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onion extract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초

적양파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Anti-Obesity Effects of Red Onions Extract)

  • 송환;서지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26-131
    • /
    • 2022
  • 비만은 에너지의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분화하면서 생기는 대사질환으로 알려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는 적양파 추출물 처리에 따른 Pancreatic lipase 억제, 지방세포분화 억제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적양파추출물 처리에 따른 활성은 지방세포 분화 및 관련 유전자에 대한 평가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고 Real-Time 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Pancreatic lipase 활성 억제 실험에서 적양파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활성을 억제하였다. 지방세포분화 실험을 수행한 결과, insulin, dexamethasone, 3-isobutyl-1-methylxanthine(MDI)등으로 분화 유도된 3T3-L1 세포에서 적양파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였으며 동시에 지방구 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과정과 관련된 C/EBP-α, C/EBP-β, PPAR-γ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본 실험에서 적양파 추출물은 지방분해효소를 억제하며, 지방전구세포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구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항비만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양파 추출물의 화학성분과 아질산염 소거능 효과 (Chemical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Onions)

  • 손미예;박석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62-768
    • /
    • 2006
  • 양파 추출물의 식품첨가소재로써 그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양파의 종류(붉은색, 흰색, 황색)와 추출용매(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열수)에 따른 주요 화학성분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총 유기산과 총 유리당은 각각 건물당 $135.4{\sim}1,255.7mg%$$51.7{\sim}62.9%$ 범위였으며, 각 양파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열수 추출물이 에탄을 추출물보다 높았다.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9.3{\sim}$13.3%$159.8{\sim}584.1mg%$ 범위였으며, 각 용매별 붉은색 양파의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낮은 pH 범위와 추출물 농도의 증가에 따라 높게 나타났는데, pH 1.2에서 붉은색 양파의 에탄을 및 열수 추출물 10 mg/mL 첨가는 약 55% 정도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양파의 추출물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따라서 붉은 양파 추출물은 낮은 pH조건에서 아질산염을 소거하여 니트로사민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식품소재로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즙과 양파껍질 추출액을 이용한 혼합염색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Mixed Dyeing Using Persimmons Juice and Onion Outer Skin Extract)

  • 한영숙;유혜자;이혜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5-124
    • /
    • 2006
  • Natural dyes are environmentally and human compatible. But they are not various or not fast in color. The mixed dyeing have been attempted to solve these disadventages of natural dyes. The persimmon juice dyed fabrics have brown-color and good hygienic properities however low color fastness. The onion dyeing show similar brown-color and have good color fastness caused by querectin existed in onion outer skins. Mixed dyeing was carryied out on silk fabrics using persimmion juice and onion outer skin extract in this study. The mixing method were persimmon juice dyeing and then onion dyeing(P-O), onion dyeing and then persimmon juice dyeing(O-P) and dyeing in the mixture of persimmon juice and onion outer skin extract simultaneously(P+O). The mordants were none-mordent, gallic acid after-treatment and alum after-treatment. Several persimmon juice dyed fabrics were irradiated for 2 hours before onion dyeing(PU-O). The color values of dyed silk fabrics were as follows. The persimmon juice dyed silk fabric developed to yellow-red color after 2 hours of uv irradiation. Onion dyed fabrics show similar yellow-red color after dyeing without uv irradiation. The effect of alum after-treatment on color difference were highest in onion dyeing. The dyeabilities of both P-O and O-P were higher than persimmom juice dyeing and onion dyeing. The dyeabilities of P+O was lower than persimmom juice dyeing and onion dyeing. The value of color difference of alum-treated fabric was the highest. The color difference of P-O and O-P caused from 2 to 4 hours of uv-irradiation were lower than those of persimmon juice dyed fabrics. Onion skin extract could prevent the color-change of persimmon juice dyed fabrics in mixed dyeing. The color difference of PU-O was higher than the P-O.

팽화 홍삼 추출액을 첨가한 양파 착즙액의 유산 발효 (Lactic Acid Fermentation of Onion Juice Supplemented with Puffed Red Ginseng Extract)

  • 박영서;장재권;최영진;정명수;박훈;심건섭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1호
    • /
    • pp.16-23
    • /
    • 2009
  •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 추출액의 첨가량을 달리하면서 Pediococcus pentosaceus KC-007을 이용하여 유산발효시킨후 발효액의 특성과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 추출액을 각각 0.5, 1, 2, 4%(v/v) 첨가한 후 배양시간에 따른 유산균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팽화 홍삼추출액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발효 24시간에서 가장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발효액의 산도는 팽화홍삼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구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발효액의 pH는 발효 36시간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액의 환원당은 발효 24시간까지는 환원당 함량이 감소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액의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1%(w/v) 이상의 팽화 홍삼 추출액을 양파착즙액에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종합적 기호도는 1%(w/v)의 팽화 홍삼 추출액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좋았으므로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추출액을 첨가하여 발효할 경우에는 팽화 홍삼 추출액을 1%(w/v)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vivo와 in vitro에서 김치 및 김치재료의 피브린 분해활성 (The Fibrinolytic Activity of Kimchi and its Ingredients in vivo and in vitro)

  • 송영옥;김미정;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33-638
    • /
    • 1998
  • Fibrionolytic activity(FA) of kimchi in rat and FAs of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kimchi ingredient were determined using fibrin plate method to see where the active principles for FA are present in kimchi. Nine Sprague-Dawley per each group were fed diet containing 3, 5 or 10% of freeze dried kimchi for 6 weeks. The FA of plasma obtained from 10% kimchi group showed stronger FA than that of control. FAs of 3 and 5% kimchi group were not noticeable. FA from methanol extract of kimchi was approximately 6 times higher than that from water extract assuming that the active material may be present in a fat soluble fraction. From water extract of kimchi ingredients, dropwort, green onion, radish and baechu showed FA in descending order. And from methanol extracts, red pepper powder, radish, green onion and baechu showed FA in decending order. The Fa of methanol extract of red pepper powder was the most noticeable among samples.

  • PDF

황색과 자색 양파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Yellow and Red Onion)

  • 정창호;김진희;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08-712
    • /
    • 2006
  • 황색과 자색 양파를 기능성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황색과 자색 양파의 수분 및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92.80%, 5.13%와 92.47%, 5.59%로 나타났으며, 황색양파와 자색양파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으로는 K(123.64, 114.41 mg%), Na(34.09, 33.57 mg%) 및 Ca(18.77, 27.59 mg%)이었다. 황색양파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744.2 mg%)와 fructose(705.9 mg%)였으며, 자색양파에서는 sucrose(692.8 mg%) 와 fructose(517.3 mg%)였다. 황색과 자색 양파의 총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 phenylalanine 및 aspart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황색양파의 유리아미노산은 hydroxy-L-proline(27.34 mg%), L-serine(27.34 mg%) 및 L-arginine(26.25 mg%) 순이었고, 자색양파에서는 L-glutamic acid (16.35 mg%), ammonium chloride(15.22 mg%) 및 L-serine(10.93 mg%) 순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황색양파(19.20 mg%)보다 자색양파(28.34 mg%)가 높았으며, 황색과 자색양파의 quercetin 함량은 각각 15.24 mg%와 5.70 mg%였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황색과 자색 양파에서 각각 0.319 mg/g 및 0.248 mg/g이었다.

붉은 양파 분말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ed Onion Powder)

  • 장주리;권선진;임선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49-755
    • /
    • 2009
  • We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onion powder dried using the low temperature vacuum method and the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of the dried red onion powder on the growth of HT-1080 human fibrosarcoma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red onion powder was 17.95%, while the vitamin C content was 96 mg/100 g and the total phenols content was 39.1 mg/mL. The inhibitory effects of acetone with 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extracts of the red onion powder on the growth of HT-1080 and HT-29 cancer cells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p<0.05). The inhibitory effect was greater on the growth of HT-29 cells, while the A+M extracts had a higher inhibitory effect than the MeOH extracts. Treatment with the hexane, 85% aq. methanol, butanol and water fractions of the extract led to significant inhibition of the growth of both cancer cell lines (p<0.05). Among the fractions, the hexane and 85% aq. methanol fractions showed a greater inhibitory effect.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 on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a DCFH-DA (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assay was conducted. All fractions, including the crude extracts of dried red onion, appeared to lea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levels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these reductions occurred in a dose dependent fashion (p<0.05). Among the fractions, the 85% methanol fraction showed the greatest protec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of lipid peroxides.

면직물에서의 자색 양파 껍질 추출물의 염색성 (The Dyeing Properties of Cotton Fabric dyed with Purple Onion Shell Extract)

  • 배상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41-444
    • /
    • 2007
  • For the purpose of application to new natural dyestuff, the dyeability of Purple onion shell extract was analyzed. It was dyed in cotton fabric according to various dye weight, dyeing temperature, dyeing time. And the effects of mordanting conditions were examined as color differences and color fastnesses. The dyeaffinities were increased as were increased dye weight, especially 100% owf. The optimum dyeing condition of Purple onion shell extract was 40minutes at $60^{\circ}C$. The dyeaffinity was increased at pre-mordanted condition, and color difference was increased distinctly at post mordanted condition. The hue of all mordanted cotton fabrics changed into Yellow where as non mordanted cotton fabric was Red. The color fastnesses of mordanted cotton fabrics were generally not so god, but light fastness was improved in post-Cu mordanted fabric.

전남 함평산 자색양파 추출물의 항균효과와 피부장벽 보호효과 (The Anti-bacterial Effects and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of Red Onion Juice Produced in Jeon-Nam province in Korea)

  • 윤대환;신헌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56
    • /
    • 2012
  • 1. 추출방법, 추출농도에 따라 항균력의 차이가 있었으나, 일반양파, 자색양파의 1%, 5%, 10% 생즙추출물 모두,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KCTC1917), Staphylococcus aureus subsp(ATCC6538)에 양호한 항균력을 보였다(81%~100%). 어성초 열수추출물은 10% 고농도에서만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KCTC1917), Staphylococcus aureus subsp(ATCC6538)에 항균력을 보였다(100%). 2. 자색양파, 어성초, 일반양파의 1%, 5%, 10% 추출물 모두, 식중독 균인 Escherichia coil,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에서는 항균력을 보이지 않았다. 3. 자색양파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을 0.01%, 0.05%, 0.1%, 0.5%로 처리하였을 때, 피부장벽 조절인자인 filaggrin과 SPT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반면, 일반양파 추출물도 농도 의존적으로 filaggrin과 SPT발현양을 증가시켰지만, 자색양파 추출물에 비하여 발현양이 많지 않았다. 4. 피부 염증 반응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COX-2의 발현과 AP-1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자색양파와 어성초의 0.01%, 0.05%, 0.1%, 0.5%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COX-2의 발현과 AP-1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반면 일반양파 추출물도 농도 의존적으로 COX-2의 발현과 AP-1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나, 자색 양파 추출물에 비하여 감소양이 적었다. 5. 자색양파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은 피부 장벽기능 조절인자인 filaggrin과 SPT의 발현양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피부의 수분 유지 기능을 강화하였고, 농도 의존적으로 피부 염증 반응 인자도 감소시켜 항염증효과가 있어, 피부미용기능재료로서의 가능성 보여주었다.

황련추출액의 항균활성과 항균성물질의 동정 (Antifungal Activity or Coptis japonica Root-stem extract and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Substances)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60-268
    • /
    • 1999
  • 황련(Coptis japonica)의 추출액을 공시하여 Phytophthora capsici, Fusarium oxysporum, Colletotrichum dematium, C. truncatum, Botrytis cinerea, Botryosphaeria dothidea과 Alternaria porri에 대해 항균 활성 검정, 몇가지 작물에 대한 병해 방제 효과를 조사하고 항균 활성 물질을 동정하였다. 황련 추출액은 P. capsici, F. oxysporum, C. dematium, B. cinerea, B. dothidea 및 A. porri에 대해서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Methanol을 용매로 추출하여 분리된 물질과 berberine-Cl 표준품의 항균활성을 비교할 때, 황련추출액으로부터 분리된 물질은 표준품 berberine-Cl과 비슷하게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황련 추출액은 고추 역병(83.3%), 참깨 모잘록병 (92.0%) 및 파 검은무늬병(87.5%)에 대해서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고추 잎과 과실, 파 잎 및 딸기 과실에는 약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농도에서는 고추 및 참깨의 발아를 억제하거나 유근의 신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thanol로 추출한 황련 추출액으로부터 황색 분말 4.24g/100g을 얻을 수 있었다. 이들 물질을 HPLC로 분석한 결과 항균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berberine-Cl로 동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