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employment Nurse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재취업 지원사업 참여 간호사의 취업 실태 분석 (Analysis of Reemployment Status of Nurses Participated in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 이건정;황성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86-402
    • /
    • 2015
  • 본 연구는 지난 2011년부터 대한간호협회 산하 9개 시 도간호사회에서 진행되었던 경력단절 간호사를 위한 재취업 지원사업에 참여한 간호사들의 취업 실태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 상태의 차이, 재취업 후 이직 및 퇴직 상태의 차이를 분석하여 재취업 지원 사업의 결과 및 제한점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6개월 이상 미취업 상태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간 재취업 지원서비스를 받았던 간호사로 본 조사연구에는 332명이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재취업 지원서비스를 받은 경력단절 간호사 중 59.9%만이 재취업하고 취업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22.3%는 재취업을 하지 않았고, 17.8%는 재취업 후 다시 그만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취업하지 않고 있는 이유로는 임신 양육기의 여성에게 적합하지 않은 근무시간과 저임금이 주요하게 지적되었다. 재취업 상태를 일반적 특성으로 비교한 결과, 경력단절 기간이 길고 자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3년제 졸업 간호사들에게서 재취업 성공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경력단절 기간이 길수록 취업률이 높고 이 퇴직률은 낮으나, 대상자의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취업 및 취업유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재취업 지원사업이 더 큰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경력단절 간호사의 다양한 요구와 수준에 맞는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다양한 근무형태나 임금 향상 등의 근무조건 개선이 함께 전개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신규간호사 및 재취업간호사의 재직의도, 현장적응 및 교육요구도 조사 (Survey on the Intention to Stay, Field Adaptation, and Educational Demands in New Nurses and Reemployment Nurses)

  • 김숙정;지혜련;임유진;김남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06-51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와 재취업간호사의 재직의도, 현장적응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비교하는 것이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 현장적응력을 강화하고 이직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비교조사연구를 방법론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을 졸업한 신규간호사 48명과 6개월 이상의 경력단절기간을 가진 후 재취업한 간호사 48명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 차이는 결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현장적응 정도는 신규간호사의 가족 부양의 책임 유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규간호사와 재취업간호사 두 군간의 재직의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t=-2.10, p=.038), 현장적응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1.48, p=.142). 마지막으로, 연구 대상자들이 가장 원하는 직무교육 주제는 응급환자간호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와 재취업간호사의 현장적응을 강화하고 재직의도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경력 단절 후 재취업한 간호사의 스트레스 경험 (The stress experience of nurses who are reemployed after career interruption)

  • 손은진;엄재현;남은숙;채영란;길명숙;박은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25-136
    • /
    • 2016
  •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간호사의 경력단절 후 재취업 경험에 대한 스트레스의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하는 질적 연구이다. 대상자는 보건의료기관 근무 후 퇴직하고 3년 이상 단절 후 다시 재취업을 경험한 간호사이다. 분석결과는 총 5개의 주제 군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범주는 '주어진 현실과 내 기대와의 엇박자', '어린선배와의 골이 깊어져 상처가 됨', '변화된 업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몸부림', '슈퍼맘으로서 홀로 지쳐감', '전문직으로서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 침'이다. 본 연구결과에서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간호사들은 동료, 가정, 의료 환경과의 엇박자를 경험하면서도 이를 극복하여 궁극적으로 전문직 간호사로 나아가고자 발버둥 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경력 단절 이후 재취업 하는 간호사가 현장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재취업 간호사를 교육하는 기관에서 변화된 병원환경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더불어 변화된 의료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재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업무환경과 간호업무의 전문성을 증진시키고 간호사의 자부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경력단절 간호사들이 재취업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유휴간호사 재취업 경험 (Re-employment Experience of Nurses Who Have Left the Profession)

  • 변영순;김미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68-778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employment process of inactivated nurses returning to the nursing field and to develop a grounded theory about their re-employment experiences. Method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face-to-face interview and telephone interviews from 10 nurses. The ground theory methodology of Strauss and Corbin (1998) was used for theoretical sampling in accordance with their unemployment period and reason for leaving prior to reemployment; whereas work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performed concurrently. Results: The core category was discovered to be 'identifying a career path by striking a balance between the practical and the ideal'. This series of processes was categorized into five stages: 'trying to get a job again', 'tolerating difficulties as a beginner', 'trying their best to remain a nurse', 'trying to get another job', and 'staying in the profession till the en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n understanding and profound insight on the issue of a nursing shortage.

보건소 신규방문간호사의 대인태도와 의사소통능력 (The 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Attitud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ew Visiting Nurses in Community Health Center)

  • 임승주;박언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5-122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 of interpersonal attitud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ew community health nurse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correlational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36 visiting nurse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0.0 program. Results: The type of interpersonal attitude in subjects was I+U+ and the scor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3.6. Among 15 sub-dimensions, the highest score was responsiveness and the lowest was assertiven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competence by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s influencing on communication competence in new visiting nurses were interpersonal attitude I+(I am OK) (${\beta}$=.34) and I-(I am not OK) (${\beta}$=-.28). Conclusion: Education program, stressing the self-awareness, is necessary to increase positive interpersonal attitud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for reemployment of community health nurses. Furthermore, in order to reinforce assertiveness, institutional support should be accompanied with the efforts of individu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