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very Plan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34초

혼합 건설폐기물 처리경로별 전과정 온실가스 발생량 평가 (Evalu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or Life Cycle of Mixed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Routes)

  • 김다연;황용우;강홍윤;문진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1권1호
    • /
    • pp.56-64
    • /
    • 2022
  • 우리나라는 2019년 221,102 ton/day의 건설폐기물이 발생하였으며, 그 중, 본 연구의 대상인 혼합 건설폐기물 발생량은 24,582 ton/day로 조사되었다. 나머지 건설폐기물은 98.9%의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재활용되고 있다. 폐기물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7.1 백만 ton CO2-eq.로 총발생량의 2.3% 정도를 차지한다.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기 위해 환경영향 저감 방법 등에 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으나, 혼합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은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분리·선별이 어려워 매립 및 소각에 의해 처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단순처리보다 재활용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혼합 건설폐기물의 처리경로별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을 통해 환경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온실가스 발생량이 가장 높은 것은 소각단계로 나타났으며, 최적의 온실가스 저감 방안은 단순 소각처리가 아닌 재활용, 에너지회수를 통한 재활용 처리가 최적의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에너지화 단계의 온실가스 발생량은 두 번째로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폐기물을 에너지로 활용하여 화석연료 사용 절감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수송단계에서는 최적의 거리 설정과 바이오연료 및 전기자동차 운행 등을 적용하여 온실가스 발생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최적의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한국 기록관의 지진 대비를 위한 국외 사례 검토 (Review of Overseas Cases for Earthquake Preparedness in Korean Archives)

  • 이상백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48
    • /
    • 2019
  • 이 연구는 한국 기록관의 지진 대비 계획 수립을 위해서 기록관 지진 대비의 기본적인 사항과 지진 피해와 복구에 대한 실제 국외 사례 검토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로, 첫째, 기록관의 지진 대비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지진의 기본적인 특성과 지진으로 발생할 수 있는 피해 상황을 정리하였고, 지진 대비 계획 수립의 방향 설정을 위해 재난 대비 계획을 검토한 후, 계획 수립의 핵심 요소인 '재난 대비 위원회와 업무 분담', '위험 평가 및 관리', '즉각적 대응을 위한 핸드북 작성', '복구 계획', '훈련', '협력 활동'을 지진 대비에 적용해보았다. 둘째, 지진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 기록관의 지진 대비 계획 수립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4가지 국외 사례를 검토하였다. 4가지 사례는 일본의 도서관 책 낙하 사례, 독일의 기록관 붕괴 사례, 뉴질랜드의 기록관 지진 피해 사례, 문화유산 분야의 지진 대비와 복구 사례로 각 사례의 핵심 내용을 검토하고 교훈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셋째, 국외 사례의 교훈을 국내에 적용하기 위하여 사례에서 도출한 교훈, 지진 대비 계획 수립의 핵심 요소, 국내 기록 공공표준을 상호 연계하여 살펴보고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 검토한 사항들이 향후 국내 기록관이 실제 적용 가능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스마트시티의 재해회복력 향상을 위한 고찰 - 동일본 대지진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ement for disaster resilience of the smart city - Mainly on the data analysis in Great East Japan Earthquake)

  • 장혜정;김도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73-387
    • /
    • 2016
  • 도시는 항상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고 새로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시대의 지식과 첨단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왔다. 어느 시대나 시민들은 더 나은 삶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살고자 하며 이러한 인간의 기본 욕구는 스마트 시티의 지속성과 발전에 관하여도 중요한 기반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시티가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입고난 뒤 다시 정상적인 환경으로 돌아오기까지 시민과 지역사회의 재해회복에 관한 니즈와 우선순위를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고찰 하였다. 이러한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가장 시급하게 필요한 피해지역의 주민과 커뮤니티의 회복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사례로 고찰하여 스마트 시티의 지역 시민과 지역사회의 회복력을 데이터 활용을 통하여 향상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한일 지진 복구체계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Japan Seismic Recovery System)

  • 이준범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58-471
    • /
    • 2020
  • 연구목적: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지진의 발생빈도와 횟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일본지진의 특성과 사례 및 이에 대한 복구체계에 대해서 비교분석하고, 우리나라 지진 방재정책의 개선사항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고베 대지진과 동일본 대지진 두 사례에서의 일본의 대응을 조사 및 평가하고, 경주 지진과 포항 지진 두 사태에서 우리나라의 대응책을 조사 및 평가한 후, 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와 일본의 복구체계를 비교했을 때, 크게 도로교통망 복구를 위한 계획, 지역방재계획 과 BCP 개념의 도입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우리나라의 지진 위험지역과 수도의 물리적 거리를 고려할 때 시일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 현재의 중앙정부 집중형의 하향식 대응에서 벗어나 기능연속성계획(COOP)의 세부 수립을 통해 지역에서의 즉각적인 지진 대응력을 높이고, 행정BCP 개념 도입을 통해 재해 발생 시 행정기능이 정상적으로 발휘되도록, 이를 담보하기 위한 대처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수질오염총량 단위유역의 유량조건별 수체 손상 평가를 위한 부하지속곡선 적용성 연구 (Application Load Duration Curve for Evaluation of Impaired Watershed at TMDL Unit Watershed in Korea)

  • 황하선;윤춘경;김지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03-90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valuated on the applicability of Load Duration Curve Method (LDC Method) using HSPF watershed model and sampling data for efficient TMDLs in Korea. The LDC Method was used for assessment pollutant characteristics in watershed and water quality variation in each water flow level. Load Duration Curve is applied for judge the level of impaired water-body and can be estimated the impaired level by pollutant, such as BOD, T-N, and T-P in this study depending on variation of stream flow. As a result, BOD, T-P was usually exceed the standard value at low flow and dry hydrologic period. Improvement of effluent concentration from WWTP and riparian buffer protection zone are effective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T-N showed the worst condition at mid-range hydrologic period and moist hydrologic period. Therefore, soil erosion control program and BMP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is effective for recovery the water quality, which can be useful method for management of water quality in the plan of recovery water quality spontaneously. Applicability of LDC Method was evaluated in the Nakbon A watershed. However, we need to consider more detailed and accumulated data set such as accurate GIS data and detail pollution data, and WWTP discharge water quality data for accurate evaluation of watershed. Overall, The LDC Method is adequate for evaluation of watersheds characteristics, and its application is recommended for watershed management and TMDL Implementation.

복강경담낭절제술 후 가온요법 간호중재 프로그램 적용 효과 (Study on Effect of Warmth Therapy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 이중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50-356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수술 후 회복실에 입실한 환자에게 가온요법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간호중재방안 개발 및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비 동등성 대조군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방법: 연구의 대상자는 가온요법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 31명, 대조군 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가온요법은 가온기를 통해 회복실에서 38~43℃ 범위 내 가온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파악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𝑥2-test와 In-dependent t-test로 파악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시간에 따른 체온, 통증, 전율의 차이는 repeated measure ANOVA로 파악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온도 편안감의 차이는 t-test로 파악하였다. 결과: 첫째, 수술 직후 반복 측정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체온, 통증, 전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온도 편안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이와 같이 수술 후 가온요법 중재 시 환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악교정술(顎矯正術)이 교합력(咬合力)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S OF ORTHOGNATHIC SURGERY ON THE OCCLUSAL FORCE)

  • 오승환;김여갑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4권4호
    • /
    • pp.327-339
    • /
    • 199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thognathic surgery on occlusal force. The maximum bite force was measured in 26 dentofacial deformity patients, aged 14-26(mean age 20.3) years, before surgery and at IMF removal, 3, 6, and 12months postsurgery. To grope the correlation of bite force and skeletal change after orthognathic surgery, the cephalometric headplates were measured, tabula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surgical maximum bite force was 13.7kg in upper first molar(rt. Side 12.7kg, it. Side 14.6kg). There was remarkable difference with that of normal occlusion. 2. The recovery of bite force was very significant i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and the duration of IMF that was 7.6kg at IMF removal, 14.2kg at 3 months, 19.7kg at 6 months. 26.1kg at 12 months postsurgery. 3. To fasten the recovery and to increase the bite force after orthognathic surgery, the long IMF time and the injury to the masticatory muscle should be avoided by the internal rigid fixation and early physical exercise. 4. The bite forc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changes of mandibular plane angle, the angle between platatal plane and mandibular plan, the angle between occlusal plane and mandibular plane, and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changes of mandibular body length in craniofacial structure. 5. There was no correlationship between bit force and mesial inclination of tooth long axis of first molar in this subject. 6.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bite force and the changes of mechanical advantage of the temporal and masseter muscle.

  • PDF

에너지 생산형 하수처리장을 위한 가용 기술과 통합관리 방안 (Available Technology and Integrated Management Plan for Energy-positive in the Sewage Treatment Plant)

  • 송민수;김형호;배효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5-68
    • /
    • 2020
  • Because of the intensified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and resource depletion, sewage treatment technology focused on energy managemen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The conversion of primary sludge from the primary sedimentation tank and excessive sludge from the secondary sedimentation tank into biogas is the key to energy-positive sewage treatment. In particular, the primary sedimentation tanks recover enriched biodegradable organic matter and anaerobic digestion process produces methane from the organic wastes for energy production. Such technologies for minimizing oxygen demand are leading the innovation regarding sewage treatment plants. However,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Korea lack core technology and operational know-how. Actually, the energy potential of sewage is higher than sewage treatment energy consumption in the sewage treatment, but current processes are not adequately efficient in energy recovery. To improve this, it is possible to apply chemically enhanced primary treatment (CEPT), high-rate activated sludge (HRAS), and anaerobic membrane bioreactor (AnMBR) to the primary sedimentation tank. To maximize the methane produc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s, organic wastes such as food waste and livestock manure can be digested. Additionally, mechanical pretreatment, thermal hydrolysis, and chemical pretreatment would enhance the methane conversion of organic waste. Power generation systems based o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 susceptible to heat source losses, requiring breakthrough energy conversion systems such as fuel cells. To realize the energy positive sewage treatment plant, primary organic matter recovery from sewage, biogas pretreatment, and co-digestion should be optimized in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knowledge-based operation.

Lithium ion car batteries: Present analysis and future predictions

  • Arambarri, James;Hayden, James;Elkurdy, Mostafa;Meyers, Bryan;Abu Hamatteh, Ziad Salem;Abbassi, Bassim;Omar, Waid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699-710
    • /
    • 2019
  • Electric vehicles (EVs) are spreading rapidly and many counties are promoting hybrid and fully EVs through legislation. Therefore, an increasing amount of lithium ion batteries will reach the end of their usable life and will require effective and sustainable end-of-life management plan which include landfill disposal or incineration.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on more sustainable methods such as remanufacturing, reuse and recycling in order to prepare for future battery compositions and provide insights to the need recycling methods to be developed to handle large amounts of batteries sustainably in the near future. The two most prominent material recovery techniques are hydrometallurgy and pyrometallurgy which are explored and assessed on their relative effectiveness, sustainability, and feasibility. Hydrometallurgy is a superior recycling method due to high material recovery and purity, very low emissions, high prevalence of chemical reuse a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ly sustainable compounds. Expanding recycling technologies globally should take the research and technologies pioneered by Umicore to establish a sustainable recycling program for end-of-life EVs batteries. Emerging battery technology of Telsa show the most effective designs for high performance batteries includes the use of silicon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capacity of batteries in the future.

BCP 기법을 활용한 화학공장에서의 사고대응 가이드라인 개발 방법에 관한 연구 (A Method to Develop for Emergency Response Guidelines using Business Continuity Plan in Chemical Plant)

  • 양재모;설지우;용종원;고상욱;박철환;유병태;고재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743-749
    • /
    • 2014
  • 화학공장에서 사고를 예방하려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들은 규모가 크고, 초동 대응의 결과에 따라 인명, 재산 피해 규모가 달라진다. 따라서 사고 발생 이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사고대응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존재하던 사고대응 가이드라인 작성법과 국내 법령 등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조사하고, 기존 사고대응 가이드라인 작성 방법에 BCP 기법을 적용하여, 가이드라인의 개발을 위한 구성 요소, 대응단계, 개선 절차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