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 Online Classe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간호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서 딴짓과 강의만족도가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ther Behaviors and Lecture Satisfaction on Lecture Flow in Online Classes of Nursing Students')

  • 마현희;김화영;이은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471-480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 19 감염병으로 인하여 실시하게 된 비실시간 동영상수업과 실시간 화상수업에서 딴짓과 강의만족도가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D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생 550명을 대상으로 2021년 5월 20일∼6월 4일까지 설문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시간 화상수업보다 비실시간 동영상수업에서 딴짓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2.00, p=.046), 강의만족도(t=-1.54, p=.124)와 수업몰입은 실시간 화상수업(t=-.63, p=.529)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두 가지 형태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2학년 학생의 강의 만족도(t=13.55, p=.000)와 수업몰입(t=4.48, p=.004)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4학년 학생에서 딴짓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t=4.68, p=.003). 강의몰입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강의만족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실시간 동영상 수업에서(F=128.49, p<.01) 모형의 설명력은 55.1%,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F=77.24, p<.01) 모형의 설명력은 47.2%였다. 향후 동일한 교수자의 두 가지 형태의 온라인 수업과 학습자중심학습 적용 후 나타나는 딴짓, 강의만족도, 수업몰입의 차이를 확인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체육계열 대학생의 원격수업 학습경험 탐색 (Exploring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Physical Education in the COVID-19 Pandemic)

  • 이만기;조은별;임효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421-430
    • /
    • 2021
  •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내 원격수업에 따른 체육계열 대학생의 교육경험과 인식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체육계열 대학생 278명에게 온라인을 통해 원격수업 현황, 원격수업인식(선호도, 만족도)을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22.0과 R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검증, ANOVA,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적용하였다. 상기한 연구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체육계열 원격수업 유형에서는 이론 및 실기수업 모두 동영상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둘째, 원격수업 유형의 선호도에서는 이론 및 실기수업 모두 동영상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은 강의장면 촬영형, 음성강의형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원격수업에 있어 이론수업과 실기수업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업유형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없었다. 서술형 응답을 통해 과제의 적절한 활용 여부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반영하여 체육계열 원격수업의 방향과 향후 연구 문제를 제안하였다.

Enhancing the accounting record keeping practices of advanced agricultural managers: Policy implications

  • Myeong, Suhwan;Hong, Seungjee;Yeo, Minsu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133-14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agricultural management accounting information, education status, and policy demand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advanced agricultural managers. These people are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the changing agricultural environment in Korea. Based on survey resul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the advanced agricultural managers' agricultural management accounting information record activation. Survey results of 303 respondents identified that 63.4% of them record their agricultural management accounting information. The biggest reason given for not recording this information was lack of time for record keeping. The biggest problem was a 'lack of Question and Answer system'. In addition, 37.2% of the respondents were not aware of the current agricultural accounting guidelines. In terms of education, 71.3% of the respondents have completed course work in accounting and responded that an 'On-off parallel education system', which offers both online and offline classes,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prevent dropout. Respondents thought that agricultural management accounting records were helpful for the management of agriculture and their participation in government policies. They also thought that customize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further implemented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s, and 'One-stop Question and Answer system on related web sites and organizations' is required for them to keep better record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an be derived from the survey results. First, interoperability between agricultural management accounting information recording programs is needed. Second, accessibility should be strengthened. Third, the education system needs to be improved. Fourth, voluntary participation should be encouraged. Last, the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 post-verif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