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ycling material

검색결과 1,131건 처리시간 0.021초

Inventory Management Practices Approach to Reverse Logistics

  • Wang, Dja-Shin;Koo, Tong-Yuan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9권4호
    • /
    • pp.303-311
    • /
    • 2010
  • In the last few years growing interest has been dedicated to supply chain management. Modeling complexity is added to supply chain coordination problem by accounting for reverse logistics activiti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tend inventory model of manufacturing factory with respect to the production of raw material of forward logistics and recycling material of reverse logistics. The proposed model is applied to a plastic recycling process plant located in Taiwan. The case study improvement scheme shows when the recycling rate of recycling material increases from 15% to 50%, the total inventory cost of manufacturing factory decreases by 12.82%, safety stock volume decreases by 41.19% and the reorder quantity is down by 50.96%. This paper finds whether the results of the model can reach the economic profit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and encourages companies integrate reverse logistics into the supply chain system.

재활용 현황파악을 위한 공공 자료별 국내 납 물질 흐름 상호 확인 (A Cross-check of Domestic Lead Material Flow in Public Database Sets for the Recycling Status Analysis)

  • 이상훈;김정은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0권3호
    • /
    • pp.63-69
    • /
    • 2021
  • 폐기물에서의 납 회수 및 재활용을 통해 원료공급 안정화와 환경오염 예방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고 실제로도 최근 폐납축전지 위주의 재활용을 통해 납 원자재 공급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 있다. 다만 향후 납 회수 및 재활용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납의 물질 흐름의 현황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 배출원 등의 복잡성과 다양성으로 인해 관련 조사가 번거로울 수 있다. 이 경우 편의상 인터넷 공개자료를 통한 예비 조사의 선수행이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공개자료를 통해 국내 납의 흐름을 파악하여 향후 납 회수/재활용에 효율성을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N Comtrade와 국내 화학물질배출×이동량 사이트 자료를 이용하여 납의 수입량 및 배출×이동량을 파악하고 이를 국가통합자원관리시스템에서 제시된 납의 흐름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폐납축전지 등 주요 항목별 관련 납의 흐름이 각 사이트 간에 대략적인 일치를 보였다.

LCA기법을 이용한 PET의 환경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 Assessment of Was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y LCA)

  • 박찬혁;정재춘;최석순;김성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1호
    • /
    • pp.115-123
    • /
    • 2005
  • 본 논문은 PET의 하나인 물질재활용에 대해 전과정평가기법을 이용하여 환경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재생업체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목록분석을 실시한 후 Eco-Indicator 95의 영향평가방법을 사용하여 각 영향범주별 환경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폐플라스틱의 물질재활용공정에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구온난화로 밝혀졌다. 이는 폐플라스틱인 PET에 대해 물질재활용의 각 단위공정별 환경영향평가 결과에서 전력과 에너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용융 및 재생원료화공정의 환경부하가 매우 높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을 살펴보면 $CO_2$가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은 NOx이었다. 이는 전력사용과 수송과정의 경유사용에 기인한 것이다. 폐플라스틱의 물질재활용에 대한 영향평가결과는 오존층 파괴의 영향을 제외한 거의 모든 영향범주들이 음(-) 값이며 이는 환경성이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ET를 물질재활공정과 이를 다시 재생원료로서 사용할 경우를 비교할 때 환경부하삭감효과는 매우 크게 나타났다.

  • PDF

PVC재질 프로파일의 생산, 발생 및 재활용, 처리에 기반한 물질흐름도 검토 (Investigation on Material Flow Diagram for PVC(poly vinyl Chloride) Profile Based Production, Generation, Recycling and Treatment)

  • 배재근;정오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2호
    • /
    • pp.129-14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플라스틱 제품의 재활용률을 산정하기 위하여 PVC프로파일에 대한 물질흐름도를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합성수지 및 제품별 생산 현황 조사, 폐기물 발생 및 재활용 현황 조사, 재활용 실태 현황 조사, 제품별 물질흐름 검토를 거쳐 내구성 플라스틱의 발생부터 폐기까지의 조사를 실시하여 물질흐름도를 작성하였다. 제품별 재활용이 가능한 비율을 산정한 결과, PVC바닥재와 PVC프로파일의 경우 국내에서 사용된 제품의 내수량의 합이 525,448톤이고, 폐기물 배출량은 105,853톤으로 나타났다. 재생제품과 재활용원료의 생산량 합계는 76,004톤으로 제품의 내수량에 대비하면 2009년 의무량 8.5%에 비교하여 연구를 통한 재활용량은 추정량 14.46%로 산출되었다. 향후 각 품목의 연도별 사용량은 해당제품의 생산량이 현재와 크게 차이가 없을 것으로 가정하고 연도별 생산량에 대입한 후 5~20년 뒤의 물질수지도를 작성한 결과, 재활용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바닥재 및 프로파일은 2013년에 20% 수준의 재활용률에 도달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숯보드용 표면처리재 개발에 관한 연구 (A Research about charcoal board surface processing material development that utilize recycling site)

  • 이태구;문종욱
    • KIEAE Journal
    • /
    • 제4권4호
    • /
    • pp.3-10
    • /
    • 2004
  • If move in in the new apartment usually, do that hundreds hazardous substance among air floats and is broken-down. In the case of the floor, organic compound turns in adhesives that is bitter when attach the reinforcement floor and material lumber and hazardous substance is exhausted much wallpaper and concrete. Therefore, to reveal maximum this research to apply on interior of building to live function of charcoal, at non combustible material two faces that can promise safety from fire, strong and satisfy light performance, and it is thing about development of sheathing that use recycling material for barren land of multi-function and surface treatment of charcoal board as well as can keep healthy indoor environment.

한국(韓國)의 E-waste 리싸이클링 시스템과 재자원화산업(再資源化産業) (Recycling System and Recycling Industries of the E-waste in Korea)

  • 오재현;김준수;문석민;민지원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5호
    • /
    • pp.16-33
    • /
    • 2011
  • E-waste는 종류가 많고 유통경로가 다양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흐름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E-waste에는 레어메탈의 사용이 많을 뿐 아니라 유해한 중금속도 함유되어 있어 자원확보면에서, 환경오염방지면에서 재자원화 처리가 필수적이며 정확한 재자원화 물질흐름의 분석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2008년 1월부터 실시한 "전기 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 중에서 E-waste와 관련된 법률내용의 골자, 리싸이클링시스템, 리싸이클링현황, E-waste 배출량 추정과 물질흐름 및 PCB의 경제학을 논하였다. 그리고 현시점에서 한국의 E-waste 재자원화산업을 약술하였다.

폐비닐을 이용(利用)한 재생원료화(再生原料化) 기술(技術) (Feedstock Recycling Technologies using Waste Vinyls)

  • 정수현;나정걸;김상국;우희명;김영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4호
    • /
    • pp.46-54
    • /
    • 2013
  • 국내에서 발생하는 폐플라스틱의 양은 폐비닐류를 포함하여 연간 500만톤에 이르며 이 가운데 재활용 선별장을 통하여 배출되는 폐비닐류의 양은 연간 100만톤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재활용 선별장의 폐비닐류는 RPF(Refuse Plastic Fuel) 또는 재생원료로 전환되어 재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 선별장에서 발생하는 폐비닐을 열매체 가열공정에 의하여 용융처리하여 재생 폐비닐 원료로서 이용가능성을 인장강도를 통하여 분석하고 기존의 재생품과 비교함으로서 용융재생원료의 이용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상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폐비닐류를 이용한 재생원료의 인장강도는 100 $kgf/cm^2$ 정도가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리사이클링을 고려한 설계 프로세스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Process for Recycling)

  • 유병철;이건상;변철웅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89-1295
    • /
    • 2003
  • Most industrial products nowadays have been manufactured by being made up of many parts what these are made from various kinds of materials. These parts and goods should be disassembled simply and classified easily by material or kinds of parts for the recycling. But it is not so easy to know how to take disassembly ways and those orders must be known and also analyzed the assembled points and directions of the every part. This research presents an design process for recycling that it will be considering whole design process for recycling about easiness of disassembling units as the prior condition to reuse the parts and used material, and to reduce waste parts.

  • PDF

친환경 자원재활용 재료와 폐자원을 이용한 고점착 자착식 방수시트재의 재료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Research on Materials Characteristics of high adhesive Self Adhesion Waterproofing Material using by the Eco-friendly Resource Recycling and Resource Waste)

  • 허능회;최은규;김수연;김진성;이종용;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91-293
    • /
    • 2012
  • Recentl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global warming and greenhouse gases are increasing, because Efforts to improve are continued throughout the world. As part of the resource recycling industry has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area. In the field of waterproofing industry, focus on the resource recycling is growing, due to serious resource depletion and sharp price. Therefore, in this research on the resource recycling such as reclaimed rubber and rubber waste is enable and these eco-friendly materials are applied high adhesive flexible non-exposed type self adhesion compound waterproofing material was measured eco-friendly performance and field application was evaluated.

  • PDF

재활용성 폐기물의 처리흐름 분석을 통한 자원순환성 평가 (Assessment of the Recycling of Resource Efficiency through investigating Treatment Flow of the Recyclables)

  • 김제남;김수진;배재근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2호
    • /
    • pp.76-88
    • /
    • 2012
  • 본 연구는 생활계폐기물 중 별도로 분리 배출되어 재활용 선별장으로 반입된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수집운반에서부터 최종처리까지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실제 현장조사를 기본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 최종 재활용 측면에서는 대체적으로는 적정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 되었으나, 불필요한 이동 및 중간처리 경로를 통해 처리되는 품목이 상당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자체에서 선별된 폐자원을 처리 또는 수집운반 하는 업체들은 오로지 경제성 원리에 입각한 폐기물 처리비와 운반비 차익을 주요 수익원으로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중간단계 및 장거리 폐기물 이동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합리적인 자원순환망 구축을 위한 첫 번째 단계는 폐기물 발생원의 근거리에 있는 재활용업체에서의 우선처리원칙이 필요하며, 필요에 따라 인근 지역의 폐기물을 동시에 처리 할 수 있는 광역처리체계 도입이 타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