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uced scale test

검색결과 486건 처리시간 0.031초

강인한 음성인식을 위한 통계적 특징벡터 추출방법의 개선 (An Improvement of Stochastic Feature Extraction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 김회린;고진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0-186
    • /
    • 2004
  • 음성 신호에 존재하는 잡음은 음성 인식기의 성능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이것은 잡음이 훈련 조건과 인식 조건 사이의 불일치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일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통계적 특징벡터의 추출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밴드 SNR에 따라 잡음 스펙트럼의 차감 레벨을 조절하는 기존의 멀티 밴드 잡음 차감법 (MSS)을 개선하기 위하여 잡음 정규화 상수를 이용하여 잡음 스펙트럼의 차감 레벨을 보다 정확하게 조절하는 방법 (M-MSS)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기존의 통계적 특징벡터 추출방법 (SFE)에서 잡음 차감법을 파워 스펙트럼 영역에 적용함으로써 성능을 개선하였다(M-SFE). 마지막으로, 위의 두 가지 방법의 장점을 결합하기 위해서 밴드 SNR에 근거한 통계적 특징벡터 추출방법 (MMSS-MSFE)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들은 다양한 잡음 환경 하에서 화자독립 고립 단어 인식으로 성능을 평가하였다. 기본적인 잡음 차감법 (SS)에 비하여 M-MSS, M-SFE와 MMSS-MSFE의 평균 에러율은 각각 18.6%, 15.1%와 33.9% 감소하였다. 위의 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잡음에 강인한 음성인식을 위해 매우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Kaltenborn-Evjenth 정형도수치료가 측두하악관절 운동제한 개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Movement Restriction using the Kaltenborn-Evjenth Orthopedic Manipulative Therapy)

  • 김성원;홍완성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2-7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icacy of the Kaltenborn-Evjenth Orthopedic Manipulative Therapy and the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that influence changes in pain and range of motion when those therapies are applied to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pint movement restri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randomly selected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temporomandibular pint movement restriction and had endured pain for more than two weeks. These patients had visited one of three hospitals in Pyongchon 00 Hospita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15 patients each. The Kaltenborn-Evjenth Orthopedic Manipulative Therapy was applied to one group and the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was applied to the other group, once a day for three days. Then, the pain perception degree was measured by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and a digital device(Absolute Digimatic) measured the range of motion for each group. The average and standard errors were calculated for each measured items and a paired t-test was used for identifying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s in the pain perception degree and the range of motion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rapy. The significant level was set as ${\alpha}=0.05$. The changes in the pain perception degre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groups; however, the group that received Kaltenborn-Evjenth Orthopedic Manipulative Therapy(KE-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changes in a decrease in the pain perception degree than did the group that received the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CPT-Group).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results regarding changes in the range of motion: however, the KE-Group showed more of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the range of motion than did the CPT-Group(p<0.001). Comparing the changes in the range of mo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KE-Group showed a significant result which means that the KE-Group had a higher therapy effect than did the CPT-Group(p<0.0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Kaltenborn-Evjenth Orthopedic Manipulative Therapy decreased pain and increased the range of motion. With such findings, we expect that the Kartenborn-Evjenth Orthopedic Manipulative Therap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patients with tempomrnandibular pint movement restriction and that the treatment period can be reduced with this therapy as well.

  • PDF

강변여과수의 질산성질소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반응벽체의 준파일럿 실험에 관한 연구 (A Semi-Pilot Test of Bio-barrier for the Removal of Nitrate in Bank Filtrate)

  • 문희선;장선우;남경필;김재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2-308
    • /
    • 2005
  • 질산성 질소는 강변여과수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오염물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황을 이용한 독립영양탈질 공정을 강변여과수의 질산성 질소제거를 위한 반응벽체 기법에 도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에서의 실제 강변여과수를 이용한 주 파일럿 실험을 통해 반응벽체 시스템에서 미생물 접종의 영향과 대체 알칼리도 공급원으로서 굴패각의 영향을 알아보고, 유량변화 및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질산성 질소 제거효율을 평가하는 것이다. 황과 석회석 또는 굴패각으로 구성된 준 파일럿 규모의 투수성 반응벽체(PRB) 6기를 경남 낙동강 유역 강변여과수 취수 현장에 설치하여 운전한 결과, 하수처리장의 혐기 소화 슬러지로부터 분리배양된 황탈질미생물 콘소시움 뿐만 아니라 굴패각의 자생미생물의 활성에 의해서 강변여과수의 질산성 질소가 제거됨을 확인하였고 석회석뿐만 아니라 굴패각도 시스템의 pH 조절을 위한 알칼리도 공급원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알칼리도 공급원으로서 굴패각의 이용은 높은 황산이온의 농도와 고형물의 농도를 야기하였다. 80 cm의 반응벽체 두께에서, 유량을 66에서 132 mL/min까지 증가시킴으로써 체류시간을 15에서 7.5시간으로 감소시킴에 따라 질산성 질소 제거효율은 75에서 58%로 감소하였다.

한방 복합치료를 시행한 임신 중 요통 환자 치험 3례 (The Effect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on Low Back Pain during Pregnancy: a Report on Three Cases)

  • 이수연;류수형;김홍국;유덕우;김성진;정성목;구본혁;김민정;박연철;백용현;남상수;서병관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197-205
    • /
    • 2016
  • Objectives : To report the clinical application and safety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during pregnancy. Methods : Three patients who suffered from low back pain during pregnancy were treated with acupuncture, pharmacopuncture, moxibustion, and herbal medicine for 12 to 21 days. Numeric rating scale (NRS) of low back pain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were checked to measure the outcome. A liver function and renal function test was carried out to identify any drug-induced liver or renal injury, and any adverse events were monitored thoroughly until delivery. Results : Low back pain reduced on NRS in all cases, and no serious adverse effects were found in the patients or infants.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is a candidate therapy for relieving low back pain during pregnancy, and also is safe for both patients and infants.

구강내 외과적 창상 치유에서 0.2% hyaluronic acid gel의 유효성에 대한 이중 맹검 연구 (APPLICATION OF 0.2% HYALURONIC ACID GEL IN ORAL SURGICAL WOUND : A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 김재윤;이진용;배광학;이종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2호
    • /
    • pp.157-165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 topical 0.2% hyaluronic acid (HA) preparation in the management of wound after removal of arch bar for facial bone fracture and a suture site after orthognatic, oral cancer or oral surgery. Forty patients participated in a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double-blind trial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topical HA and preparation. HA topically applied to the wound after removal of arch bar or stitch out, 3 times a day for 4 weeks. Evaluation is performed once a week for 4 weeks. For subjective evaluation, relative pain reduction in visual analog scale (VAS) and existence of heat sensation was accessed. For objective evaluation, gross evaluation, papilla index, existence of wound dehiscence, redness and swelling was checked. The same evaluation was performed in each arch bar group and suture group. For whole subject, 0.2% HA group resulted higher reduction than placebo group in pain of site in first week with significancy. Same findings were seen other weeks but there was no significancy. 0.2% HA group had better result than placebo in objective evaluation (papilla index, wound dehiscence, redness and swelling), but in gross evaluation placebo had better result than 0.2% HA group with no significancy. Subject was divided into suture group and arch bar group. Same aspect was seen, but only suture group had significancy not arch bar group in pain reduction score. 0.2% HA group resulted higher reduction than placebo group in pain of site in first week with significancy, especially in suture group. It reveals topical application of HA in wound especially suture site reduced pain in early stage. And 0.2% HA group had better result than placebo in papilla index, redness and swelling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y. In conclusion, HA has effect of pain reduction and healing promotion in the mucosal wound after oral surgery.

농지 주입 시 배출특성에 대한 축분자원화물 연구 (A Study on the Livestock Resources regarding on the Discharging Characteristics from Farm Land)

  • 임재명;이영신;한기봉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4호
    • /
    • pp.91-10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축산자원화물을 농지에 주입 시 유출 및 침출에 의하여 삭감되는 축분자원화물의 전환율을 산정하고자 실험실 시험을 실시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우강도의 증가에 따라 농지로부터 유출유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침투수의 유량은 강우강도 20mm/hr 미만에서는 강우의 대부분이 지하로 침투하였으며, 32.4mm/hr 이상의 강우강도에서는 5.0L로서 거의 유사하거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의 구성성분과 다짐의 정도가 유사할 경우 표면유출은 강우강도의 크기에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액비를 시비한 경우, 표면유출수의 유량은 퇴비를 시비한 반응조와 거의 유사하였으며, 침투수의 유량은 퇴비 시비시보다 작게 나타났다. 오염물질의 항목에 따른 농지유출비는 BOD가 0.00003, $COD_{cr}$은 0.00006, TN은 0.00056, TP는 0.00011, 그리고 TOC는 0.00005로서 항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특히, TN 유출비는 타 항목에 비하여 10배 이상의 높은 값을 보였다. 한편, SS의 경우 농지유출비는 0.001로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시비된 오염물질의 유출이라기보다는 토양자체의 미세한 콜로이드성 입자의 유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32.4~57.1mm/hr의 모든 강우강도를 고려할 때, 자원화물이 농지에서 삭감되는 농지 삭감비는 BOD의 경우 퇴비는 94.9~98.4%, 액비는 85.8~98.1%의 높은 범위를 보였다. TN은 퇴비의 경우 96.6~98.4%의 범위를 보였으며, 액비의 농지 삭감율은 97.2~98.5%의 범위로서 대부분의 자원화물이 농지에서 삭감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다양한 첨가제에 의한 청국장 불쾌취 및 Bacillus cereus 증식의 억제 (Effect of various additives on reduction of unpleasant odor and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growth in cheonggukjang)

  • 정수현;박송이;정은선;김용석;문성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69-573
    • /
    • 2016
  • 청국장의 불쾌취를 줄이고 B. cereus 증식을 억제하는데 다양한 첨가제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관능검사는 불쾌취와 맛에 대하여 각각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무첨가 청국장의 불쾌취 강도가 가장 높다고 평가되었으며, 소금 첨가구, 목초액 소금 첨가구, 고추씨기름 첨가구, 죽염 첨가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맛의 선호도는 고추씨기름 첨가 청국장이 다른 첨가구들보다 높았다. 각 첨가제들의 B. cereus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죽염이 다른 3개 첨가제에 비하여 그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관능검사 결과 및 B. cereus 증식 억제 효과가 좋게 나타난 죽염 첨가 청국장과 무첨가 청국장의 냄새 성분을 추출, 농축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죽염 첨가 청국장에서 오렌지 유사 향인 1-ethoxy-1-methoxy-ethane이 무첨가구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죽염을 청국장에 첨가하는 것은 차폐에 의한 청국장의 불쾌취 감소뿐만 아니라 B. cereus 증식 억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블랜칭 및 용질 처리에 따른 참취(Aster scaber Thunb.)의 phytochemical 성분 및 품질특성 (Phytochemical compoun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ster scaber Thunb. in response to blanching conditions and treatment with solutes)

  • 김재원;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94-701
    • /
    • 2014
  • 블랜칭 처리조건 확립을 위하여 시간(1, 3, 5 min) 및 용질의 종류[0.1% soluble Ca(Sol-Ca), 0.1% soium bicarbonate($NaHCO_3$), 0.1% magnesium sulfate($MgSO_4$)]를 달리한 참취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블랜칭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녹색도와 chroma 값은 감소되고 색차는 증가하였으며, polyphenol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블랜칭 처리시간이 3분 이상 경과될 시 급격히 저하되었다. Carotenoid 함량의 경우 적정 블랜칭 처리 시 함량은 증가하는 반면 ascorb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열적 손실이 동반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경도 및 절단력은 처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ectinesterase와 polygalacturonase 저해활성은 3분 이후부터는 불활성화 수치가 증가하여 효소활성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균수 및 대장균군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의 경우 5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블랜칭 처리한 처리구에서는 2~4 log CFU/g 수준으로 미생물이 감소하였으며, 대장균군수는 검출되지 않았다. Chlorophyll 함량은 증가하는 반면 chlorophyll a 및 b의 비율(Ca/Cb)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관능적 기호특성에서는 외관 및 색상의 경우 블랜칭 처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블랜칭 처리에 의하여 기호특성이 증가하였다가 점차 감소하였으며, 전반적으로 3분간 블랜칭 처리 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하수처리장 Retrofit 공정의 현장적용성 평가 및 세균 군집 분포 연구 (Evaluation of Field Application for the Developed Retrofitting Process and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Pilot Plant)

  • 김미경;홍준혁;김연권;안태석;신응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0-24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고도처리 공정의 현장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를 개조한 retrofitting 공정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공정을 $50m^3$/일 규모의 pilot plant 운전을 통하여 현장 평가하였다. 또한 pilot plant 내에서 미생물의 배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FISH 법을 이용하여 세균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제안된 retrofitting 공정은 배양조를 별도로 건설하지 않음으로써 16%($60,000m^3$/일 규모 고도처리시설 도입 기준)의 초기건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동절기를 포함한 장기간의 pilot plant 운전을 통하여 수처리 효율과 유지관리 측면에서 현장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며 방류수질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pilot plant와 대조군(A2/O 공정, B 하수처리장)에서 총세균수는 큰 차이가 없으나, pilot plant의 bioreactor에 의해서 세균 군집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우점종은 주로 하수처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토양 미생물이 속한 ${\beta}$-proteobacteria group이고, bioreactor 유출수에서 유입수 대비 $25{\sim}607%$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렇게 증가된 ${\beta}$-group의 미생물은 시스템 내에서 일정 농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터널 상부 지반에 시공되는 건물 하중에 따른 터널 및 주변지반의 거동 (The behavior of tunnel and ground according to the loading of building construction on the ground)

  • 차석규;이상덕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731-742
    • /
    • 2018
  • 최근 도심지에서 기존터널 상부에 구조물을 신설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반굴착 후 구조물이 시공되는 경우 굴착 저면 하부 지반 내에서는 하중 제하, 재하 과정이 반복되므로 기존 터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지반굴착으로 인한 기존 터널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접부에서의 굴착 및 구조물 하중에 의한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터널 상부지반 굴착 및 신설 구조물로 인한 하중이 기존터널에 미치는 영향을 대형 모형시험과 수치해석으로 통하여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크기의 1/5로 축소한 모형시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굴착저면과 터널 천단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지반굴착, 구조물 하중의 폭을 변화하여 그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 하중 크기에 대하여 굴착 깊이가 깊어져 굴착 저면과 기존터널이 가까울수록 더 큰 영향이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일 이격 거리에서 기존터널에 영향은 건물하중 폭 증가에 따라 터널 내공변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지중응력은 최대 2.4배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건물하중 폭이 증가하면 지중응력의 증가 영향으로 기존 터널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고, 기존터널을 중심으로 신규하중의 재하 폭이 터널직경의 3배 이상으로 이격되면 지중응력의 영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