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 managers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1초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분석 (Analyzing User Satisfaction of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 박민수;서은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9-207
    • /
    • 2012
  • 본 연구는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이 공공기관에서 운영되는 것이 일반화되기 시작한 시점에서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진단이 필요하다고 보고 기록관리시스템의 기능성과 인터페이스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서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점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을 사용하는 기록관리 전문요원은 시스템 기능성을 신뢰성, 효율성, 사용성면에서 평가하였고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사용성면에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능 품질에 대해서는 보통정도의 만족도를 보였지만,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록관리 전문요원은 시스템 신뢰성을 더 만족하였지만 효율성과 사용성과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표준 기록관리시스템 사용 용이성을 높여야 하고 대량 일괄작업과 기능의 모듈화를 통하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기록관리시스템이 계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계획 아래 표준을 먼저 재정비하고 이에 따라 시스템 수정 보완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사이버범죄의 학제간 연구를 위한 이해의 기초 - 형법상 규제를 중심으로 - (The Base of Understanding for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Cyber Crimes - Centering on Regulations in Criminal Law -)

  • 임병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37-242
    • /
    • 2008
  • 본 연구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학제간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법학자의 시각에서 공학자들에게 형사법상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오늘날 사이버범죄에 대한 논의와 심각성은 차치(且置)하고라도 인터넷의 정보공유라는 순기능만을 강조해 온 채 역기능의 폐해는 방기되었다. 따라서 사이버 윤리의식의 강화, IT기술자들에 대한 법 준수의식 강화, 관리자의 보안철저, 웹하드 및 P2P업체 운영자의 적극적인 적법한 Contents 개발노력, 인터넷 이용범죄의 처벌규정의 강화등이 요청된다. 이러한 요청도 결국은 법적 규범의 이해가 전제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범죄와 인터넷 범죄에 대한 신규범을 형법상 해석론적으로 접근하여 컴퓨터 바이러스 침투행위등에 대한 형법적 규제조항을 중심으로 형법의 전통적 이론, 학설, 판례를 중심으로 해석상 기준제시 및 형법상 이론적 기초를 제공함으로 공학자들에게 작은 기초이론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광역자치단체의 정부간행물 납본과 보존 관리 개선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Deposit Copy and Preservation of Government Publications in Regional Local Government)

  • 김소량;이명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29-147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광역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정부간행물의 납본과 보존 관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정부간행물의 납본과 보존 관리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광역자치단체의 정부간행물 보유 목록을 파악하고, 기록물관리전문요원과 사서에게 인터뷰를 시행한다. 조사하는 동안, 정부간행물의 발행 목록 현황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자치단체의 보유 목록과 국가기록원에 납본된 납본 목록이 일치하는 정부 간행물이 적었다. 이에 개선안으로는 정부간행물의 소장목록의 서식을 만들고, 정부간행물의 비공개와 부분공개의 요소를 구성하고, 정부간행물의 등록과 통보를 의무화하고, 기록물관리전문요원과 처리과 담당자의 업무분장에 정부간행물 관리를 명시하며, 정부간행물의 관리 교육을 받도록 권장한다.

대학 학과기록의 디지털 리포지터리 플랫폼 구축 (Building a Digital Repository Platform for Academic Department Records)

  • 조용훈;서은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9-233
    • /
    • 2016
  • 대학의 학과기록은 대학기록관 부재로 인하여 또는 대학기록관이 있다 할지라도 관리영역 밖으로 인지되어 체계적인 수집 및 보존이 안 되어왔다. 본 연구는 학과기록을 보다 용이하게 수집하고 보존하며 이러한 학과기록에 개방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으로 학과기록 리포지터리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한다. 먼저 대학에서의 학과기록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대학과 사립대학 소속 70명의 학과조교와 32개 대학의 대학기록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학과기록의 생산과 보유 현황, 학과기록의 기술요소, 학과기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과기록 관리를 위한 26개 기술항목을 선정하였고 OAK 리포지터리 환경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 및 기능설계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로그인 관리 기능, 파일등록 기능, 검색 기능, 브라우징 기능을 갖춘 학과기록 리포지터리 플랫폼인 'DRRU(Department Records Repository in the University)'를 구축하였다. 제안된 'DRRU'는 실험데이터 검증을 통하여 각 구성된 기능 및 인터페이스가 적합하게 구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량 분석 (Nursing Time Use in a Newborn Intensive Care Unit (NICU))

  • 전은경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5-81
    • /
    • 2000
  • This study examined nursing care in a Newborn Intensive Care Unit (NICU) by reviewing nursing activities for the newborns. Through direct observation, time used for nursing care according to the nursing activity, shift, day of the week, and position of the nurses was measured. This study was done on November 15, 21, 24, 1999 at a university medical center hospital and included eight nurses and 179 newborns as the study subjec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edical records, and by using a nursing activity record for the NICU, and a nursing activity time record for the NICU. The first step i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was to develop a list of nursing activities which was don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examination of medical affairs and duty records. Content validity was measured by a panel of three professors who were experienced clinicians. In the second step two pre-training sessions were held with three sophomore student nurses who then measured the time for each nursing activity using a stopwatch.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for nursing activities, averages, percentages and ANOVA for differences between shift and between days of the week, and percentages and t-test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position of the nur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activities was 156, direct or indirect nursing activities. Direct nursing activity classified according to physical, educational, emotional/social/economic/spiritual needs. There were 109 direct nursing activities in 16 fields. 2) The order of nursing activities, according to time required, was record keeping, nutritional care, measurement/observation, medication, hygiene care, examination and specimen collection, and checking supplies, and according to frequency, measurement/ examination, record keeping, nutrition care, hygiene care, elimination care and medication. 3) According to shift, direct care during the night shift at 313.4 minutes was the longest time and indirect nursing care during the night shift at 252.2 minutes was the highest time. 4) For days of the week, Monday had the highest time for direct care 275.8 minutes (34.6%) and Wednessday had the highest time for indirect nursing care 269.6 minutes (36.1%). 5) For nursing time according to position of nurse, general nurses had the highest for direct care (330.7 minutes), nurse managers for indirect nursing activities (239.0 minutes) and general nurses for individual private time (63.9 min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ajor nursing time consuming activities included record keeping, nutrition care and measurement/examination. For newborns, time needs to be allowed for care to be sensitive, sophisticated and specialized rather than concentrated on indirect nursing tasks such as record keeping.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develop computerized systems that support a systematic approach to record keeping which is more efficient. Moreover, nursing needs according to shift, day or position of nurse can be utilized in assessing nursing resources through a computerized process.

  • PDF

상수도맨홀 관리를 위한 스마트 관리장치의 활용 (Leveraging the Smart device for waterworks manhole management)

  • 전해복;김영관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1-148
    • /
    • 2017
  • The waterworks company is in charge of managing water facilities buried underground, and the management has been centered on manholes. However, since there is no standard management manual, it has been impossible to introduce and operate a systemized managing tool by water service providers and managers, and manhole management has been carried out by individual data recording personnel for each water service provider. When the management is carried out individually, the data to be shared by other waterworks managers tend to be privatized, and consequently, it may become a big obstacle to proceed with many civil works such as emergency leak repair, road excavation, replacement of old buildings. This report introduces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magnetic field capable of IOT. It also describes the necessity of leveraging the system for smart managing of pipe management record that has been done by hand writing. The RFID system includes RFID marker, data reader, portable computer operating program, and data base server operating program. In this system, the data is managed with a single communication device, and it would be possible to share the information on the underground facilities and water treatment facilities. This RFID technology is expected to provide water service providers with opportunities to develop more scientific and modernized underground facilities information systems.

기록연구사의 근무실태 및 제도운영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concerning the Issues of Working Conditions and Operational System of Archivists in Korea)

  • 서혜란;옥원호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35-255
    • /
    • 2008
  • 정부기관에 근무하는 기록연구사들의 근무실태와 직무만족, 제도운영의 개선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직무특성은 Hackman과 Oldham의 직무특성요인을 포함하여 전문성, 역할갈등, 스트레스, 이직의사의 9가지 항목으로 조사하였다. 직무환경은 의사소통, 참여, 인간관계, 상급자, 교육훈련의 5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직무만족은 일반적 만족도, 보람, 소명감의 3가지 항목으로 측정하였는데 모든 항목에서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주었다. 제도운영의 개선을 위한 과제로는 조직편제, 업무분장, 인사관리, 중앙기록물관리기관과 기록관의 협력을 중심으로 의견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시사점과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Health Information Managers' Job Stress i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nvironment

  • Noh, Jin-Won;Choi, Hyo-Jin;Hong, Jin-Hyuk;Boo, Yoo-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2호
    • /
    • pp.35-43
    • /
    • 2017
  • This study sought to measure the influence of HIMs' work environment changes on job stress, and to explore measures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among them. A total of 275 hospital HIMs' were survey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Significant job stress impact variables were sorted out using a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n, through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multicollinearity was tested. Significant impact factors were identified from among the control variables, and job stress impact was measured. The survey revealed that in public hospitals where the EMR system has been implemented for a longer period, depression scores in HIMs' were increased. HIMs' job stress level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he following factors: computerization of their working environment, experience of depression, unemployment, and manpower reduction, as well as, their lifestyles, including leisur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IMs' job stress can be reduced through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and improvement of their personal lifestyle habits.

기록관의 새로운 모델, 통합기록관 교육청 기록관 체계의 재편성 (A New Model of Records Centers, Integration Archives : Reoranization of the Education office Records Centers)

  • 임희연
    • 기록학연구
    • /
    • 제58호
    • /
    • pp.31-63
    • /
    • 2018
  •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정착화를 위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점은 기관 내 기록관의 기능 및 역할 강화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전문성 발휘를 위한 조직과 인력의 기반 조성이다. 그러나 현재 공공기록물법에서의 '기록관' 개념과 여기에 근무하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배치 기준'은 기관마다 주관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많아 현장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이제는 보다 구체적인 개선방안이 필요할 때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청 환경을 중심으로 본청과 교육지원청 기록관 체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본청에 모든 권한이 집결된 조직구조 속에 실체 없는 교육지원청의 기록관, 기록물폐기사로 전락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현실 등, 이러한 문제해결 방안으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배치기준 변경, 집중근무방식을 반영한 통합기록관 운영, 교육관련 기관을 위한 기록관리 특례법 제정을 제안하였다.

국가기록원의 기록관리교육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cord and Archives Training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 시귀선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3-45
    • /
    • 2011
  •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는 기록물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록물관리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대학과 전문기록물관리기관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는 대학원과 국가기록원 등에서 기록관리자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이 진행되어 왔는데, 국가기록원의 기록관리교육은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의 품질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은 물론 기록관리 전반에 영향을 끼친다. 본고에서는 기록관리종사자의 지속적인 전문수행능력 배양을 위해 중앙기록물관리기관으로 공공기록물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국가기록원의 기록관리 교육의 제반 현황을 소개하고, 운영상의 주요 쟁점 및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