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erence Object

검색결과 612건 처리시간 0.028초

레퍼런스 패턴 기반 면내 위치 측정 방법 (Measuring Method of In-plane Position Based On Reference Pattern)

  • 정광석
    • 융복합기술연구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43-48
    • /
    • 2012
  • Generally, in-plane position of moving object is measured referring to the reference pattern attached to the object. From optical camera to magnetic reluctance probe, there are many ways detecting a variation of the periodical pattern. In this paper, the various operating principles developed for in-plane positioning are reviewed and compared each other. And, a novel method measuring large rotation as well as x, y linear displacements is suggested, inclu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verall system layout. It is a modified version of the surface encoder, which is a robust digital measuring method. From the surface encoder, the rotation of an object is measured indirectly through a compensated input of optical servo and independently of linear displacements. So, the operating range can be extended simply by enlarging the reference pattern, without magnifying the decoding units.

  • PDF

초음파 영상에서 LoG 연산자를 이용한 진단 객체의 3차원 분할 (3D Segmentation of a Diagnostic Object in Ultrasound Images Using LoG Operator)

  • 정말남;곽종인;김상현;김남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47-257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a three-dimensional (3D) segmentation algorithm for extracting a diagnostic object from ultrasound images by using a LoG operator In the proposed algorithm, 2D cutting planes are first obtained by the equiangular revolution of a cross sectional Plane on a reference axis for a 3D volume data. In each 2D ultrasound image. a region of interest (ROI) box that is included tightly in a diagnostic object of interest is set. Inside the ROI box, a LoG operator, where the value of $\sigma$ is adaptively selected by the distance between reference points and the variance of the 2D image, extracts edges in the 2D image. In Post processing. regions of the edge image are found out by region filling, small regions in the region filled image are removed. and the contour image of the object is obtained by morphological opening finally. a 3D volume of the diagnostic object is rendered from the set of contour images obtained by post-processing. Experimental results for a tumor and gall bladder volume data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yields on average two times reduction in error rate over Krivanek's method when the results obtained manually are used as a reference data.

'맞은편'은 어디인가? 공간언어의 모호성과 의사소통 문제 (Which Direction Is the Opposite Side? The Ambiguity of Spatial Language and Communication Problems)

  • 이종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1-86
    • /
    • 2008
  • 공간정보를 전달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의사소통의 불일치가 발생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맞은편' 이라는 공간언어를 통해 공간언어가 갖고 있는 의미의 모호성이 사람들 간 의사소통 문제를 일으키는 하나의 원인이 된다는 점을 실험을 통해서 증명하는 것이다. 단순화된 '사거리'를 활용하는 평가도구를 통해 실험 참가자들이 생각하는 '맞은편'은 어디이며, 그 방향이 맞은편을 얼마나 정확하게 의미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은 대부분의 실험 참가자들이 한 방향 이상을 '맞은편'으로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맞은편' 이라는 용어가 갖고 있는 의미의 모호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실험 참가자들은 준거로 주어진 정사각형 건물의 수직과 수평 방향을 고르게 '맞은편'으로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준거가 되는 건물의 형태 변화, 준거가 되는 건물에 내재적 방향성 부여 등도 '맞은편' 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투영 모아레 기법을 이용한 Mapping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pping using Projection Moir Technique)

  • 유복모;이성옥;유광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0
    • /
    • 1985
  • 모아레는 음영 모아레와 투영모아레로 나뉘어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지상 사진 측량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므로써 투영모아레 system의 기준면 방향의 결정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기준점 측량을 행하였고, 이로부터 얻은 결과와 모아레 사진에 의한 좌표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투영 모아레 기법에서는 투영점과 촬영점을 이동하지 않고도 대상물상에 생기는 주격자와 보조격자의 격자 간격을 달리하므로써, 각각 다른 기준면 방향의 모아레 등고선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었으며, 대상물과 평행한 기준면 방향의 모아레 등고선도는 대상물 상에서의 두 격자 간격이 같을 때 얻어짐을 알았다.

  • PDF

ACASH: 웹 객체의 이질성과 참조특성 기반의 적응형 웹 캐싱 기법 (ACASH: An Adaptive Web Caching Method with Heterogeneity of Web Object and Reference Characteristics)

  • 고일석;임춘성;나윤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3호
    • /
    • pp.305-313
    • /
    • 2004
  • 웹 객체의 저장과 처리를 위한 캐시의 사용이 증대하고 있으며, 캐시 저장영역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웹 캐싱 기법은 전통적인 기법과 차이가 있다. 특히 웹 캐싱의 처리 단위인 웹 객체의 이질성과, 시간에 따른 웹 객체 참조특성 변화는 기존 기법들의 성능을 감소시키는 중대한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웹 캐싱 기법인 ACASH(the Adaptive Caching Algorithm with Size Heterogeneity)를 제안하였다. ACASH는 웹 객체와 캐시 영역을 이질성을 기반으로 분할 관리함으로서 객체의 이질성 편차를 줄였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객체 참조 특성의 변화를 적응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또한 객체의 이질성을 고려한 두 개의 실험 모델에 대해, 기존의 대체 기법들과 비교 실험을 통해 ACASH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웹 객체 이질성 기반의 적응형 웹캐싱 기법 (An Adaptive Web Caching Method based on the Heterogeneity of Web Object)

  • 고일석;나윤지;임춘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79-1382
    • /
    • 2004
  • The use of a cache for storing and processing of Web objects is becoming larger. Also, many studies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storing scope of caches are being done. Web caching algorithms have many differences from traditional algorithms. Particularly, heterogeneity of Web objects that are processing units of Web caching, and a variation of Web object reference characteristic with time are the important causes of the decreas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algorithms.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new web-caching algorithm. A heterogeneity variation of an object can be reduced as the proposed method dividedly managing Web objects and a cache scope with heterogeneity, and it is adaptively reflecting a variation of object reference characteristics with the flowing of time. In the experiments, we verifi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as more improved than existing algorithms through the two experiment models which considered heterogeneity of an object.

  • PDF

물체의 면 반사특성 추정과 측광정합을 이용한 3차원 형상복구 (Estimation of surface reflectance properties and 3D shape recovery using photometric matching)

  • 김태은;류석현;송호근;최종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633-1641
    • /
    • 199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anlayzing the properties of surface reflectance and reconstructing the shape of object using estimated reflectance parameters. We have investigated the hybrid reflectance surface which has specularreflection and diffuse reflection, which can be explained by Torrance-Sparrow model. Sample sphere made on one maerial is used to estimate the reflectance properties by using LMS algorithm. We can make the reference image which consists of surface normal and brightness value using estimated reflectance parameters, and thenarbitrary shape object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sample can be reconstructed by matching with reference image. Photometric matching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robust because it mateches object image with the reference imageconsidering its neighbor brightness distribution. Also, in this paper plate diffuse illumination is used to remove intensity disparity with simple scheme.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applied to 3D recognition, vision inspection system and other fields.

  • PDF

실감형 360도 미디어의 RGB 벡터 및 객체 특징정보를 이용한 대표 프레임 선정 방법 (A Reference Frame Selection Method Using RGB Vector and Object Feature Information of Immersive 360° Media)

  • 박병찬;유인재;이재청;장세영;김석윤;김영모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050-1057
    • /
    • 2020
  • 실감형 360도 미디어는 기존 영상보다 고품질, 초대용량으로 영상의 크기가 크며, 다양한 렌더링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방식으로 이미지 처리할 경우 영상인식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감형 360도 미디어의 특성상 특정 장소에서 카메라를 고정시켜 한 장면만 촬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모든 영상에서 특징정보를 추출할 필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실감형 360 미디어의 프레임 추출과정, 프레임 다운사이징, 구형 형태의 렌더링 과정을 거치고, 렌더링 과정에서 영상을 16개 프레임으로 분할 캡처하여 캡처된 프레임에서 객체 정보가 많은 중앙 부분에서 픽셀당 RGB 벡터와 딥 러닝을 이용하여 객체를 추출한 뒤, 객체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대표 프레임을 선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철도 선로 및 시설물 공간정보 참조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erence System for Spatial Information of Railway Object)

  • 원종운
    • 정보화연구
    • /
    • 제11권4호
    • /
    • pp.441-448
    • /
    • 2014
  • 최근 각 산업분야에서 공간정보의 구축은 물론 그 활용과 유통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철도산업분야에서도 이러한 공간정보는 각 관련 주체간 협업 등을 원활하게 하고, 자산관리 및 철도운영 등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공간정보의 체계적인 활용을 위해 철도공간정보에 대한 참조체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철도는 상대위치 개념을 중심으로 모든 시설물 관리와 차량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대위치 기반의 관리체계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선로 개량 등으로 선형 변화가 발생할 경우 변경된 지점을 중심으로 그 다음 위치들은 모두 상대위치를 변경하여야만 하는 어려움 또한 유발된다. 그리고 토목, 전기, 신호 등 철도의 각 분야에 속한 시설물들은 각각 다른 상대위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협업의 어려움 또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철도산업 이외의 분야와 협업 및 정보 융복합 등을 위하여 절대위치 기반의 철도공간정보참조체계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유일한 객체식별자를 가지는 OID표준을 기반으로 철도공간정보참조체계 식별자 ROID(Railway Object IDentifier)와 시스템 확장성 및 연계성이 높은 서비스 객체지향형 철도공간정보참조체계를 제안한다. ROID는 기존의 철도 시설물 관리체계를 유지하면서 절대위치와 함께 유일한 식별자 개념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Vanishing Point Detection using Reference Objects

  • Lee, Sangdon;Pant, Sudarsha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00-309
    • /
    • 2018
  • Detection of vanishing point is a challenging task in the situations where there are several structures with straight lines. Commonly used approaches for determining vanishing points involves finding the straight lines using edge detection and Hough transform methods. This approach often fails to perform effectively when there are a lot of straight lines found. The lines not meeting at a vanishing point are considered to be noises. In such situation, finding right candidate lines for detecting vanishing points is not a simple task. This paper proposes to use reference objects for vanishing point detection. By analyzing a reference object, it identifies the contour of the object, and derives a polygon from the contour information. Then the edges of the detected polygon are used to find the vanishing points.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 can detect vanishing points with comparable accuracy to the existing edge detection based method. Our approach can also be applied effectively even to complex situations, where too many lines generated by the existing methods make it difficult to select right lines for the vanishing 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