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ed(Phragmites communis Tri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갈대(Reed, Phragmites communis Trin.)의 방제를 위한 제초제 스크리닝방법의 확립 - II. Tetrapion 의 효과 (Establishment of Herbicide Screening Methods for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Control - II. Tetrapion Effect)

  • 황인택;최정섭;이희재;김기주;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8-35
    • /
    • 1996
  • 갈대방제용 선택성 제초제를 스크리닝하기 위한 대조약제로서의 tetrapion의 특성을 온실 및 포장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1. Tetrapion을 처리한 식물은 잎이 휘면서 황화되고 생장이 억제되는 증상을 나타내었는데 처리농도가 높을 때에는 식물체 전체가 고사되었다. 2. Tetrapion은 목화를 제외한 모든 작물에 심한 약해를 일으켰으며 벼에 대해서는 직파 벼나 이앙벼의 경우 모두 약해를 일으켰다. 3. Tetrapion의 효과는 광엽 잡초보다 화본과 잡초에 대해 크게 나타났다. 4. Tetrapion은 경엽처리시보다 토양처리시에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5. 포장실험시 tetrapion의 갈대방제효과는 처리시기와 포장의 토성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으며 40kg/ha 이상의 고농도로 tetrapion을 처리하였을 경우에 갈대가 효과적으로 방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억새의 경우에서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6. Tetrapion은 온실에서 키운 갈대에 대해 토양 및 경엽처리시 모두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갈대방제용 제초제의 스크리닝에 사용할 수 있는 대조약제로서의 가치가 있었다.

  • PDF

갈대의 INDOLE 화합물(化合物)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갈대 유아(幼芽)의 Indole 화합물(化合物) 검색(檢索)- (Studies on the Indoles in Common Reed. -[Part 1] Indole Compounds Occuring in the Shoot of Common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 김용화;이춘영;김인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1호
    • /
    • pp.24-30
    • /
    • 1976
  • 갈대(Phragmites communis Trin.)의 지하경(地下莖)을 암소(暗所)에서 3일간 기른 싹의 메타놀 추출물(抽出物)을 TLC로 분리동정(分離同定)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검정(檢定)된 화합물은 주(主)로 indole amine류(類)였으며, serotonin, tryptamine, tryptophan등은 표준화합물과의 co-chromatography에 의해 동정되었고, 용매계를 달리하여 구한 Rf치 및 발색특성을 문헌과 비교하여 추정한 것으로는 bufotenine, N-methylserotonin, N,N-dimethyltryptamine이었으며, Skatole 및 gramine의 존재(存在)의 가능성도 추측(推測)되었다. 2. 갈대 생육의 일정기간 동안 indole 화합물의 methyl화(化) 및 hydroxyl화(化) 대사계(代謝系)의 활성(活性)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생각된다. 3. 본 실험에서 처음 시도된 "overlap"점적(點滴)법을 사용한 TLC방법(方法)은 시료중의 방해물질(妨害物質)의 영향으로 시료와 표준품 간에 동일 화합물(化合物)이 Rf치에 차이(差異)를 나타낼 때 시료중의 동일(同一) 화합물의 검정에 유용한 방법이 될 것이다.

  • PDF

Improving quality of common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silage with additives

  • Asano, Keigo;Ishikawa, Takahiro;Araie, Ayako;Ishida, Motohik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1호
    • /
    • pp.1747-1755
    • /
    • 2018
  • Objective: Common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could potentially provide an alternative resource for silage; however, its silage quality is poo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 reed that contribute to poor quality and determine how the use of additives at ensiling could improve fermentation quality. Methods: In Experiment 1, we determined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e presence of indigenous lactic acid bacteria (LAB) in reed. We further examined fermentation quality of reed silage under conditions without additives (NA) and treated glucose (G), lactic acid bacteria (L), and their combination (G+L). In Experiment 2, silage of NA, and with an addition of cellulase and lactic acid bacteria (CL) were prepared from harvested reed. The harvested reeds were fertilized at nitrogen concentrations of 0, 4, 8, and $12g\;N/m^2$ and were harvested thrice within one year. Results: The indigenous LAB and fermentable carbohydrates are at extremely low concentrations in reed. Reed silage, to which we added G+L, provided the highest quality silage among treatments in Experiment 1. In Experiment 2, N fertilization had no negative effect on silage quality of reed. The harvest times decreased fermentable carbohydrate content in reed. The CL treatment provided a higher lactic acid content compared to the NA treatment. However, the quality of CL treated silage at the second and third harves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at the first harvest, due to a reduction in carbohydrates caused by frequent harvesting. Conclusion: The causes of poor quality in reed silage are its lack of indigenous LAB and fermentable carbohydrates and its high moisture content. In addition, reed managed by frequent harvesting reduces carbohydrate content. Although the silage quality could be improved by adding CL, higher-quality silage could be prepared by adding fermentable carbohydrates, such as glucose (rather than adding cellulases).

노근(蘆根)과 모근(茅根)에 대한 문헌고찰(文獻考察) (Literature Investigation of Phragmites communis Trin.[蘆根] and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茅根])

  • 조남경;김종덕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8-57
    • /
    • 2009
  • 1. Objective :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basis of Constitution assignment of Nogeun(蘆根, Phragmites communis Trin.) used to the medication for Taeyangin. Also, it is to recognize what kind of Constitution of Mogeun(茅根,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is needed to be assigned to. 2. Methods "Dongyi Soose Bowon", 'SinchukBon', 'ChobonKwun', other relate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books, herbal medicine books such as "Boncho Kangmok", and etc. were compared and researched. 3. Results & Conclusions : 1) Nogeun(蘆根) lowers Qi and harmonizes the body. Because of the effect of lowering soar-Qi(氣), it used to treat the symptoms of Taeyangin's vomiting(噎膈反胃, Stomach reflux due to dysphagia-occlusion). Also Yuksoo Nogeun(逆水蘆恨, Reed growing near the river in low scream) is the basis of considering inhale-gathering Qi effect as a major indication of Nogeun. 2) The theory of classifying White Mogeun as a Tae-eumin Medicinal is based on the effect of Radiating while classifying White Mogeun as a Taeyangin Medicinal is based on the effect of treating stomach reflux(反胃). But both basis are not conclusive and thus requires further study. 3) In "Sasang Geumge Bibang", the first text ever to write only about separate medicinals and Classified Foods (食物類) of each constitution, there were examples of Nogeun and Mogeun's usage based on other pre-existing medical texts. 4) Because White Mogeun is classified as Tae-yangin medication in "Dongmu Yugo", but classified as a Taeeumin's medication in "Dongyi Soose Bowon" 'ChobonKwun' and "Sasang Geumge Bibang", there remains a controversy.

  • PDF

갈대(Reed, Phragmites communis Trin.)의 방제를 위한 제초제 스크리닝방법의 확립 - I. 갈대의 육묘 (Establishment of Herbicide Screening Methods for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Control - I. Propagation of Reed)

  • 황인택;최정섭;이희재;홍경식;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27
    • /
    • 1996
  • 갈대방제용 제초제의 스크리닝재료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갈대의 종자, 지하경, 달뿌리풀의 포복경 및 갈대의 마디절편을 이용하여 온실에서 육묘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갈대의 종자, 지하경, 달뿌리풀의 포복경 및 갈대의 마디절편의 발아율은 각각 5, 46, 65, 75%로 나타났다. 2. 갈대의 종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관이 용이하지만 발아율이 매우 낮고 육묘기간이 긴 문제점이 있었다. 3. 갈대의 지하경은 채취가 어렵고 채취시기도 11~3월로 제한되어 있었다. 또한 낮은 발아율, 지하경의 크기와 형태의 불균일, 초기 생육시 개체간의 차이, 보관상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지하경을 이용하여 갈대를 육묘할 때는 원예용 부농상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4. 달뿌리풀의 포복경은 발아율이 비교적 높고 채취가 간편하지만 채취시기가 8~9월로 한정되어 있었으며 보관에 어려움이 있었다. 5. 갈대의 마디절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재료의 확보가 용이 하고 발아율이 비교적 양호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실험재료를 육성할 수 있었다. 마디절편은 채취 후 곧바로 사용해야 하며 중위절의 마디가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8월 이후에 채취한 마디에서의 발아율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온실에서 모주를 재배하면서 필요시 절단하여 사용한다면 제초제 스크리닝용 갈대의 계속적인 육묘가 연중 가능할 것이다.

  • PDF

A report of 12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Suncheon Bay in Korea

  • Seok Won Jang;Jung Hye Eom;Sanghwa Park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405-412
    • /
    • 2022
  • Suncheon Bay Ecological Park, possessing abundant fisheries and biological diversity, was registered as a Ramsar wetland in Korea. Approximately 300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Suncheon Bay in a comprehensive study of indigenous prokaryotic species conducted during 2019-2020 in South Korea. A total of 12 bacterial strains were identified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demonstrating >98.7% sequence similarity with validly published species. These species were determined to be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A total of six strains were isolated from brackish water and Phragmites communis Trin (reed) species. These unrecorded species were phylogenetically diverse and belonged to three classes, six orders, and ten genera. Regarding the genus and class levels, the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belonged to Jiella, Martelella, Rhizobium, Paracoccus, Rhodovulum, and Altererythrobacter of the class Alphaproteobacteria; Mycolicibacterium, Demequina, and Microbacterium of the class Actinobacteria; Confluentibacter of the class Flavobacteria. The twelve species were further characterized by gram staining, colony and cell morphology, biochemical properties, and phylogenetic position.

갈대의 Indole 화합물(化合物) 연구(硏究) -II. 갈대유아(幼芽)의 생장과정중(生長過程中)의 Indole 화합물(化合物)의 변화(變化)- (Studies on the Indoles in the Common Reed -II. Changes of Indole Compounds During the Growth of Sprouts-)

  • 이춘영;김용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2호
    • /
    • pp.65-69
    • /
    • 1976
  • 갈대(Phragmites communis Trin) 유아(幼芽)를 $27^{\circ}C$의 암소에서 110시간 동안 사경(砂耕) 배양(培養)하였다. 유아(幼芽)가 자라는 동안 일정(一定)한 시간마다 시료(試料)를 채취하여 methanol로 처리(處理)하여 그 추출물(抽出物)에 대하여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실시(實施)하였다. 그 결과 배양(培養)하지 않은 유아(幼芽)에서는 indole화합물(化合物) 중에서 serotonin, tryptophan, tryptamine이 다량(多量)으로 나타났으나, 배양(培養) 과정(過程) 중에 이들 화합물(化合物)의 감소(減少)와 더불어 다른 여러 가지 indoleamine류(類)의 생합성(生合成)이 현저(顯著)하였다. 즉 배양(培養) 과정(過程) 중에 tryptophan의 양(量)에는 큰 변화(變化)가 없으나, serotonin 및 tryptamine이 감소하면서, 이들의 methyl화(化) 유도체들이 증가(增加) 하였다. 그 증감(增感)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관찰하여 본 결과, bufotenine은 tryptophan에서 tryptamine을 거쳐 serotonin, N-methylserotonin의 경로(經路)로 합성(合成)될 것임을 시사하였다.

  • PDF

갈대사상여과법(砂床濾過法)을 이용한 축산폐수정화(畜産廢水淨化);I. 처리일수(處理日數) 및 계절별(季節別) 변화(變化) (Purification of Animal Wastewater Using a Reed-Sand-Filter System;I. Retention Period and Seasonal Variation)

  • 이덕배;김종구;강종국;김선관;소재돈;이경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1-239
    • /
    • 1994
  • 축산폐수의 경제적 정화기술을 개발하고자 사상여과조(砂床濾過漕)(모래층 20cm+자갈층 30cm)에 갈대를 재배한 뒤 혐기발효된 양돈폐수의 투입 1, 3, 5, 7일 후 정화 효과를 계절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축산폐수 처리일수가 길수록 갈대에 의한 질소 및 인산의 흡수 이용량이 많아지고 근부에서 발생된 산소로 BOD, COD도 낮아져서 정화 효과가 향상되었다. 2. 갈대의 건물생산량은 7일 처리가 가장 높았고 양분흡수량도 처리기간이 경과할수록 중가하는 경향이었다. 3. 갈대사상여과조는 사상여과조 보다도 오염 물질제거율이 높아 여름의 경우 T - N : 30%, $PO_4^{-3}$: 37%, COD : 42%, 부유물은 30% 더 높은 정화율을 나타내었다. 4. 계절별 축산폐수정화율은 여름철이 가장 높고 가을, 봄 순이었다.

  • PDF

낙동강하구 시범개방에 따른 수변식생 모니터링 및 건강성 평가 (Riparian Vegetation Monitoring and Health Assessment by Pilot Opening of Nakdonggang River Estuary)

  • 최현구;김화영;이준열;손병용;이지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45-459
    • /
    • 2022
  • 본 연구는 낙동강하굿둑 개방으로 인한 하구 인근의 식생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현재 식생에 대해서 조사하고, 하구수변식생평가지수를 통해서 식생의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장기모니터링의 첫 번째 조사로 낙동강하구 인근의 6개 구역에 대해서 2021년 7월과 10월 2차례 수행하였으며, 식생모니터링 및 수생식물, 수변식물, 육상식물의 종조성, 분포밀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구역 내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82과 192속 230종 1아종 28변종 3품종 262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KREVI를 통한 식생건강성 평가 결과는 1, 6번 구역이 두 차례 조사에서 모두 '매우 좋음' 등급이었고, 2, 4번 구역은 '매우 좋음'에서 '좋음'으로 2차 조사결과가 낮게 산정되었으며, 3, 5번 구역은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결과가 1등급 상향되었다. 조사구역 대부분의 건강성 등급이 대체로 높게 평가되었다. 기수역 조성을 위한 수문개방 후 잠재자연식생의 대부분은 갈대군락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수역과 인접한 버드나무군락의 경우 다소 면적이 좁아질 수 있으나 군락 형태를 유지하고, 염분농도가 매우 낮은 내륙지역 담수역의 경우 갈대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일부 물억새, 부들 등의 군락이 분포할 것으로 사료된다. 장기모니터링을 통해 이런 예상되는 변화를 관찰하며, 건강한 기수역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굿둑 개방 운영방안 등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