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spotted grouper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4초

Correlation of Developmental Deformity with Calcium, Phosphorus, or Estradiol-17β Levels in Reared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Juveniles

  • Kim, Ji Eun;Kim, Hyung Bae;Lee, Young Don;Baek, Hea Ja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4호
    • /
    • pp.391-397
    • /
    • 2017
  • Skeletal deformities are significant problems that affect the growth and commercial value of fish reared in hatcheries. However, studies of bone metabolic process related to skeletal deformities are limited.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correlation between bone deformities and plasma calcium, phosphorus, and estradiol-$17{\beta}$ levels in reared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juveniles. We collected E. akaara frys from private farms at 110, 140, 180 and 300 days after hatching (DAH), and classified the normal and deformed fish by observing their external shape and inner frame by soft X-ray. We also analyzed the calcium, phosphorous, and estradiol-$17{\beta}$ levels in their plasma. A comparison between normal and deformed fish, indicated that calcium and estradiol-$17{\beta}$ levels were higher in deformed fish than in the normal at 180 and 300 DAH. The level of phosphorus was also higher in deformed individuals than in normal fish, but only at 300 DAH. These results suggest that skeletal deformitie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plasma calcium, phosphorus, and estradiol-$17{\beta}$ levels.

Artificial Spawning Behavior and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in Korea

  • Park, Jong Youn;Cho, Jae Kwon;Son, Maeng Hyun;Kim, Kyong Min;Han, Kyeong Ho;Park, Jae Mi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0권1호
    • /
    • pp.31-40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gg development in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and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its larvae and juveniles, and to obtain data for taxonomic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in June 2013, and 50 male and female fish were used for the study. One hundred ${\mu}g/kg$ of LHRHa was injected into the body of the fish for inducing spawning, and the fish were kept in a small-sized fish holder ($2{\times}2{\times}2m$). Eggs were colorless transparent free pelagic eggs, 0.71-0.77 mm large (mean $0.74{\pm}0.02mm$, n=30), and had an oil globule. Hatching started within 27 h after fertilization. Pre-larvae that emerged just after hatching were 2.02-2.17 mm in total length (mean $2.10{\pm}0.11mm$), their mouth and anus were not opened yet, and the whole body was covered with a membrane fin. Post-larvae that emerged 15 days post hatching were 3.88-4.07 mm in total length (mean $3.98{\pm}0.13mm$), and had a ventral fin with two rays and a caudal fin with eight rays. Juveniles that were formed at 55 d post hatching, were 31.9-35.2 mm in total length (mean $33.6{\pm}2.33mm$), with red color deposited over the entire body, and black chromophores deposited in a spotted pattern. The number of fin rays, body color, and shape were the same as that in the adult fish.

Cathepsin B & D and the Survival of Early Embryos in Red Spotted Grouper, Ephinephelus akaara

  • Gwon, Seo-Hui;Kim, Hyun Kyu;Baek, Hea Ja;Lee, Young-Don;Kwon, Joon Yeo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4호
    • /
    • pp.457-466
    • /
    • 2017
  • Survival of embryos largely depends on yolk processing during early development. Proteolytic enzymes, cathepsin B & D (ctsb & ctsd) are known to have some important roles in yolk processing of various fish species. Mature female red spotted groupers were injected with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to induce ovulation. The fertilized eggs and embryos were sampled at 0, 4 and 24 HPF (hours post fertilization). Survivals of each groups of embryos were checked at 24 and 48 HPH (hours post hatching). Transcripts of ctsb & ctsd showed the highest level at 0 HPF and relatively high at 4 HPF, but greatly decreased at 24 HPF. In bad egg quality group (BE, embryos survived until 24 HPH), transcript level of ctsb at 4 HPF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ranscript level at the same stage in good egg quality group (GE, embryos survived until 48 HPH) while no significant change of ctsb transcript level was observed at 0 or 24 HPF between BE and GE. Transcript level of ctsd was decreased at 24 HPF, but the difference was not as strong as the case of ctsb transcrip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ternal ctsb transcript rather than ctsd transcript is likely to be involved in egg quality resulting in the difference of survival rate of embryos at early developmental period in this species.

먹이생물과 수온이 붉바리 자어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ve Food and Water Temperature on Larval Survival of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 이창규;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65-572
    • /
    • 1998
  • 붉바리의 종묘생산시 낮은 생존률은 다른 해산어류보다 자어기의 입크기가 현저히 작은 것과 관련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는 붉바리 자어의 생존률과 관련한 자어기 동안의 먹이생물 크기, 수온 및 먹이의 밀도에 따른 자어의 생존률등을 조사하였고, 더불어 자치어 사육기간 중의 성장관계 등을 조사하였다. Tetraselmis tetrathele, 해산 Chlorella 및 Nannochloris oculata를 먹이로하였을 때 태국산 S형 rotifer의 크기는 먹이의 크기가 작을수록 rotifer의 크기도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에 따른 S형 rotifer의 크기는 수온이 높을수록 rotifer의 크기도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온에 따른 자어의 생존률은 $29^{\circ}C$까지는 수온이 높을수록 생존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먹이의 밀도에 따른 자어의 생존률은 rotifer의 밀도가 ml당 15~20개체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형 rotifer, S형 rotifer 중 작은 개체, L형 rotifer, L형 rotifer 중 작은 개체를 각각 먹이로 하여 자어를 사육한 결과, S형 rotifer 및 S형 rotifer 중 작은 개체를 공급한 경우는 생존이 가능하였으나, L형 rotifer 및 L형 rotifer 중 작은 개체를 공급한 경우는 부화후 1주일 이내에 모두 사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S형 rotifer 중 작은 개체만을 택하여 자어에게 공급한 경우는 작은 개체의 rotifer가 자어 사육수조 내에서 성장되었기 때문에 자어가 이것을 효과적으로 섭취하지 못했고, 따라서 S형 rotifer만을 공급한 자어의 생존률과 큰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풀이되었다. 6톤 수조에서 부화자어의 수용밀도를 40,000마리로 하여 53일간 사육한 결과, 부화 후 10일까지의 자어 생존률은 6.3%, 총 사육기간 중의 자치어 생존률은 0.2%로 나타났다. 부화후 53일째 치어의 평균 전장은 29.5mm였다.

  • PDF

Plasma Stress Responses in Juvenile Red-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exposed to Abrupt Salinity Decrease

  • Lee, Jang-Won;Kim, Hyung Bae;Baek, Hea Ja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0권3호
    • /
    • pp.187-196
    • /
    • 2016
  •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termine acute plasma stress responses in two size groups of juvenile Epinephelus akaara (average body weight: $8.4{\pm}2.1$ and $3.3{\pm}0.6g$; 150 and 120 days after hatch, respectively) exposed to abrupt salinity drops (from 34 practical salinity unit, PSU seawater to 18, 10 PSU (experiment 1) or 26, 18, 10 PSU (experiment 2), respectively). Plasma glucose, glutamic oxalate transaminase,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red blood cell counts, and gill histology were determined during 72 h exposure. 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glucose, glutamic oxalate transaminase levels, and red blood cell counts were observed in fish exposed to 18 or 10 PSU. Histological changes, such as hyperplasia and lifting of epithelium in the gill secondary lamellae, were also observed in fish exposed to 18 or 10 PSU at 72 h post-drop. E. akaara exposed to sudden salinity drops to 18 or 10 PSU still seems to undergo the primary adjustment phase before fish reaches a new homeostasis, whereas fish exposed to 26 PSU seems to mount osmotic changes. Therefore, the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s for 72 h acute salinity challenge was 26 PSU in our study, and salinity drop to 18 PSU and below can possibly cause acute adverse effect, in which fish could be vulnerable to additional stresses such as a temperature changes or handling stress.

붉바리의 성숙과 성비 및 성전환 (Maturation, Sex Ratio and Sex-reversal of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 이창규;허성범;고태승;박승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73-580
    • /
    • 1998
  • 한국의 남, 서해 연안에 주로 분포하는 붉바리는 매년 그 어획량이 급감하고 있어 본 종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붉바리 성어의 어획량, 성숙시기 등과 같은 기초생태 및 성전환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92년부터1994년까지 전북 부안군 변산반도 연안에서 어획된 붉바리의 어획량은 매년 10%이상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어획 시기는 5~7월이었다. 붉바리의 주 어획수단은 채낚기어업이었다. 4~10월 사이의 붉바리 생식소중량지수는 7월초, 비만도는 7월말에 최고치를 보여, 우리나라 변산반도 연안 붉발리의 주 산란시기는 7월말에서 8월초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자연산 성어의 전장(X)과 체중(Y)과의 관계는 Y=$0.0169X^{2.9705}$, (($r^2$=0.96)의 식으로 나타났다. 자연산 성어의 암수 출현 빈도는 전장 38 cm까지는 암컷이 높았고, 전장 40 cm이상에서는 대부분 수컷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웅동체는 전장 24~32 cm 범위에서 가장 많았고, 수컷은 전장 28 cm 이상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실내수조에서 1년간 사육한 성어의 경우는 전장 25 cm 까지는 암컷만 출현하였고, 전장 26~32 mc에서는 암컷과 수컷의 출현비율이 서로 비슷하였다. 자웅동체는 전장 25~29 cm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실내수조에서 성비를 달리하여 1년간 사육한 친어의 성전환 비율은, 암수의 성비를 1:1 및 1:2로 한 경우 암컷에서 수컷으로 성전환이 이루어진 개체보다 수컷에서 암컷으로 성전환된 것이 더 많았다. 암컷 집단만을 사육한 경우는 약 20%가 수컷으로 성전환 되었는데, 수컷으로 성전환된 개체들은 대부분 크기가 큰 것들이었다.e상이 합성되어 주상이 되며, hematite 상이 일부 AI$_2$O$_3$와 반응하여 hercynite(FeAl$_2$O$_4$)상을 형성하여 액상 생성량이 많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lay-Dust계에 $Al_2$O$_3$를 첨가하면 액상의 발생량과 특성 및 결정상 종류를 변화시켜줌으로써 시편물성의 변화율을 감소시켜 소결온도 범위를 넓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숙성시킨 후 저온으로 옮겨 숙성 시키는 방법은 저온에서의 숙성지연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MSG첨가는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을 높여 맛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보존성 증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점진적으로 높아진 후 감퇴되었다. 암컷 개체당 포란수는 $22^\circC$ 실험구의 경우 배양 3일째 0.614로 가장 높았으며, $25^\circC$ 실험구의 경우 배양 4일째로 0.772이었다.및 백혈병성 임파모세포의 증식 억제 및 생체내에서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심으로 살펴봄으로서 아직 국내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본 기 술의 활용을 넓이고자 한다. within minimum time from beginning of the shutdown.및 12.36%, $101{\sim}200$일의 경우 12.78% 및 12.44%, 201일 이상의 경우 13.17% 및 11.30%로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만 대조구와 삭제 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는 담수(淡水)에서 10%o의 해수(海水)로 이주된지 14일(日) 이후에

  • PDF

수온별 붉바리(Epinephelus akaara)의 행동, 생존율 및 혈액생리학적 반응 (Behavior, Survival and Blood Physiological Responses of Red-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at Different Water Temperature)

  • 박형준;민병화;김성연
    • 환경생물
    • /
    • 제35권2호
    • /
    • pp.128-1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붉바리(Epinephelus akaara)의 장거리 수송 시 최적의 수온 (대사활동과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수온)을 조사하고자, 수온별(9, 12, 15, 18 및 $21^{\circ}C$)로 48시간 동안 어체를 노출시켜 어류의 행동 변화, 생존 및 혈액생리학적 반응을 확인하였다. $9^{\circ}C$에 노출된 붉바리는 48시간만에 전량 폐사하였지만, 12 15, 18 및 $21^{\circ}C$의 그룹에서는 모두 생존하였다. 15, 18 및 $21^{\circ}C$의 붉바리는 정상적인 유영활동을 보였으나, $12^{\circ}C$에 노출시킨 붉바리는 유영없이 수조 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상태를 보였다. 혈장 코티졸 농도와 글루코스는 다른 실험구보다 $12^{\circ}C$에 노출시킨 붉바리에서 더 유의하게 높았다(P<0.05). 12 및 $15^{\circ}C$ 그룹은 18 및 $21^{\circ}C$보다 Ht 및 Hb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AST, $NH_3$ 및 삼투질 농도는 혈장 코티졸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P<0.05), ALT와 총단백질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붉바리의 장거리 수송을 위한 적정 수온은 $15^{\circ}C$ 임을 시사하고 있다.

수온변화에 따른 붉바리(Epinephelus akaara)의 heat shock protein (Hsp) 70 mRNA 발현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Analysis of Red-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Hsp70)

  • 민병화;허준욱;박형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39-647
    • /
    • 2018
  • 한국의 고급 양식대상 어종인 붉바리(Epinephelus akaara)로부터 새로운 heat shock protein (Hsp) 70을 동정하였다. 붉바리 Hsp70 (RgHsp70)의 cDNA는 RACE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법을 사용하였고, RgHsp70 cDNA의 전장은 2,152 bp이고, 5'-terminal untranslated region (UTR)은 105 bp, 3'-terminal UTR은 274 bp, 590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open reading frame (ORF)는 1,773 bp였으며, 분자무게(molecular weight)는 64.9 kDa 및 등전위값(isoelectric point, pI)은 5.2였다. 추정되는 아미노산 비교 및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 다른 어종과 마찬가지로 Hsp70 고유의 signature를 포함하는 것을 비롯하여 높은 유사성을 나타내었으므로 RgHsp70이 Hsp70 family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RgHsp70 mRNA는 간과 두신 조직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48시간 동안 수온별(21, 18, 15 및 $12^{\circ}C$) 노출 후 간 조직에서 대조구인 $21^{\circ}C$보다 $12^{\circ}C$에서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온이 하강함에 따라 RgHsp70 mRNA 발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수온변화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발현의 변화를 나타내는 주요 스트레스성 단백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붉바리 자어의 난황흡수 및 첫 먹이 섭취시기와 관련한 생존 특성 (Yolk resorption, onset of feeding and survival potential of larvae of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 이창규;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73-483
    • /
    • 1997
  • 붉바리 자어의 생존률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자어의 주 사망 시기인 부화 직후부터 약 일주일간 자어의 난황흡수 및 먹이와 관련한 생존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난황흡수 초기인 부화후 24시간 동안 자어의 난황 및 유구 흡수율은 난황보다는 유구의 경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황 및 유구의 흡수 시간은 수온이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온 23-$25^{\circ}C$에서 99% 이상의 난황 및 유구가 흡수된 시점은 부화후 각각 84, 96시간이었고,$27^{\circ}C$에서는 각각 72, 84시간, 29-$31^{\circ}C$에서는 공히 부화후 60시간으로 나타났다. 수온 23-$31^{\circ}C$의 범위에서 수온(X)에 따른 자어의 개구시(Y)은 Y=-2.53X+118.4, ($r^2$=0.89)의 직선식으로 나타났다. 난황이 대부분 흡수되고 외부 영양섭취를 시작하는 시기 전후인 부화후 72-96시간째 자어의 상악장은 0.113-0.114 mm였으며, 개구후부터 부화후 1주일까지의 전장(X)과 상악장(Y)과의 관계는 Y=0.139X-0.165, ($r^2$=0.88)의 식으로 나타났다. 자어의 소화관에서 최초로 rotifer 가 발견된 때는 부화후 72시간으로써 99% 이상의 난황을 흡수한 시점이었다. 난황 및 유구를 완전히 흡수한 부화후 96시간에는 전체 자어중 약 33%가 먹이를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먹이 공급시기 지연에 따른 자어의 생존률은 부화후 84시간 이전까지는 첫 먹이공급 시기를 빨리할수록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화후 96시간에 첫 먹이를 공급한 경우는 부화후 120시간 째까지 모든 자어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산란기간중의 붉바리 난질 변화 (Qualities of spawned eggs during the spawning period in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e)

  • 이창규;허성범;박승;김병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63-472
    • /
    • 1997
  • 산란기간중 붉바리의 난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992, 1993, 1995년도에 채란한 알의 산란, 부화, 난경 및 먹이무공급 생존지수(SAI) 등을 조사하였다. 붉바리의 산란은 수온이 23-$28^\circC$인 7월 중순에서 8월 중순 사이에 이루어졌다. 산란기간중 알의 부상률, 수정률, 부화율은 산란 후반기보다는 대체로 전반기 및 중반기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화자어의 SAI는 1.8-9.6으로 나타났는데, 개구시까지 자어의 생존율과 SAI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산란기간중 난경의 변화는 1992, 1993, 1995년 모두에 있어 산란 전반기에서 후반기로 갈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구경은 난경과는 달리 산란기간중 큰 변화가 없었다. 태반 성성숙자극 호르몬 주사에 의한 인공채란은 어체 1 kg 당 5,000 IU이상의 HCG를 주사함으로써 가능하였다. 인공채란한 알의 부상률, 수정률, 부화율은 자연채란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일시에 대량의 수정난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자연산란된 알의 난질은 산란전기나 중기가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나, 종묘생산을 위한 알은 이기간 동안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산란 성기중에도 난질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부화율, 기형률, 개구시까지의 생존율 및 SAI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