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uction of fertilizer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6초

논토양에서 경운 및 무경운재배시 재배방법별 메탄 배출 양상 (Effects of Cultural Practices on Methane Emission in Tillage and No-tillage Practice from Rice Paddy Fields)

  • 고지연;이재생;김민태;강항원;강위금;이동창;신용광;김건엽;이경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16-222
    • /
    • 2002
  • 무경운 재배가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1998~2000년에 걸쳐 식질계 답토양에서 질소비종(요소, 유안, 완효성비료), 시비방법(전층시비, 표층시비), 유기물 시용(볏집시용, 무시용) 및 재배양식(건답직파, 중묘이앙) 등의 다양한 재배조건별 메탄가스 배출량을 경운과 무경운재배에서 조사하였다. 질소비종은 경운유무에 관계없이 유안시비구에서 메탄배출량이 가장 낮았다(요소 대비 26.6~41.1% 저감). 그러나 경운재배에 비해 수량이 낮은 무경운재배에서는 완효성 비료가 메탄배출량이 요소구에 비해 약간 적었고, 수량은 다른 질소비료 시비량이 80% 처리수준에서도 가장 높아 더 효율적인 비종으로 고려되었다. 시비방법에 따라서는 전층시비시 경운구에 비해 무경운구의 메탄배출량이 낮았으나 표층시비시에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볏짚 시용시에는 무경운에 의한 메탄배출 저감 효과가 강조되는 경향으로, 볏짚을 시용하지 않았을 때는 경운 대비 10.7% 저감되었고, $5000kg\;ha^{-1}$시용 시는 26.6% 저감되었다. 중묘이앙 재배시 무경운은 경운에 비해 26.6%의 메탄 배출 저감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건답직파 재배시는 무경운에서 경운보다 메탄배출이 11.2% 증가하였는데 이는 건답직파시 논토양이 완전 담수되는 3엽기 이전에 경운에 의해 토양에 투입된 볏짚 중 상당한 양이 산화적으로 분해되어 $CO_2$로 대기중으로 배출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되었다.

두부종류와 여비방법에 따른 장마의 생육, 괴근수량 및 상품성과 이들간의 관계 (Growth Root Tuber and Economic Yields of Chinese Yam and Their Relationship as Affected by Tuber Head Origin and Fertilizer Application Method)

  • 김영광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01-207
    • /
    • 1995
  •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한방(漢方)의 생약재로서 뿐만아니라 식용(食用)으로서의 마의 소비량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본시험(本試驗)은 정상(正常)마와 분기(分岐)마에서 분리한두부(頭部)를 종근(種根)으로 이용하고 시비방법(施肥方法) (질소멸양(窒素滅量), 측조시비(側條施肥), 관행시비(慣行施肥))를 장(長)마를 재배할시 생육(生育) 괴근(塊根)에 관련된 형질(形質), 수량(收量) 및 상품성(商品性)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여 장(長)마 재배와 상품성(商品性) 제고(提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던바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율(出現率), 만장(蔓長), 덩굴의 분지수(分枝數) 및 경수(莖數)는 두부(頭部) 종류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출현일(出現日)은 정상(正常)마 두부(頭部)에서 빠른 경향을 보였다. 시비방법(施肥方法)간에는 정상(正常)마 두부(頭部)를 이용한 관행시비구(慣行施肥區)의 출현율(出現率), 만장(蔓長)및 경수(莖數)가 가장 양호하거나 많았던 반면, 분기(分岐)마 두부(頭部)의 실소감양구(室素減量區)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2. 괴근장(塊根長), 괴근직경(塊根直徑), 개체당(個體當) 및 단보당(段步當) 생체수양(生體收量)은 분기(分岐)마 두부(頭部)보다는 정상(正常)마 두부(頭部)에서 크고 많았으나, 괴근직경(塊根直徑)을 제외한 괴근(塊根)과 관련된 제형질(諸形質)과 수량(收量)은 양공시두부(兩供試頭部) 모두 실소감양구(室素減量區)에서 가장 적었다. 3. 괴근(塊根)의 크기는 분기(分岐)마 두부(頭部)에 비하여 정상(正常)마 두부(頭部)에서 증가되었고 이러한 증가는 개체당(個體當) 분기괴근수(分岐塊根數) 및 분기괴근수(分岐塊根數)의 비율(比率)이 가장 낮아 상품화율(商品化率)이 가장 좋은 측조시비구(側條施肥區)에서 현저하였다. 4. 개체당(個體當) 또는 경제적(經濟的) 수량(收量)은 양공시두부(兩供試頭部) 모두 괴근장(塊根長)과 정(正)의 상관(相關)이, 분기수(分岐數)와는 부(負)의 상관(相關)이있었다.

  • PDF

제초제(除草劑)가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 Flora에 미치는 영향 - Butachlor 제(第)의 영향 - (The influence of herbicides on soil microflora -Influence of butachlor-)

  • 김정제;정현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31
    • /
    • 1976
  • 담수상태하(湛水狀態下)에서 여비(旅肥)한 토양(土壤)과 무비토양(無肥土壤)에 Butachlor 제(劑)를 250, 500, 1,000ppm으로 첨가(添加)했을 때에 미생물(微生物)의 변동(變動)과 무기양분(無機養分)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고저 Incubation 하면서 7일(日) 간격으로 72일간(日間)에 걸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 Flora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 가. 세균(細菌) : 무비토양(無肥土壤)에 Butachor 제(劑) 500 ppm과 1,000ppm 첨가구(添加區)에서는 배양(培養) 20일(日)째까지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기타(其他)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영향(影響)이 없었다. 시비(施肥)했을 경우(境遇)에는 Butachlor 제(劑) 250, 500ppm 첨가구(添加區)는 7일(日)째에 1,000ppm 구(區)는 배양(培養) 21일(日)째까지 감소(減少)의 경향(傾向)이었다. 나. 방총균(放總菌) : 무비시(無肥時)에는 Butachlor 제(劑) 첨가(添加)에 의(依)한 조해(阻害)는 없었으며 시비시(施肥時)에는 감소(減少)의 경향이었다. 대체(大體)로 시일(時日)의 경과(經過)에 따라 약간(若干)씩 증가(增加)를 보였다. 다. 사상균(絲狀菌) : 시비(施肥)한 토양(土壤)이나 무시비(無施肥)한 토양(土壤) 공(共)히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 약제처리(藥劑處理)에 의(依)하여 다소(多少)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고 시일(時日)의 경과(經過)와는 관계(關係)없이 완만하였다. 2. 무기양분(無機養分)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 가. $NH_4-N$ : 무시비토양(無施肥土壤)이나 시비(施肥)한 토양(土壤) 공(共)히 Butachlor 제(劑) 첨가(添加)로 $NH_4-N$이 감소(減少)되었고 고농도(高濃度)일수록 감소(減少)의 정도(程度)가 더욱 심(甚)하였다. 그리고 무시비구(無施肥區)에서는 배양(培養) 7~14일째에 제일(第一) 많았으나 점차 감소(減少)되었다. 시비(施肥)한 토양(土壤)에서는 배양일수(培養日數)의 경과(經過)에 따라 점차 증가(增加)의 경향(傾向)이었다. 나. $NO_3-N$ : 무비토양(無肥土壤)이나 시비(施肥)한 토양(土壤) 공(共)히 약제(藥劑) 첨가(添加)에 의(依)하여 $NO_3-N$가 감소(減少)하였고 배양(培養) 44일경(日傾)에는 양토양(兩土壤) 공(共)히 거의 측정(測定)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감소(減少)되었다. 다. $NO_2-N$ : 각처리구(各處理區) 공(共)히 배양(培養) 35일(日)경에 가장 많았고 44일(日) 경과후(經過後)는 급격히 저하(低下)된 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라. Eh : 시비(施肥)한 토양(土壤)에서는 심(甚)한 환원상태(還元狀態)가 지속(持續)되었으나 무비토양(無肥土壤)에서는 42일(日) 경(傾)까지는 환원상태(還元狀態)이었으나 그 이후는 산화상태(酸化狀態)로 지속(持續)되었다.

  • PDF

토지이용 변화지역의 토양재조사 결과 분석 (Study on Soil Survey Results of Rapid Change in Landuse)

  • 현병근;손연규;박찬원;송관철;전현정;홍석영;문용희;노대철;정소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75-483
    • /
    • 2012
  • 최근 농경지의 급격한 감소와 더불어 도시화, 경지정리, 도로공사 및 혁신도시 건설 등으로 토지이용의 변화가 심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토지이용 변화심화지역인 경기도 고양시, 충청남도 천안시, 강원도 원주시를 대상으로 토지 이용변화실태, 토양특성변화양상, 토양도수정내용 및 기업도시 등으로 편입되는 지역의 토양환경분석을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경지면적 (2011년)은 2009년대비 17.3 ha가 감소되었다. 논의 경우 24.2 ha가 감소되었으나, 밭의 경우에는 7.0 ha가 증가하였다. 2. 논의 면적 감소사유로는 논밭전환 (20.7 ha) > 공공시설 (3.2) ${\geq}$ 건물건축 (3.2) > 유휴지 (1.3) > 기타 (0.9) 순이며, 밭 면적의 증가원인은 논밭전환 (20.7 ha) > 개간 (4.5) > 복구 (0.3) 순이었다. 논밭전환의 이유는 논농사에서 농가소득이 높은 밭작물 내지 시설작물로 전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3. 토지이용변화가 심한 해당시군의 농경지감소 (논, 밭, 과수)는 밭토양조사 (1995~1999) 당시와 비교 (2011년)할 때 고양시는 1,466 ha, 천안시 9,708, 원주시 6,980 ha가 감소되었으며, 1999년 대비 45%~25%의 농경지가 급격히 감소되었다. 4. 환경부 토지이용피복도의 통계자료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농식품부 통계자료와 비교시 지목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추후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5. 원주시의 토양정보 변경내용을 보면 곡간지의 일부 논토양이 밭 또는 과수원으로 토지이용이 변경되었으며, 배수등급의 경우 도로건설 등으로 인해 저습화되는 등 해당 토양의 일부 특성정보가 변경되었다. 특히, 논토양의 경우 시설재배지, 밭, 과수원, 휴경, 성토화 등으로 토지 이용의 변화가 심하였다. 6. 원주시 혁신도시에 편입되는 논토양은 급지가 떨어지는 3~4급지가 대부분으로 3급지 70.8%, 4급지 29.2%이었다. 밭토양 역시 4급지가 88.7%인 토양으로 우량 급지가 혁신도시 건설에 속하지는 않았다. 앞으로 우량농경지 보전을 위해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왕겨 활성 바이오차 혼합 비율에 따른 우분 호기소화 시 온실가스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with Different Combination Rates of Activated Rice Hull Biochar during Aerobic Digestion of Cow Manure)

  • 노연희;정우진;정석주;정인호;나홍식;김민수;신중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2-227
    • /
    • 2020
  • BACKGROUND: Among the biomass conversion techniques of livestock manure, composting process is a method of decomposing organic matter through microorganisms, and converting it into fertilizer in soil. The aerobic composting process is capable of treating cow manure in large quantities, and produces greenhouse gas as CO2 and N2O, although it has economical benefit. By using the activated rice hull biochar, which is a porous material, it was intended to mitigate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to produce the compost of which quality was high.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estimate CO2 and N2O emissions through composting process of cow manure with different cooperated biochar contents. METHODS AND RESULTS: The treatments of activated rice hull biochar were set at 0%, 5%, 10% and 15%, respectively, during composting cow manure. The CO2 emission in the control was 534.7 L kg-1, but was 385.5 L kg-1 at 15% activated rice hull biochar. Reduction efficiency of CO2 emission was estimated to be 28%. N2O emission was 0.28 L kg-1 in the control, but was 0.03 L min-1 at 15% of activated rice hull biochar, estimating about 89% reduction efficiency. CONCLUSION: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the composting process of cow manure can be reduced by mixing with 15% of activated rice hull biochar for eco-friendly compost production.

개질유황 폴리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평가 (Durability of concrete using sulfur-modified polymer)

  • 홍창우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05-211
    • /
    • 2015
  • 황의 대부분은 천연가스와 원유를 탈황시켜 얻게 되며, 국내 정유 플랜트에서는 120만톤 이상 발생하고 있으며, 50 % 정도만이 비료 및 황산등을 만드는 원료로 소모되고 있다. 이에 산업부산물로 얻어지는 황을 콘크리트에 적용하기 위해 개질유황이 제조되고 있어,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OPC에 비해 개질유황 폴리머를 사용할 경우 압축 및 휨강도는 동일 배합수 온도에서는 유사하였으며, 배합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강도는 다소 증가하였다. 또한 동결융해에 따른 저항성은 개질유황 폴리머의 영향보다는 공기연행제의 사용으로 제어가 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5 % 황산 침지에 따른 압축강도 저하율은 개질유황 폴리머를 사용한 콘크리트가 OPC보다 4배 이상 우수하였다. 그리고 제빙염에 대한 표면박리 저항성도 개질유황을 사용한 경우는 표면박리가 발생되지 않은 1등급, OPC의 경우는 골재가 노출되어 4등급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개질유황 폴리머를 콘크리트에 개질제로 사용할 경우 내구특성이 우수하여 교면포장 등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담수시(湛水時) 규산물질(珪酸物質)들의 입도별(粒度別) 토양산도교정능력(土壤酸度矯正能力) (Effect of Fineness of Siliceous Materials on Correction of Soil Acidity under Submerged Condition)

  • 이윤환;한기학;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9-64
    • /
    • 1972
  • 담수상태하(湛水狀態下)에서 수종(數種) 규산물질(珪酸物質)의 입도별(粒度別) 토양산도교정능력(土壤酸度矯正能力)을 시기별(時期別)로 비교(比較)하고 EDTA 용액(溶液)과 NaOAc 용액(溶液) 침출(浸出)알카리분(分)이 이들 물질(物質)의 토양산도교정능력(壤酸度矯正能力)을 가늠할 수 있는지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1. 용성인비(熔成燐肥)는 pH5.5에 이르는 기간(期間)이 60일(日) 보다 작은 입자(粒子)는 20일(日), 40~48일(日)에서는 34일(日), 20~25일(日)은 84일(日)이 소요(所要)됐으며 같은 크기의 석회석립자(石灰石粒子)의 교정산도(矯正酸度)보다 pH 치(値)가 약 1.0~0.5 정도(程度) 낮았다. 2. 광재(鑛滓) I(Basic reduction furnace slag)는 100보다 작은 입자(粒子)는 pH5.5까지 교정(矯正)되나 이보다 큰 입자(粒子)는 pH $4.5{\pm}0.5$ 범위(範圍)에서 머물고, 규회석(珪灰石)은 25일(日) 보다 큰 입자(粒子)는 효과가 없고 40일(日)보다 작은 입자(粒子)는 pH 4.5~5.0 까지 밖에 미치지 못하며, 광재 II(Blast furnace slag)는 입도(粒度)의 크기에 큰 영향(影響)을 받지 않고 매우 미약(微弱)한 효과를 보였다. 3. 각재료(各材料) 및 입도별(粒度別) 교정산도(矯正酸度)와 EDTA 용액(溶液) 및 NaOAc 용액(溶液) 침출(浸出)알카리분(分)과의 관계(關係)는 NaOAc 용액(溶液) 침출(浸出)알카리분(分)이 EDTA 용액침출(溶液浸出)알카리분(分)보다 토양교정산도(土壤矯正酸度)와 더욱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나타내며, 시기별(時期別)로 NaOAc 침출(浸出)알카리분(分)은 담수후(湛水後) 8일(日), EDTA 침출(浸出)알카리분(分)은 16일(日) 이후(以後)에 상관계수(相關係數)가 고정(固定)되었다.

  • PDF

칼륨 시비농도가 가지의 생육과 생리장해 발현 및 무기원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otassium Concentrations in Fertilizer Solution on the Growth, Appearance of Physiological Disorder and Tissue Nutrient Contents of Eggplant (Solanum melogena L.))

  • 김정만;김주;전형권;박은석;정종성;최종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743-749
    • /
    • 2010
  • 칼륨 시비농도를 조절하여 관비할 때 '축양' 가지에서 발현하는 생리장해 증상 그리고 식물 생장 및 수확량과 관련한 식물체내의 칼륨 한계농도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칼륨이 결핍된 초기에는 하엽에 반점형태의 황화현상이 나타났으며, 증상이 진행될수록 반점부분이 커지고 상위엽으로 확산되었다. 칼륨이 결핍된 식물체에서 착과된 과일은 길이 생장을 하지 못하고 과일 선단부 보다 기부쪽 비대가 적어 곤봉형태를 보였다. 칼륨 과잉시 잎은 가장자리가 요철형태로 굴곡이 지거나 갈색으로 변하면서 위로 젖혀지는 증상을 나타냈으며, 열매는 구부러지거나 표면의 광택이 감소하였다. 관비용액의 칼륨 농도에 대하여 정식 35일 후 지상부의 건물중과 식물체내 칼륨 함량은 2차곡선회귀적 반응(y=14.92+2.2743x-$0.1402x^2$, $R^2$=0.8659)과 직선적 반응(y=1.127+0.3147x, $R^2$=0.8916)을 보였다. 최대 건물중을 생산한 처리보다 10% 억제된 처리의 칼륨 함량을 최저 및 최고 한계점으로 설정하면 '축양' 가지의 재배를 위한 허용 가능한 식물체 내 칼륨 함량이 가장 최근에 완전히 전개된 잎을 기준으로 2.1-5.1% 범위였다. 칼륨 시비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식 후 150일까지의 수확량과 150일의 식물체 칼륨 함량도 2차곡선회귀적 반응(y=153.24+345.5x-$18.46x^2$, $R^2$=0.8620)과 직선적 반응(y=0.9921+0.3860x, $R^2$=0.9611) 을 보였다. 최대수량의 90%를 수량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한계점으로 설정할 경우 가장 최근에 완전히 전개된 잎을 기준으로 K 함량이 3.4-5.9%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농도를 조절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두과목초의 질소고정에 관한 연구 I. 질소시비수준이 라디노 클로버의 질소고정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Nitrogen Fixation of Legumes I.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on nitrogen fixation and growth of ladino clover)

  • 이효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22
    • /
    • 1993
  • 방목초지에서 자생하는 라디노 클로버 포복경을 l/5,000a 와그너 포트에 이식하여 온실에서 겨울동안 1일 12시간 조명시키면서 재배하였다. 50일 동안 재배 후 제 1차 수화하였고 20일 후 2차, 그리고 다시 20일 후에 3차 수확을 하였다. 처리로는 질소시비를 2.5kg/10a, 5.0kg/10a, 7.5kg/10a를 이식 및 각 예취후에 시비하였다. 조사항목으로는 생장점, 지상부 수량, 지하부 수량 그리고 엽면적을 측정하였고 그밖에 질소고정량 및 지하부의 조단백질 함량 그리고 예취 후 질소고정능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직물체의 생장점, 지상부 그리고 지하부 생산량을 1차. 2차에서는 5kg/10a구가 가장 많았던 반면 3차에서는 2.5kg/10a구에서 제일 좋았으며 7.5kg/10a구는 질소를 계속 시비함에 따라 식물체는 3차시에 고사하였다. 생장점수는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라디노 클로버의 질소고정은 1회 예취에서 2.5kg/10a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그 후 예취 및 질소시비를 계속함에 따라 고정량은 저하하였다. 3. 잎의 조단백질 함량은 뿌리와 포복경의 조단백함량보다 많았으며 제2차 예취시 까지는 질소시비수준을 높임에 따라 조단백질의 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3차 예취시에는 다시 저하하였다. 4.아세틸렌 환원능은 예취 3주후에 최저치를 나타내다가 5주후에 예취전 상태로 회복하였으며 뿌리의 건물중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시설재배 가지에서 인산 시비농도가 생육과 양분흡수 및 무기원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Fertilizer Solution on the Growth and Tissue Nutrient Contents of Egg Plant (Solanum melogena L.))

  • 김정만;김주;전형권;박은석;정종성;최종명
    • 농업과학연구
    • /
    • 제36권2호
    • /
    • pp.135-145
    • /
    • 2009
  • 관비 용액의 인산 농도가 '축양' 가지의 인산 결핍 및 과잉증상 발현, 식물 생육 그리고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정식 35일과 150일 후의 식물체 분석을 통해 최대 생장량과 수확량을 위한 식물체내 적정 인산 함량을 설정하였다. 가지에서 인산이 결핍되면 식물체의 하엽이 암록색으로 변하면서 점차 자주색을 띄었고, 열매는 비대되지 못하여 정상과 보다 작았다. 인산 과잉시 하엽 가장자리가 반점형태의 옅은 갈색을 띈 후 점차 하엽 안쪽으로 확산되었으며, 과일은 비대되지 못하거나 곡과가 발생되었다. 정식 35일 후의 지상부 건물중과 가장 최근에 완전히 전개된 잎의 인산 함량은 인산 시비농도에 대하여 각각 3차곡 선회귀적 ($y=10.43+14.47x-4.7642x^2+0.3977x^3$) 및 2차곡선회귀적 ($y=0.7887+0.2394x-0.0197x^2$) 반응을 보였다. 최대 생장량의 90% 생장량을 생장억제를 방지하기 위한 한계점으로 설정하면 가장 최근에 완전히 전개된 잎을 기준으로 0.98~1.35%의 범위에 포한되도록 시비농도를 조절해야 한다. 정식 150일 후 수량과 식물체내 인산 함량 변화도 인산 시비농도에 대하여 각각 3차곡선회귀적반응 ($y=1194.6+1502.2x-454.5x^2+35.64x^3$) 및 2차 곡선회귀적 ($y=1.0589+0.5207x-0.0573x^2$) 반응을 보였고 가장 최근에 완전히 전개된 잎을 기준으로 인산 함량이 1.53~2.25%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농도 및 횟수를 조절하여야 수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