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iprocal

검색결과 1,275건 처리시간 0.022초

목화의 F2잡종집단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Quantitative Characters by Diallel Cross in Cotton)

  • 정원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3-218
    • /
    • 2002
  • 목화 특성을 고려한 4개 품종을 이면교배하여 얻은 F$_2$세대의 12개 조합을 재료로 각 형질에 대한 유전자의 분포상태 및 우성정도 등을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서일수는 상가적 효과, 우성효과, 모본효과, 정역간의 효과에서 유의하였다. 주당삭수와 개화일수는 상가적 효과, 우성효과, 모본효과에서 유의하였고, 삭중, 삭당 실면중, 삭당 조면중, 종자수, 종자폭, 종자 100립중은 상가적 효과와 우성효과에서 유의하였으며, 종자장은 상가적 효과에서만 유의하였다. Vr-Wr graph에서 주당삭수, 삭중, 삭당 실면중, 삭당 조면중, 종자폭, 종자 100립중, 개화일수, 개서일수는 불완전 우성으로 유전되고, 삭당 종자수, 종자장은 초우성으로 유전되었다. 유전분산 성분에서 삭중, 삭당 실면중, 삭당 조면중, 삭당 종자수, 종자장, 개화일수는 상가적 효과가 우성효과보다 컸고, 주당삭수, 종자폭, 종자 100립중, 개서 일수는 우성효과가 상가적 효과보다 컸다. 협의의 유전력은 삭중, 삭당 실면중, 삭당 조면중, 개화일수, 개서일수가 43.19% 이상으로 높았고, 광의의 유전력은 주당삭수, 삭중, 삭당 실면중, 삭당 조면중, 종자장, 개화일수, 개서일수가 51.71% 이상으로 높았다.

개수로에서 소유사의 영향을 고려한 부유입자 유동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Analysis of Sediment-laden Flow in Open Channel with Bed-load Effect)

  • 윤준용;강승규;강시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461-469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부유입자를 포함하는 유동을 입자크기와 입자량을 달리한 몇 가지 경우에 대하여 수치적으로 해석하고 Coleman(1981, 1986)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완전 난류 유동장을 해석하기 위하여 k-$\omega$난류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농도장 해석을 위해서는 침강속도를 고려한 일반화된 농도방정식을 적용하였다. 유동과 입자의 상호작용은 Einstein과 Chien(1955)의 모형을 도입하여 수치계산하였다. 기존의 대부분 연구에서는 소유사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은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입자량이 많아지거나 입자크기가 클 경우 이를 무시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소유사의 두께와 하상에 의한 표면 거칠기 효과를 고려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여기서 농도분포를 결정짓게 되는 $\beta$값이 입자의 크기와 입자량에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연구결과는 $\beta$가 1.0보다 큰 값을 가진다고 보고되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1.0보다 작아질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는 최근에 보고된 연구 결과와 일치되는 결과이다.

  • PDF

Bi-Sr-Ca-Cu-O계열 초전도체의 초구조 (SUPERSTRUCTURES OF Bi-Sr-Ca-Cu-O SUPERCONDUTORS)

  • 남궁찬;이상윤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68-279
    • /
    • 1994
  • 단일상을 갖는 $Bi_2S_2CaCu_2O_{8+x}$ (2212)의 x-ray 분말 pattern을 a=5.408, c=30.83 $\AA$의 격자상수 및 역격자 벡터 $q^*=0.211b^*-c^*$을 갖는 pseudo tetragonal subcell을 이용하여 모두 index하였다. 임계온도 110K를 갖는 $Bi_2S_2CaCu_2O_{10+x}$ 상은 incommensurate supercell에 속하는 매우 많은 x-ray분말선들을 가지고 있다. Indixing guide로 전자회절사진(electron diffraction photographs)을 이용 x-ray분말 pattern에 대한 지수결정방법을 얻었다.$Bi_2S_2CaCu_2O_{10+x}$(2223)의 단위세표(unit cell)는 기하학적으로 격자상수 a=5.411, b=5.420, c=37.29(2) A을 갖는 orthorhombic subcell이다. Supercell반사 지수들은 subcell의 파 벡터 $\pm q^*=0.211b^*-0.78c^*$을 갖는 k,1지수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다. b 방향으로의 inconnensurate성분 $\delta$는 두 상에 대해 다 같으나, 2212에서 2223 상으로의 변환에 따라 c 방향으로의 초격자성분(superlattic component)은 connensurate($\varepsilon$=1)로부터 incommensurate($\varepsilon$=0.78)로 변한다.

  • PDF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씨클로덱스트린 착물을 이용한 페놀유도체들의 머무름 거동 및 분리 (Retention Behavior and Separation of Phenol Derivatives through Cyclodextrin Complexes in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y)

  • 문영자;강삼우
    • 분석과학
    • /
    • 제11권3호
    • /
    • pp.179-188
    • /
    • 1998
  • 15여종의 페놀 유도체들의 용량인자는 씨클로덱스트린의 농도, 이동상 중 유기용매의 종류와 농도, 온도 등에 영향을 받았다. 페놀유도체들의 머무름은 ${\alpha}$-, ${\beta}$-씨클로덱스트린과의 내포착물 형성에 기인하며, ${\alpha}$-씨클로덱스트린보다 ${\beta}$-씨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였을 때가 내포착물 형성이 훨씬 효과적이었다. 또한 시료의 머무름에 영향을 주는, MeOH, MeCN, THF 유기용매 중 메탄올 용액에서 내포착물 형성효과가 가장 강하고, 메탄올 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k'값이 감소하였다. $[CD]_T$에 대한 용량인자를 구하여 내포착물의 해리상수, $K_D$값을 측정하고, $pK_D$를 메탄올농도에 대해 도시한 직선의 절편으로부터 100% 물에서의 $K_D$값을 구하였다. 한편, 분리인자, ${\alpha}$는 씨클로덱스트린의 농도뿐만 아니라 $K_D$값 등에 상당히 영향을 받기 때문에, 씨클로덱스트린을 이동상에 첨가하고, 이동상 중 유기용매의 농도와 컬럼온도를 조절하여 페놀 유도체의 몇 가지 이성질체들을 이상적으로 분리하였다.

  • PDF

다수.다얼성 옥수수(NET)의 세포질적 유전 (Cytoplasmic Inheritance of High Tillering and Earing Characters of a Korean Local Maize Line(MET))

  • Han, C.H.;Lee, I.S.;Choe, B.H.;Park, K.Y.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5-61
    • /
    • 1984
  • 1981년부터 최 등이 재래종 옥수수의 수집종 가운데서 병발한 한계통(MET)을 분얼이 많이되고 또한 개체당 이삭(수)수도 많아서 사료용 옥수수의 육종재료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었으나 이 옥수수에 대한 유전적 분석이 확실히 되어 있지를 않았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MET와 비분얼성이며 이삭도 하나 밖에 달리지 않는 수원 19호 (Mo17$\times$B68) 교잡종을 이용하여 F$_1$, F$_2$, BC$_1$, 세대를 양성하고 Mather의 세대평균분석법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MET 계통의 다수.다얼성은 염색체상의 유전인자에 의한 다기 보다 세포질적 유전인자에 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같은 결론은 MET계통을 모계로 하여 교잡한 려잡종 세대에서 확실히 얻을 수가 있었다. 즉 MET 계통을 모계로 이용했을 때의 평균분얼과 이삭수는 MET를 부계로 이용했을 때의 분얼수와 이삭수 보다 많았는데 이는 이같은 특성들이 모계유전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같은 특성들이 F$_1$이나 F$_2$에서 나타나지 않은 것은 F$_1$에서 특히 보여주는 잡종강세현상 때문에 옥수수의 정부우세성이 매우커서 상반적으로 분얼이나 이삭의 발달이 억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분얼이나 이삭의 절대수가 모계로 이용했던 MET에서 보다 잡종세대가 진전될수록 적어지는 것은 잡종강세외에도 MET계통의 세포질약 내지 유전인자적 축적량(Dose)이 적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이같은 MET계통의 특성은 려교잡에 의한 MET계통의 세포질을 유지하거나 축적하므로써 사료용 옥수수의 육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졌다.

  • PDF

찰옥수수 육성계통간 유전적 거리와 잡종강세 정도 (Genetic Distance and Heterosis Degree Among the Developed Waxy Corn Lines)

  • 이문섭;양재현;임승빈;이희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64-469
    • /
    • 2015
  • 공시된 교잡종에 대한 중요 식물학적 특성에 대해, 잡종강세를 양친 중간 값으로 나타낸 결과 공시종 중에서 잡종강세가 현저한 간장의 평균 값은 77.2%이었고 37.8% 착수고는 83.8%로 나타났다. 각 교잡종별 잡종강세 정도 간장의 경우 H-11에서 162%로 가장 높았고, 착수고는 H-14에서 116.7%로 높았다. 개화기는 대부분의 교잡종에서 부(-)의 값을 보여 교잡종이 교배친보다 개화기가 단축되었는데 특히 H-5는 -27%로 개화기가 빨랐다. 전체 이삭길이의 평균 잡종강세는 37.8%로 낮게 나타났으나 H-29 교잡종은 96.2%로 높 나타났다. 또한, 10개의 primer 이용한 계통간 상호교배에 의한 교잡종에 대한 SSR 마커를 이용한 유전적 거리에 대한 분석결과 크게 4그룹으로 분류 되었다. CNU16과 CNU14간에 가장 가까운 근연계수를 보였고, CNU6과 CNU9간 그리고 CNU19와 CNU13간에 가장 먼 근연계수를 보였다. 간장은 CNU454, CNU457간의 조합인 2군과 4군간의 조합에서 잡종강세가 162%로 가장 높았고, 이삭길이는 CNU258/CNU251, CNU915/CNU799 및 CNU427/CNU36 조합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유전적 거리는 근연관계가 멀수록 값이 낮고, 반대로 근연관계가 가까울수록 유전적 거리는 낮게 나타나는데 이삭길이 등은 유전적 거리가 가까운 90%의 높은 값을 보였다.

신장과 노력성 호기곡선 지표간의 상관성 (Correlations Between Height and Forced Expiratory Flow Curve Parameters)

  • 진복희;박선영;박혜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9-204
    • /
    • 2004
  • Height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the pulmonary function test index, and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m, so that they have been utilized for evaluating pulmonary function test predictive value or nomogram. Therefore, we have tried to find out that difference and if there is any correlation and linear relationship between height and forced expiratory flow curve. There were a total of 163 subjects, male 93 and female 70. This study was done at the Department of Pulmonary Function Test of Jeon-Ju Presbyterian Hospital and we measured the index at the forced expiratory flow curve of FVC, $FEV_{1.0}$, $FEV_{1.0}$/FVC, $FEF_{25-75%}$, and $FEF_{200-1200m{\ell}}$. When we subjected the group of height more than 160cm, there were gradual increments at FVC(p<0.001), $FEV_{1.0}$(p<0.001), $FEF_{25-75%}$(p<0.05) and $FEF_{200-1200m{\ell}}$(p<0.001), but no changes at $FEV_{1.0}$/FVC in terms of forced expiratory flow curve index. We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ight and forced expiratory flow curve,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at FVC(r=0.670, p<0.01), $FEV_{1.0}$(r=0.491, p<0.01), $FEF_{25-75%}$ (r=0.175, p<0.05) and $FEF_{200-1200m{\ell}}$(r=0.370, p<0.01) but there was reciprocal relationship at $FEV_{1.0}$/FVC(r=-0.215, p<0.01). We have trie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o see if height affects forced expiratory flow curve index as a sector, and the result was $FVC(\ell)=0.0642{\times}height(cm)-7.2978$(p<0.01, $R^2=0.449$), $FEV_{1.0}(\ell)=0.0407{\times}height(cm)-4.2774$ (p<0.01, $R^2=0.2411$), $FEV_{1.0}/FVC(%)=-0.2892{\times}height(cm)+121.44$(p<0.01, $R^2=0.0464$), $FEF_{25-75%}(\ell/sec)=0.0176{\times}height(cm)-0.7876$(p<0.05, $R^2=0.0237$), $FEF_{200-1200m{\ell}}(\ell/sec)=0.0967{\times}height(cm)-11.037$(p<0.01, $R^2=0.1214$) this was approved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is study, if height is taller than average, forced expiratory flow curve index were increased,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height and forced expiratory flow curve, and there was a linear relationship as sector between height and forced expiratory flow curve index. Therefore, researches that study other factors such as sex, age, weight, body surface area, and obesity indexes other than height should be done to see if there are any further relationships.

  • PDF

안동호의 수역별 영양상태와 평가방법간 상관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rophic State in Lake Andong, Korea)

  • 박정원;김대현;신재기;이희무;박재충
    • 생태와환경
    • /
    • 제38권1호통권110호
    • /
    • pp.95-104
    • /
    • 2005
  • 안동호를 5${\sim}$10 km 구간으로 분할한 5개 지점에 대하여 2002년 6월부터 2003년 6월 (13개월)까지 총 21회에 걸쳐 지점별 물리 ${\cdot}$ 화학적 수질특성과 TSI, TSIm, LTSI로 수체의 영양상태 평가 및 평가방법간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TSI와 TSIm은 평가항목 (TP, Chl-a, SD)에 따라 지점별로 빈영양-중영양-부영양상태로 다양한 결과를 보여 개별 항목으로 수역의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곤란하였으나 댐 저수지의 상류에서 하류로 진행하면서 영양도가 낮아지는 결과는 세 평가방법이 동일하였다. 평가방법 간의 상관성은 수심이 깊고 연중 안정된 수질상태를 보이는 하류보다 수심이 얕고 수질변동 폭이 큰 상류수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영양지수의 평균값에 의한 상관은 r=0.9117${\sim}$0.9909 범위로 조사되어 상호 보완적인 적용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LTSI는 TSI와 TSIm에 비해 댐 저수지의 구간별 수질특성을 잘 반영하였으며 영양상태 평가의 간편성과 주관적인 평가 오류의 최소화에 보다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펩신촉매에 의한 Transpeptide의 생성 (The Evidence for Pepsin-Catalyzed Transpeptidation)

  • 조용권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10-415
    • /
    • 1998
  • HPLC 및 electrospary mass spectrum으로부터 L-L dipeptide의 존제하에서 pepsin은 hexapeptide인 L-S-pNF-Nle-A-OMe를 가수분해하여 가수분해물외의 새로운 생성물을 합성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생성물은 254nm에서 p-nitro-Phe 잔기를 포함하는 peptide였다. 실험결과로부터 E(L-S-pNF)와 L-L 사이의 acyl transpeptidation에 의해 L-S-pNF-L-L가 생성됨을 뒷받침한다. 이러한 transpeptidation 결과는 product 저해실험에 의한 결과에 기초한 것과는 반대로 L-S-pNF가 해리되기전에 Nle-A-L-OMe가 먼저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electrospray mass spectrum 으로부터 위에서 검출된 새로운 펩티드에 해당하는 peak (MW 636.1)을 얻었는데, 이는 새 펩티드의 생성을 확실히 증명하는 증거이다. 한편, Nle-A-L-OMe 생성에 대한 solvent isotope effect는 1.736$\pm$0.121이며 L-S-pNF는 2.28$\pm$0.184 그리고 L-S-pNF-L-L의 생성에는 inverse isotope effect로서 0.576$\pm$0.045였는데, 이는 상기 생성물 해리 순서를 확인시켜 준다. D$_{2}$에서 transpeptidation은 더 빠르기 때문에 isotopically-sensitive단계는 Nle-A-L-OMe해리후에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험결과는, Rebholz and Northrop$^{1)}$ 및 Cho등의 $^{2)} iso-mechanism이론의 타당성을 제시한다.

  • PDF

벼 장해형 내냉성의 조합능력검정과 선발효과 (Combining Ability Analysis and Selection Effectiveness for Tolerance to Cold-Induced Sterility in Rice)

  • Huhn Pal, Moon;J. Neil, Rutger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12-419
    • /
    • 1988
  • 수도의 냉해는 그 재배기간에 저온이 발생되는 수도재배지역에서 중요한 생산저해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도작기간동안의 기상은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발생되는 냉해양상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냉해는 저수온에 의한 생육의 지연 및 저기온에 의한 불일발생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본 연구는 내냉성 품종육성효율을 높이기 위한 유전정보를 얻고저 내냉성정도가 서로 다른 9개 품종의 이면교잡된 36조합 F$_1$, F$_2$, F$_3$, 상호여교배집단 및 모본집단을 공시하여 장해형내냉성에 대한 조합능력, 작물학적 형질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F$_2$집단의 선발효율을 평가하였다. 불임발생정도로서 평가된 장해형내냉성은 상가적 유전분산이 주종이었으나 비상가적 유전분산 역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내성성이 강한 모본인 M 101과 L201이 일반조합능력(GCA)이 높았는 반면, 약한 품종인 7703008에서 가장 낮았다. 장해형내냉성은 출수기, 간장 및 수당립수와 관계가 있었는데, 출수가 빠를수록, 간장이 클수록 그리고 수당립수가 많을수록 내냉성이 강한 경향이었으며, 특히 출수기의 영향이 가장 높았다. 비교적 내냉성이 강한 M101과 교배된 7조합에서 F$_2$개체 선발이 내냉성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때 내냉성에 대한 평균유전력(Realized heritability)은 0.53이었고 저온불임에 대한 선발효율은 -9.4%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