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Pine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37초

강원 남부 삼척과 태백지역 소나무림의 식생유형과 임분구조 (Vegetation Type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Samcheok and Taebaek of Kangwon Southern Region)

  • 이광수;김석권;배상원;이중효;정문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55-862
    • /
    • 2010
  • 본 연구는 소나무림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산림으로 유지하기 위해 우리나라 강원남부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유형과 임분구조를 분석하였다. 소나무림의 군락유형은 4개군락 2개군으로 총 6개 식생단위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 개옻나무, 생강나무, 조록싸리, 졸참나무, 큰기름새, 참취, 쇠물푸레 등이 상재도가 높은종으로 나타났다. 층위별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상층에는 소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나 아교목층 이하에서는 소나무보다 경쟁목인 참나무류와 같은 활엽수종들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직경급 분포에서도, 소나무는 주로 대경목에 분포한 반면, 중 소경목은 대부분 활엽수로 나타났다. 소나무와 경쟁 활엽수종의 연간직경생장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 입지적조건 및 수령과 수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소나무림 유지를 위해서는 각 임분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 하층에서 소나무와 경쟁관계에 있는 활엽수에 대한 적절한 시업법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생장지역에 따른 소나무 형성층 활동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 of Cambium Activity of Pine Trees at Different Growth Sites)

  • 박소연;엄창득;서정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11-420
    • /
    • 2015
  • 동일 수종이라도 생장지역과 영급에 따라 수형 또는 재질의 차이가 존재하고, 이러한 차이는 형성층 활동에 따른 목부세포의 양과 질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게 된다. 본 연구는 소광리와 안면도에서 자라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형성층 활동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여 소나무 목재의 재질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형성층 활동 분석 결과, 소광리 5영급 임분은 목재세포 분열을 4월 중순에 시작하였으며, 안면도는 5영급과 9영급 모두에서 4월 초에 시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광리 9영급의 경우는 5월 중순에서 6월 중순으로 조사되었다. 형성층에서 세포분열이 종료되는 시기는 소광리 9영급을 제외하고 소광리와 안면도 모두 10월 중순부터 10월 말로 조사되었다. 소광리 9영급의 형성층 내 세포분열 종료는 10월 초였다. 형성층의 계절별 활동을 조사한 결과, 소광리의 형성층 분열기간이 안면도보다 짧게 나타났다. 반면, 소광리 소나무의 형성층으로부터 분열된 세포 수는 안면도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감염된 소나무와 잣나무 내 소나무재선충 분포 및 인공접종한 소나무 묘목 내에서의 소나무재선충 이동 (Distribution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Naturally Infected Pinus densiflora and P. koraiensis and Migration of B. xylophilus in Artificially Inoculated P. densiflora Seedlings)

  • 김재근;김병관;이승규;김진철;한상섭;차병진
    • 식물병연구
    • /
    • 제18권2호
    • /
    • pp.101-108
    • /
    • 2012
  • 소나무재선충에 자연 감염된 소나무와 잣나무로부터 소나무재선충을 분리하여 수종 간 분리율과 수종 내 부위별 밀도 등을 비교하고, 분리한 선충을 소나무 묘목에 접종하여 묘목 내에서의 이동을 알고자 하였다. 2006년,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되어 말라죽었거나 죽어가고 있는 소나무와 잣나무로부터 소나무재선충을 분리한 결과, 소나무재선충은 두 수종 모두에서 높은 밀도로 분리되어 수종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수종의 변재부 위에서만 분리되었으며, 분리한 조직을 채취한 줄기의 높이에 따른 분리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즉, 말라죽은 나무의 주간은 모든 조직이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되어 있었다. 소나무 묘목에의 접종실험을 통하여 감염목 내 이동을 조사한 결과, 감염초기에 소나무 조직 내로 침입한 소나무재선충은 증식에 앞서 감염목 내에서 빠르게 이동하여 퍼지기 시작하였고, 그 이후에 왕성한 증식활동을 하였으며, 이 시기가 바로 소나무 시들음병의 외부병징이 나타나는 시기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소나무재선충의 이동경로를 조사하기 위해 접종한 소나무 줄기횡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또 높이별로 선충을 분리하여 조직 내 선충의 분포를 관찰한 결과, 줄기의 피층에 있는 수지도를 통해 접종부위로부터 다른 부위로 빠르게 이동을 하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조직 내에서 증식한 소나무재선충은 피층의 수지도뿐만 아니라 목질부수지도나 가도관까지 분포하여 감염목내 전 부위에 걸쳐 고루 분포하였다. 그러나 수조직에서는 분리할 수 없었다. 소나무재선충 분리밀도가 높았던 묘목은 뿌리의 발달이 불량하거나, 목질부 변색균에 감염된 것들이었으며, 비교적 튼튼한 외양을 한 묘목에서는 선충의 분리밀도가 낮았다.

강원북부지역 소나무림의 식생유형과 임분구조 (Vegetation Type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angwon Northern Region in Korea)

  • 이광수;김석권;배상원;이중효;신현철;정문호;문현식;배은지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6호
    • /
    • pp.7-17
    • /
    • 2009
  • 본 연구는 소나무림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경영림으로 발달시키기 위해 우리나라 강원북부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유형과 임분구조를 분석하였다. 소나무림의 군락유형은 3개군락 5개군 2개소군으로 총 7개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상재도가 61%이상인 종으로는 소나무, 신갈나무, 생강나무, 큰기름새, 삽주, 진달래, 가는잎그늘사초로 나타났다.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상층에는 소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나 아교목층 이하에서는 신갈나무를 비롯한 참나무류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하층에서 소나무의 치수가 거의 발견되지 않고 교목성 활엽수와 관목성 수종들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경생장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에 비해 참나무류의 생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강원북부지역에서 지속적인 소나무림 유지를 위해서는 각 임분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 하층에서 소나무와 경쟁관계에 있는 활엽수들을 제거하는 등 적절한 시업법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구 북지장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식별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Elements Used for Daewungjeon Hall in the Bukjijangsa Temple, Daegu, Korea)

  • 연정아;박원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201-210
    • /
    • 2013
  • 대구 북지장사 대웅전(보물 제 805호, 1659년 건축)에 쓰인 주요 목부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창방, 평방, 도리, 추녀 등 총 117점을 조사하였다. 수종 식별 결과, 기둥 부재의 경우, 소나무류(적송류) 5개, 상수리나무류 2개, 솔송나무속 3개 등의 세 수종으로 식별되었다. 활주는 4개 중 1개는 소나무류이고, 나머지 3개는 전나무속으로 식별되었다. 창방은 소나무류 8개, 상수리나무류 1개로, 평방은 소나무류 3개와 상수리나무류 6개로 식별되었다. 도리는 소나무류 17개, 상수리나무류 16개, 외래산 소나무류 1개 등 세 수종으로 식별되었다. 추녀는 3개가 소나무류, 나머지 1개가 상수리나무류로, 그리고 사래는 소나무류 2개, 느티나무속 1개, 외래산 소나무류 1개로 식별되었다. 포부재(31개)와 장여(4개), 덧추녀(2개)는 모두 소나무류로 식별되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소나무류(70.1%)와 상수리나무류(22.2%)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기둥, 도리, 사래 등의 일부에 사용된 솔송나무속과 외래산 소나무류 그리고 활주에 사용된 전나무속은 근래의 보수 시에 사용된 수입산 수종으로 추정된다.

Air Circulating Oven-drying Characteristics of Hollowed Round-post for Korean Main Conifer Species - Part 2: For Korean red pine hollowed round-post -

  • Lee, Nam-Ho;Zhao, Xue-Feng;Shin, Ik-Hyun;Lee, Ch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2호
    • /
    • pp.61-70
    • /
    • 2012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heartwood-coating (HCO), vapor-dam (VD), bark-remaing (BR) and bark-remaining- coating (BRC) treatments were evaluated during air circulating oven-drying of hollowed round-post of Korean red pine. Hollowed round-post could be dried from the green condition to approximately 6% MC within 84 to 156 hours for the UC, HCO and VD specimens and it took 72 to 240 hours to about 8% MC, which is recommended as the indoor in-use MC. The temperatures in the hole of the Control (UC) and HCO specimens constantly showed a higher-leveled distribution pattern than those inside wood. The vapor pressure in the hole of the UC, HCO and BR specimens was higher than that inside wood and showed difference as highest value of about 20 mbar. The surface checks of all specimens were mild and were observed in increasing order of BRC, BR, UC, VD and HCO specimens.

석회암지역 소나무림에서 지렁이의 생태학적 역할 (Ecological Role of Earthworms in Red Pine Forest in the Limestone Areas)

  • Mun, Hyeong-Tae;Jeong-Ok I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2호
    • /
    • pp.229-238
    • /
    • 1993
  • Ecological role of earthworms in red pine forest was investigated with emphasis on the population size, cast production and changes of physicoKDICical properties of soil by earthworm's activities. The density of earthworms was 62.8/m2 in August, 1992. Average biomass of earthworms was 16.3 g/m2. N and P concentrations in the tissue of earthworms were 28.5 mgN/g and 0.5 mgP/g, respectively. Cast production continued from April to November, with a peak in August. Annual production of earthworm casts was 5,379 g/m2. Bulk density of surface soil decreased due to the earthworm's cast-forming activity. Clay fraction in surface soil increased by addition of casts. Soil KDICical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urface soil and the earthworm casts. The amounts of organic matter, N, P, K, Ca and Mg added to the soil via earthworm casts during one year were 9.3t/ha, 11.29 kg/ha, 0.78 kg/ha, 12.36 kg/ha, 140.29 kg/ha and 20.96 kg/ha, respectively. Earthworms can feed on waxy and resinous litter when it became palatable by decomposing processes.

  • PDF

열처리에 의한 청변균 변색 소나무 판재의 재색 변화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Color Change of Blue-Stained Pinus densiflora Boards)

  • 이원희;임호묵;강호양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19-324
    • /
    • 2014
  • Red pine is a popular species for making a cutting board in Korea, but easily sap stained. Heat treatment could improve its quality by darkening and equalizing the color of sap stained wood. The color change of sap stained red pine boards was investigated by heat treatment at $190^{\circ}C$. It was observed that the color of heat treated boards got darker and it made the color of sap stain vanished. A colorimeter was used to measure color indexes. It was revealed that the values of the lightness ($L^*$) and the yellowness ($b^*$) decreased as heat treatment repeated while the values of the redness ($a^*$) increased. The average of the color difference (${\Delta}E^*$) between the control and 1st heat treated boards was 16.1, which could be expressed as 'Extremely different' while that between the 1st and 2nd heat treated boards was 8.3, which could be expressed as 'Considerably different'. The fact that heat treatment equalized the color of boards was confirmed by a statistical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