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e-Eyring and Maxwell model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Polyacrylonitrile-Poly(vinyl chloride) 공중합체 완화스펙트럼의 실험과 이론적인 고찰 (Experimental and Theory for Relaxation Spectrum of Polyacrylonitrile-Poly(vinyl chloride) Copolymers)

  • 김남정
    • 폴리머
    • /
    • 제35권3호
    • /
    • pp.232-237
    • /
    • 2011
  • Polyacrylonitrile-poly (vinyl chloride) 공중합체의 완화스펙트럼을 이론적인 완화스펙트럼 식에 실험적인 응력완화 곡선을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이론적인 완화스펙트럼 식은 Ree-Eyring and Maxwell 모델로부터 유도하였다. 응력완화 실험은 용매기를 부착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였다. 완화스펙트럼의 계산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완화스펙트럼으로부터 고체 고분자의 미세구조, 점탄성적인 성실, 홀 부피가 연구되었다. 또한 이들 시료의 완화스펙트럼은 유동단위의 분자량과 자체확산 분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REM 모델에 의한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공중합체 완화스펙트럼의 pH 영향 (pH Effect on Relaxation Spectra of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Copolymers by REM Model)

  • 김남정
    • 폴리머
    • /
    • 제37권2호
    • /
    • pp.135-140
    • /
    • 2013
  •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공중합체의 응력완화 실험은 용매기를 부착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여러 온도의 공기 중, 증류수, pH 3, 7, 11 용액에서 실행하였다. Ree-Eyring and Maxwell 모델로부터 얻은 완화스펙트럼 식에 실험적인 응력완화 곡선을 대입하여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공중합체의 완화스펙트럼을 얻었다. 완화스펙트럼의 계산은 Laplace 변환법을 사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들 시료의 완화스펙트럼은 유동단위의 분자량과 자체확산 분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Rheological and Mechanical Model for Relaxation Spectra of Polydisperse Polymers

  • Kim, Nam Jeong;Kim, Eung Ryul;Hahn Sang J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3권4호
    • /
    • pp.413-419
    • /
    • 1992
  • The theoretical equation for the relaxation spectrum of nonlinear viscoelastic polymeric material was derived from the Ree-Eyring and Maxwell non-Newtonian model. This model consists of infinite number of hyperbolic sine law Maxwell elements coupled in parallel plus a spring without a dashpot. Infinite number of nonlinear viscoelastic Maxwell elements can be used by specifying distribution of relaxation times, hole volumes, molecular weights, crystallite size and conformational size, etc. The experimentals of stress relaxation were carried out using the tensile tester with the solvent chamber. The relaxation spectra of nylon 6 filament fibers in various electrolytic solutions were obtained by applying the experimental stress relaxation curves to the theoretical equation of relaxation spectrum. The determination of relaxation spectra was performed from computer calculation.

용융 폴리우레탄의 완화 스펙트럼에 의한 자체확산분포 결정 (Determination of Self Diffusion Distributions of Molten Polyurethanes by Relaxation Spectra)

  • 김남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96-202
    • /
    • 2006
  • 점탄성 용융 폴리우레탄의 자체확산분포가 완화스펙트럼과 자체확산분포 관계식으로부터 얻어졌다. ester, PCL PCL dyed 형의 용융 폴리우레탄의 완화스펙트럼은 실험적인 응력완화 곡선을 Ree-Eyring and Maxwell non-Newtonian model(REM 모델)이론식에 적용시켜서 얻는다. 용융폴리우레탄의 응력완화 실험은 온도조절 장치가 있는 physica 레오메타를 이용하여 여러 온도에서 수행되었다. 이론적인 완화스펙트럼은 REM model로부터 유도한 이론적인 완화스펙트럼식을 프로그램화한 컴퓨터 계산에서 구하였다. 폴리우레탄 시료의 자체확산과 비결정 영역의 홀거리가 응력완화 실험에 의해서 연구 조사되었다. 비결정 영역에서의 유동단위의 확산을 연구하기 위해서 확산계수와 홀부피가 유변학적인 파라메타와 결정크기로부터 계산되었다. 폴리우레탄 시료의 완화스펙트럼과 자체확산은 유동 단위의 분자량분포, 점도, 홀부피, 활성화에너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용매 환경에서의 폴리아미드 고분자 재료의 자체확산과 유변학적인 특성 (Self Diffusions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amide Polymer Materials in Various Solvents)

  • 김남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050-1059
    • /
    • 2019
  • 비결정성 영역에서의 유동단위의 고찰을 위하여 유동 파라메타와 결정크기로부터 폴리아미드 섬유고분자 물질의 자체확산, 홀 부피, 유동 열역학 파라메타 등을 계산하였다. 폴리아미드 섬유의 응력완화 실험은 용매기를 부착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여러 온도의 공기, 증류수, 산, 염기 용액에서 실행하였다. REM 모델의 이론적인 응력완화 식에 응력완화 실험 결과를 적용하여 여러 가지 유동 파라메타를 계산하였다. 이들 시료의 유동 파라메타는 완화 스펙트럼, 자체확산, 점도 및 유동 활성화 에너지와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 것으로 규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