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ness

검색결과 2,032건 처리시간 0.027초

비닐하우스 이용 태양초 생산시 산광 재료가 상품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used Light Materials on Marketable Yield and Quality of Sunlight Dried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in Plastic Film House)

  • 이광재;송명규;김시동;남상영;이기열;김태중;김동억;윤정범;최규홍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2-109
    • /
    • 2014
  • 본 연구는 태양초 생산시 전처리와 산광 재료가 상품성과 건조 효율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벌크, 하우스 밀폐, PE비닐밀봉 처리 등 전처리를 하였으며, 산광 재료로 대조구, 차광망 35%, 천막지, 백색부직포, 흑색부직포 등을 사용하였다. 벌크 후숙 처리구의 상품 수량이 30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하우스 건조가 275 g이었으며, PE 밀봉 처리구가 112 g으로 가장 적었다. 적색도는 PE 밀봉 처리시 17.85로 가장 높았고 벌크 후숙 처리에서 가장 낮았으며, 각각의 처리 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고추의 수분 감모 속도는 대조구가 가장 빨랐으며, 차광망 처리구가 가장 늦었다. 상품 수량지수는 백색부직포가 대조구 100%에 비해 114%로 가장 높았다. 적색도는 흑색부직포와 천막지가 15.65로 다른 처리와 유의성을 나타냈다. 캡사이신 함량은 흑색부직포에서 $160mg{\cdot}100g^{-1}$로 가장 높았다. 비닐하우스 이용 태양초 생산시 비닐하우스 밀폐 전처리를 하고 백색부직포로 산광하면 대조구보다 건조기간은 2일 정도 지연되었으나 상품 수량은 14% 증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태양초 생산 효율 증진뿐만 아니라 향후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RGB LED 광원이 느타리류의 자실체 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RGB LED lights on oyster mushroom (Pleurotus spp.) fruit-body characteristics)

  • 류재산;나경숙;김정한;이정우;권희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2-139
    • /
    • 2023
  • 생육 시 사용하는 LED 조명색이 느타리류의 갓색과 수량, 형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실체의 전체적인 형태는 LED 조명색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청색과 자색이 일반적으로 생산하는 버섯 형태와 유사하였고 녹색은 조명이 없거나 약한 곳에서 자란 버섯형태를 보였다. 전체 품종의 청색, 녹색, 자색 LED에서 키운 버섯의 갓명도의 평균은 각각 57.0, 57.4, 59.4였다. 원형1호와 황금산타리를 제외하고는 세가지 LED 색에 따라 갓 명도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갓의 적색도는 LED 조명과 품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관찰되었다. 청색, 녹색, 자색에서 생육한 자실체의 갓색이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낸 품종은 곤지7호의 갓색돌연변이인 곤지7호M이 유일하였다. 곤지7호를 제외한 8개 품종에서 청색에서 갓의 적색도가 가장 높았다. 전체 품종의 LED 조명색별 평균 수확량은 자색이 68.0 g, 청색 58.3 g, 녹색 50.1 g 이었다. 청색에서 가장 수확량이 많은 품종은 곤지7호로 92.8 g이었고 같은 품종의 녹색 처리구에서는, 77.1 g, 자색에서는 98.6 g이 수확되었다. 발이소요일수는 자색에서 생육한 버섯의 평균값이 5.3일로 가장 짧고, 청색에서 5.8일, 자색에서 5.8일 순이었다. 자색에서 가장 짧은 발이소요일수를 보인 품종은 6개, 녹색에서는 3개, 청색에서는 2개였다. 자실체의 길이는 생육 시 조사한 LED 조명색에 따라 녹색(66.4 mm) > 자색(51.8 mm) > 청색 (46.8 mm)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시장에서 요구하는 형질을 갖춘 버섯을 생산하는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한다.

"개량머루" 과실주의 품질향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mprovement of Quality Wine of "Vitis amurensis RUPRECHT")

  • 이병영;이영철;정혜웅;임재운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9권1호
    • /
    • pp.47-58
    • /
    • 2007
  • 국내의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는 개량머루의 소비촉진의 방안으로 안전재배를 도모하고 머루재배 농가의 소득증대에 이바지하고자 개량머루주의 고품질화 기술개발연구를 실시하고 다음과 같이 요약 정리한다. <시험 1> 개량머루의 술 가공적성 구명 가. 개량머루의 과립중은 3.7g으로 포도 과립중 12.2g의 1/4배 정도였다. 나. 개량머루의 pH는 3.34로 포도의 pH 3.62 보다 0.3정도 낮고 적정산도함량이 높아 신맛이 강하며, 당도는 개량머루가 17°Brix%로 포도 15°Brix 보다 높았다. 다, 개량머루의 색차는 포도에 비해 밝기, 적색도 및 황색도가 낮아 검붉은 색을 띤다. <시험 2> 개량머루주의 품질향상 가. 개량머루의 원형, 파쇄 및 즙형으로 술을 제조하였을 머루의 형태별 pH는 3.70~3.75, 적정산도는 0.91~0.96㎖, 환원당은 0.34~0.42%, 알콜함량은 16.2~16.3%로 처리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색차와 식미에서도 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발효속도를 고려할때는 머루를 약간 파쇄하여 담그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나. 개량머루주에 참나무의 조제 형태별 및 첨가량별에 따른 1년동안 숙성된 머루주의 pH, 적정산도, 환원당 및 알콜함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참나무의 조제형태별 첨가량별 모든 처리구의 식미가 무첨가 3.0(보통이다)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특히 참나무톱밥을 1.0% 첨가로 맛, 냄새, 색에서 품질이 향상되었다. 다. 개량머루주 발효 후 숯을 첨가하여 숙성시킨 머루주는 숯 첨가량이 많을수록 pH는 3.82에서 3.86으로 증가하였으며, 적정산도는 0.91㎖에서 0.86㎖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알콜함량은 각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색차에서 명도는 약간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숯 3% 첨가로 냄새와 색은 보통이상으로 향상되었다. 라. 개량머루주의 숙성시 참나무톱밥 1%나 참나무통에 숯 3% 첨가시 pH, 적정산도는 별차이가 없었으나 무첨가 머루주와 차가 있었다. 색차에서는 숯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명도와 적색도도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식미에서는 참나무톱밥 1%나 참나무통에 숯 3%를 넣고 숙성시켰을 때 식미가 "좋다"라는 평가를 받았다.

Effects of Crossbreeding and Gender on th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Black Pig and Duroc Crossbred

  • Muhlisin, Muhlisin;Panjono, Panjono;Lee, Sung-Jin;Lee, Jeong Koo;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7호
    • /
    • pp.1019-1025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s of crossbreeding and gender on th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Black Pig (KNP) and $KNP{\times}Duroc$ crossbred ($KNP{\times}D$). A total of 50 pigs comprising seven KNP barrows, eight KNP gilts, twenty $KNP{\times}D$ barrows and fifteen $KNP{\times}D$ gilts were used in this study. Animals were reared in the same housing condition with same feed diet for six months prior to slaughter. After an overnight chilling, the carcasses were graded, and samples of Musculus longissimus dorsi were obtained for meat quality analysis. The slaughter and carcass weights and dressing percentage of $KNP{\times}D$ were higher (p<0.001) than those of KNP. The slaughter and carcass weights and backfat thickness of barrows were higher (p<0.01) than those of gi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cass conformation and quality grade between KNP and $KNP{\times}D$ as well as barrow and gilt. Fat content of $KNP{\times}D$ was higher (p<0.001) than that of KNP. Fat content of barrow was higher (p<0.001) than that of gilt. There was interaction between crossbreeding and gender on the fat content. KNP gilt showed higher fat content than KNP barrow whereas $KNP{\times}D$ barrow showed higher fat content than $KNP{\times}D$ gilt.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chroma and hue angle values and color preference of meat of $KNP{\times}D$ were lower (p<0.001) than those of KNP. Redness, yellowness and chroma values of meat of barrow were lower (p<0.05) than those of gilt. It is concluded that crossbreeding KNP with Duroc increases carcass productivity and meat fat but decreases meat color values and preference. Crossbreeding of KNP with Duroc produces a better fat deposition in meat of barrows than in gilts.

Effects of Gas Composition in the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the Shelf-life of Longissimus dorsi of Korean Native Black Pigs-Duroc Crossbred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Muhlisin, Muhlisin;Panjono, Panjono;Kim, Dong Soo;Song, Yeong Rae;Lee, Sung-Jin;Lee, Jeong Koo;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8호
    • /
    • pp.1157-1163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s of gas composition in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on the shelf-life of Longissimus dorsi of Korean Native Black Pigs-Duroc Crossbred ($KNP{\times}D$) during refrigerated storage. Muscle sample was obtained from the left side of carcass of seven months old of $KNP{\times}D$ barrow. The sample was sliced into 1 cm in thickness, placed on trays (two slices/tray) and filled with different gas composition, i.e. 0:20:80/$O_2:CO_2:N_2$ (MAP1), 30:20:50/$O_2:CO_2:N_2$ (MAP2) and 70:20:10/$O_2:CO_2:N_2$ (MAP3). Other slices of sample were vacuum packed (VP) as a control. All packs were stored at $5{\pm}1^{\circ}C$. At 12 d of storage, pH value of MAP2 and MAP3 were higher (p<0.05) than that of MAP1 and pH value of MAP1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VP. At 6 d of storage, redness ($a^*$) value of MAP2 and MAP3 were higher (p<0.05) than that of VP and MAP1 and, at 9 and 12 d of storage, redness value of MAP3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VP, MAP1, and MAP2. At 3, 6, 9, and 12 d of storage, the 2-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 of MAP3 was higher than that of MAP2 and TBARS value of MAP2 was higher than that of VP and MAP1. At 3, 6, 9, and 12 d of storage, volatile basic nitrogen values of MAP2 and MAP3 were higher (p<0.05) than those of VP and MAP1. At 3 d of storage, total aerobic plate counts of MAP2 and MAP3 were higher (p<0.05) than those of VP and MAP1 and, at 6 d of storage, total aerobic plate counts of MAP3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MAP1 and MAP2.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total aerobic plate count among MAP1, MAP2, and MAP3 at 9 and 12 d of sto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total anaerobic plate count among MAP1, MAP2, and MAP3 during storage. It is concluded that the MAP containing 30:20:50/$O_2:CO_2:N_2$ gas composition (MAP2) might be ideal for better meat quality for $KNP{\times}D$ meat.

강내한성 강원양파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nion with cold tolerance cultivated in Kangwon)

  • 신기해;고아영;김단비;이영준;이옥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94-89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강내한성 강원양파의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건조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FD, HD 40 및 HD 60의 세 가지 분말에 대해 일반성분 분석, 색도, 갈색도, 총 페놀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의 결과 FD의 조단백질 및 조지방의 함량이 각각 10.99%, 0.84%로 HD 40 및 HD 60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Hunter's value로 L값(lightness), a값(redness), b값(yellowness)으로 나타내었다. FD의 L값이 $77.19{\pm}0.01$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나머지 a값 및 b값은 각각 $6.09{\pm}0.01$$6.09{\pm}0.01$으로 HD 60이 높게 나왔다. 갈변도의 경우에도 HD 60이 0.200으로 제일 높은 값으로 나타나 건조 온도가 높아질수록 양파의 갈변정도가 커진 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총 페놀 함량의 경우에 HD 40과 HD 60이 FD 보다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시료의 농도를 0.1, 0.5, 1 mg/mL로 처리하여 측정한 결과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FD 보다 HD 40 및 HD 60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을 첨가한 파운드케이크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Prepared with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during Storage)

  • 김경희;황혜림;윤미향;조지은;김미선;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926-934
    • /
    • 2009
  • 버찌분말을 첨가한 파운드케이크(0, 5, 10, 15%)를 $25^{\circ}C$에 저장하면서 10일간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반죽의 pH는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파운드케이크의 굽기 손실률은 1$11.47{\sim}12.67%$로 버찌분말 첨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높이와 비용적은 버찌분말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색도는 crumb의 적색도를 제외하고, 버찌분말 첨가에 따라 crust와 crumb 모두 명도, 적색도,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조직감은 버찌분말 첨가에 따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으나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부착성 및 탄력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노화도는 무첨가구에 비해 버찌분말 첨가구에서 노화도가 높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항산화 활성은 10% 및 15% 버찌분말 첨가구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관능검사 결과 색에 대한 선호도를 제외하고 10% 및 15% 첨가구에서 높은 평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저장 동안의 품질 및 관능 특성, 기능성을 고려한 버찌분말 첨가량은 10% 첨가구가 최적 조건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 김경희;윤미향;조지은;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920-925
    • /
    • 2009
  • 기능성 소재로서의 버찌분말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버찌분말을 0, 3, 6 및 9% 첨가한 쿠키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쿠키 반죽의 pH는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밀도는 증가하였다. 쿠키의 퍼짐성은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쿠키의 색은 L(lightness), b(yellow ness)값이 감소하고, a(redness)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의 경도는 버찌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버찌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활성이 증가하였다. 쿠키의 관능검사 결과 버찌분말 첨가는 색, 냄새, 맛,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9% 이상의 너무 많은 버찌분말 첨가는 관능적인 기호도를 오히려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버찌분말 6%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좋아 쿠키의 품질 및 관능 특성, 기능성을 고려한 버찌분말첨가량은 6% 첨가구가 최적 조건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 윤미향;조지은;김다미;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340-1345
    • /
    • 2010
  • 기능성 소재로서의 버찌 분말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버찌 분말을 0, 1, 3 및 5%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 및 식빵의 pH는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무게는 증가하였다. 식빵의 부피, 비용적, 굽기 손실률은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발효팽창력 또한 버찌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빵의 색도 측정 결과는 L(lightness)값과 b(yellowness)값에서 crust와 crumb 모두 버찌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redness)값은 crust, crumb 모두 버찌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버찌 분말 첨가 식빵의 견고성, 씹힘성은 버찌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응집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성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은 버찌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식빵의 관능검사 결과 버찌 분말 첨가는 색, 냄새, 맛,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5% 이상의 너무 많은 버찌 분말 첨가는 관능적인 기호도를 오히려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버찌 분말 3%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좋아 식빵의 품질 및 관능 특성, 기능성을 고려한 버찌 분말 첨가량은 3% 첨가군이 최적 조건일 것으로 판단된다.

연근 분말 첨가가 제빵의 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tus root powder on the baking quality of white bread)

  • 김영숙;전순실;정승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3-425
    • /
    • 2002
  • 연근 분말 첨가가 제빵 적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품질의 특성을 파악하고 기능성과 영양적인 면을 고려한 최적의 배합비율을 알아보았다. 연근 첨가 식빵을 제조하였을 때 수분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점 증가하였다. 식빵의 crust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밝기, 적색도, 황색도가 감소하였으며 crumb의 색도는 밝기만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부피는 연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높이는 6%첨가에서 가장 높아 외관상 가장 좋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연근을 첨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Threonine, 등이 많이 검출되었다. 향기성분은 약 60개의 peak가 분리되었으며 고온에서 빵을 구울 때 아미노 카보닐 반응에 의해 생성된 2-Methylbutanal, 3-Methylbutanal은 빵 향기의 주된 성분이며, 2-Ethylfurn, 2,3- Butandione은 aldehyde류로 이스트의 발효에 의해 생성된 발효취이며, Ethyl acetate, vinyl acetate도 빵의 향기에 영향을 주는 에스테르류의 향기 성분이다. 조직감 측정시 경도와 부서짐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탄력성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응집성, 점착성, 씸힘성은 감소하였다. 관능 검사 결과, 3%, 6% 첨가군은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기능성과 영양적인 면을 고려하여 연근 첨가 식빵을 제조하였을 때 6%첨가가 가장 적합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