시스템을 적용하여 설계하고자 한다. 모래 상자 놀이는 놀이 치료 중 하나이며 모래와 여러 종류의 피규어들을 이용한 심리 진단과 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기법이다. 이 기법에서 심리 진단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입력 값이 주어지면 자동으로 심리 유형을 진단해 주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에 진단 기법에서 기준 요소로 이용되는 모래 상자에 배치한 피규어들의 종류, 피규어들의 배열 상태, 제작 시간을 6가지의 언어 객체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규칙을 생성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내담자가 완성한 모래 상자를 센서 장치로 인식 한다 가정한다. 그리고 인식한 상태가 입력 값으로 들어오면 언어 객체를 기반으로 한 규칙들이 차례로 점화된다. 이를 통해 내담자에게 26가지의 심리 유형중 하나를 진단해 준다. 결과적으로 진단과정을 간편화 하고 자동화하려 한다. 그리고 보다 세분화된 심리 진단을 내려주어 그에 맞춘 치료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AHP기법을 활용한 중국 지방정부 공공데이터 자산의 상업적 가치평가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usiness value assessment of local government open data assets in China based on AHP technique)

  • 윤가명;심재연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3호
    • /
    • pp.201-210
    • /
    • 2023
  • 본 연구는 데이터 생태학 이론에 기초하여 중국 지방자치단체의 공개 공공 데이터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데이터 자산가치 평가방법을 데이터 비즈니스 운영의 새로운 관점에서 비교하였다. 계층적 분석방법(AHP)을 사용한 평가 모형을 이용한 연구결과는 전통적인 비용, 수익 및 시장 방법보다 정부 개방형데이터 자산의 상업적 가치를 더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었으며, 데이터 가치지수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지역 데이터 가치에 대한 종합적인 검색결과를 더 잘 반영되고 있었다. 자료를 보면 지방정부의 데이터 가치평가지수는 지역의 디지털 경제발전지수에 비례하여 디지털 경제에 대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데이터 가치를 이해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로 인하여 데이터 혁신 및 데이터 비즈니스 운영모델구축을 촉진하고, 사회복지를 개선하며, 데이터 실현을 위해 디지털 경제의 빠른 발전을 촉진하는 연구 및 실천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하였다.

Development of Sensibility Vocabulary Classification System for Sensibility Evaluation of Visitors According to Forest Environment

  • Lee, Jeong-Do;Joung, Dawou;Hong, Sung-Jun;Kim, Da-Young;Park, Bum-J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9-217
    • /
    • 2019
  • Generally human sensibility is expressed in a certain language. To discover the sensibility of visitors in relation to the forest environment, it is first necessary to determine their exact meaning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ort these terms according to their meanings based on an appropriate classification system.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classification system for forest sensibility vocabulary by extracting Korean words used by forest visitors to express their sensibilities in relation to the forest environment, and established the structure of the system to classify the accumulated vocabulary. For this purpose, we extracted forest sensibility words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experiences reported in the past as well as interviews of forest visitors, and categorized the words by meanings using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maintain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Next,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se words was established with reference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vocabulary in the Korean language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s a result, 137 forest sensibility words were collected using a documentary survey, and we categorized these words into four types: emotion, sense, evaluation, and existence. Categorizing the collected forest sensibility words based on this Korean language classification system resulted in the extraction of 40 representative sensibility words. This experiment enabled us to determine from where our sensibilities that find expressions in the forest are derived, that is, from sight, hearing, smell, taste, or touch, along with various other aspects of how our human sensibilities are expressed such as whether the subject of a word is person-centered or object-centered. We believ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about forest sensibility.

행동모드 변화 모델링에 따른 피난시간 비교분석과 활용방안 연구: 지하 주차장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Utilization of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Variation of Modelling of Behavior Modes: Focusing on the Case of Underground Parking Lot)

  • 구기경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84-292
    • /
    • 2024
  • 연구목적: 지하 주차장 화재는 동일 규모의 일반화재에 비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의 우려가 크고 소방관의 소화활동 및 인명구조가 용이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물의 피난안전성 평가를 위해 적용되는 피난 Simulation 행동모드의 변화를 기반으로 주차장 이용자의 피난안전성 확보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Pathfind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ASE 별로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기준값이 높아질수록 피난시간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Behavior는 Steering Mode 보다는 SFPE Mode에서 시간증가를 나타냈다. Priority는 무순위 지정보다는 우선순위 지정에서 시간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지하주차장의 피난안전성 평가을 위한 피난소요시간(RSET)과 피난안전성 확보의 건축물 피난설계는 Simulation의 Behavior Mode와 Priority을 구분하여 평가·반영되어야 한다.

Computer Vision-Based Measurement Method for Wire Harness Defect Classification

  • Yun Jung Hong;Geon Lee;Jiyoung W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77-84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비전을 사용하여 6가지 측정값(눌린 단자의 길이, 단자 끝의 치수(폭), 눌린부분(와이어 부분, 코어 부분)의 폭)을 계산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결함을 정확하고 빠르게 탐지할 것을 제안한다. 두 가지 유형의 데이터에서 Harris 코너 검출을 활용하여 물체의 위치를 탐지하고 측정 영역별 특징과 배경과 물체 사이의 음영 차이를 활용하여 각 샘플의 기울기를 반영하는 측정값을 추출하기 위한 기준점을 생성한다. 이후 유클리드 거리 방법과 보정 계수를 사용하여 예측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통해 와이어의 위치 변화에 관계 없이 측정값을 예측할 수 있다. 각 측정 유형별로 99.1%, 98.7%, 92.6%, 92.5%, 99.9%, 99.7% 정확도를 달성하였으며, 모든 측정값에서 평균 97%의 정확도로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해당 검사 방법은 기존 검사 방법인 육안 검사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작은 양의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우수한 결과를 도출 가능하다. 또한 이미지 처리만 이용하기 때문에 딥러닝 방법보다 더 적은 데이터와 비용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