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ssembly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6초

사이토카인 유전자 함유 바이러스 유사입자의 제조 (Virus-like Particles Containing Cytokine Plasmid DNA)

  • 오유경;손태종;신광숙;강민정;김정목;김남근;고정재;김종국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1권3호
    • /
    • pp.185-190
    • /
    • 2001
  • Human papillomavirus (HPV) infection is known to cause cervical cancers. Human papillomavirus-like particles (VLP) have been studied as preventive vaccines of cervical cancers. To develop VLP as a therapeutic gene carrier, we studied the method to encapsulate cytokine genes in virus-like particles. HPV type 16 capsid L1 genes were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cloned into T vector. L1 gene was then inserted into baculovirus transfer vector. The clone of baculovirus encoding L1 gene was isolated and used to express L1 protein in Sf 21 insect cells. VLP were purified by CsCl density gradient and ultracentrifugation. VLP were disassembled to capsomer units by treatment of a reducing agent. Given that interleukin-2 (IL-2) genes have been used in anticancer gene therapy and as a molecular adjuvant, IL-2 cytokine plasmids were chosen as a model gene. IL-2 plasmids were incubated with the disassembled capsomer suspension. To reassemble the particles, the mixture of capsomers and cytokine plasmids was dialyzed. The disassembly and reassembly of VLP were confirm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entrapment of cytokine plasmids in reassembled VLP was tested by the stability of plasmids against DNase I. After treatment of reassembled virus-like particles with DNase I, discrete IL-2 DNA band was observed. Our results indicate that IL-2 cytokine plasmid (3.5 kb size) can be encapsulated in the virus-like particles, suggesting the potential of VLP as a gene delivery system. Moreover, VLP containing the adjuvant cytokine plasmids might function as more effective subunit vaccines.

  • PDF

익산 입점리 1호분 출토 금동관의 제작기법 연구 (Study o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Gilt-bronze Crown Excavated from Ipjeom-ri Tomb 1, Iksan)

  • 이영범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0권
    • /
    • pp.1-12
    • /
    • 2018
  • 익산시 웅포면 입점리 1호분 출토 금동제유물 편들은 1986년 2월 마을 뒷산에서 한 고등학생에 의해 발견매장문화재로 신고되었고, 이에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긴급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금동대륜, 금동입식, 금동관모, 금동식리 등은 신고자에 의해 수습되어 있었다. 또한 발굴조사 당시 석실 내부가 심하게 훼손되어 많은 수의 금동제유물 편들은 정확한 출토위치를 알 수 없어, 지금까지도 금동관의 조합 관계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중요 유물인 금동관모, 금동식리 등은 보존처리 후 편 접합을 통해 외형적 모습이 복원되었으며, 금속공예기법으로 새긴 봉황문, 물고기 비늘문, 연화문 등의 문양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글에서는 여러 편들로 파손되어 있는 금동제유물 편들에 대한 특징적 요소와 제작기법을 소개하여 복원의 기초적 학술자료로 제공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입점리 금동관의 원형이 복원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모바일 그룹 P2P 응용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플랫폼 (A Communication Platform for Mobile Group Peer-to-Peer Services)

  • 송지환;강경란;조영종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4호
    • /
    • pp.389-400
    • /
    • 2008
  • 와이브로, HSDPA, 블루투스 등 새로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등장과 더불어 모바일 단말기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모바일 단말간 Peer-to-peer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룹 사용자들 간에 P2P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며 무선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투명성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MPCP(Mobile P2P Communication Platform)을 제안한다. MPCP는 연결 설정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단말 간의 연결에 해당하는 가상 채널과 응용 프로그램 간의 연결이라는 세션으로 연결의 개념을 구분하고, 응용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세션을 크게 네 가지로 종류를 구분하고 서로 다른 우선 순위와 데이타 처리 정책을 적용한다. 통신 대상과의 거리에 따라 적절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선택하여 연결을 설정하며, Session Initiation Protocol을 활용하여 동적으로 변하는 연결 대상의 주소 정보를 획득한다. 임베디드 리눅스 시뮬레이터 환경에서 MPCP를 구현하였으며, 상위 서비스 개발 플랫폼과 연동하여 모바일 그룹 P2P 서비스 개발에 적용하였다. 정량적인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시 세션 수를 증가시켜 가면서 단순한 FTP와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세션 수의 증가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성능이 유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모바일 와이맥스망에서 채널 적응적인 모바일 스트리밍 비디오 제어 (Channel-Adaptive Mobile Streaming Video Control over Mobile WiMAX Network)

  • 변재영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5호
    • /
    • pp.37-43
    • /
    • 2009
  • 광대역 무선 및 이동 통신망에서의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는 최근 학계와 산업계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모바일 와이맥스 (IEEE 802.16e) 네트워크 환경은 높은 전송율과 유연성있는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가 특히 매력적이다. 그러나 압축 비디오 시퀀스가 갖는 무선 및 이동망 오류 채널에 대한 민감성을 고려할 경우에, OFDMA 부반송파 물리 채널에서의 오류 발생으로 인해 화면 내의 메크로블록 또는 슬라이스 일부가 손상을 받을 수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차 계층 설계를 기반으로하여 OFDMA 부반송파 채널 특성에 적응적인 모바일 스트리밍 서버를 소개한다. 이 스트리밍 서버 시스템은 기지국의 기존 스케줄러, 패킷 배열/재조립, 부반송파 할당 전략 등의 변경없이 낮은 신호 세기를 갖는 부반송파에서도 스트리밍 비디오의 품질 악화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전면정비방식의 무기체계 정비공장에 대한 시뮬레이션 연구 (A Simulation Study on the Overhaul Repair Shop of Weapon System)

  • 신경욱;이근현;문덕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19-127
    • /
    • 2011
  • 전면정비란 일정기간동안 사용한 장비(기계, 설비 등)를 부품 단위로 분해하여 부품별로 수리를 한 후 재조립하는 과정을 의미다. 전면정비는 주로 항공기, 선박, 철도차량, 무기체계, 중장비 등과 같이 수명이 길고 고가인 장비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정비 사업에서는 리드타임(Lead Time)을 단축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납기에 맞추어 정비를 완료할 수 있도록 생산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주요 관심사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면정비를 하는 정비 공장을 대상으로 3D시뮬레이션 도구인 $QUEST^{TM}$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사례를 소개한다. 먼저 전면정비 공장의 공정특성과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중점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흐름생산방식과 셀생산방식 등 두 가지 해체작업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대해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차세대 발사체용 연료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uel Selection for Next-Generation Launch Vehicles)

  • 김철웅;임병직;이기주;박재성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2-80
    • /
    • 2021
  • 차세대 추진기관에 대한 요구조건과 좋은 추진제의 조건을 정리하였다. 국내외에서 주로 관심을 받고 있는 연료인 케로신, 수소, 메탄의 특성과 효용성을 상호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메탄이 신뢰성, 비용, 재사용성, 유지보수, 친환경, 안전성, 수명, 기술적 난이도, 엔진 사이클 선택, 공통격벽, 무분해 조립 납품 등에서 다른 연료보다 더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성능 면에서도 케로신보다 비추력이 높아서 발사체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메탄은 친환경, 낮은 연소온도, 긴수명,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가지고 있어서 재사용과 다목적 엔진 개발에 장점이 있다.

Design of Vision Based Punching Machine having Serial Communication

  • Lee, Young-Choon;Lee, Seong-Cheol;Kim, Seong-Mi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2430-2434
    • /
    • 2005
  • Automatic FPC punching instrument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and cost saving is introduced in this paper. FPC(flexible printed circuit) is used to detect the contact position of K/B and button like a cellular phone. Depending on the quality of the printed ink and position of reference punching point to the FPC, the resistance and current are varied to the malfunctioning values. The size of reference punching point is 2mm and the above. Because the punching operation is done manually, the accuracy of the punching degree is varied with operator's condition. Recently, The punching accuracy has deteriorated severely to the 2mm punching reference hall so that assembly of the K/B has hardly done. To improve this manual punching operation to the FPC, automatic FPC punching system is introduced. Precise mechanical parts like a 5-step stepping motor and ball screw mechanism are designed and tested and low cost PC camera is used for the sake of cost down instead of using high quality vision systems for the FA. 3D Mechanical design tool(Pro/E) is used to manage the exact tolerance circumstances and avoid design failures. Simulation is performed to make the complete vision based punching machine before assembly, and this procedure led to the manufacturing cost saving. As the image processing algorithms, dilation, erosion, and threshold calculation is applied to obtain an exact center position from the FPC print marks. These image processing algorithms made the original images having various noises have clean binary pixels which is easy to calculate the center position of print marks. Moment and Least square method are used to calculate the center position of objects. In this development circumstance, Moment method was superior to the Least square one at the calculation of speed and against noise. Main control panel is programmed by Visual C++ and graphical Active X for the whole management of vision based automatic punching machine. Operating modes like manual, calibration, and automatic mode are added to the main control panel for the compensation of bad FPC print conditions and mechanical tolerance occurring in the case of punch and die reassembly. Test algorithms and programs showed good results to the designed automatic punching system and led to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and huge cost down to law material like FPC by avoiding bad quality.

  • PDF

유방암 PET-CT 검사에서 Prone(복와위)자세의 유용성 평가 (Usefulness of Prone Position on PET-CT in Breast Cancer)

  • 박훈희;김세영;김정열;박민수;임한상;정석;강천구;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2권1호
    • /
    • pp.44-48
    • /
    • 2008
  • 유방암은 FDG PET-CT에서 예민도는 80~96%, 특이도는 75~95% 정도이며, 유방촬영(mammography) 소견상 판단이 어려운 수진자에게 매우 유용하며, 검진으로서의 조기 암 검출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PET-CT에서 대부분의 검사는 앙와위(supine position)으로 검사되어 전신검사(whole body scan)에서 원형으로부터 변형된 유방영상을 획득된다. 반면에 보정구를 이용하여 복와위(prone position)으로 영상을 획득할 경우, 유방을 중력에 의존하여 보다 원형에 가깝게 표현함으로써 영상의 진단가치를 높일 수 있기에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유방암으로 의심되거나 확진 된 여성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8}F$-FDG 주사한 뒤 60분 후 supine position으로 whole body PET-CT scan 시행 후, 보정구를 이용하여 prone position으로 병변에 대한 추가검사(lesional scan)를 시행하였다. 각각 획득된 영상은 핵의학과 의사로부터 blind test를 하였고, PET-CT 영상의 SUV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30명 중 27명의 환자에게서 prone자세가 진단 용이성과 정확한 판별률이 높았으며, 나머지 3명의 경우는 병소가 1 cm 이하의 크기로 인하여, MRI상에는 나타났지만 PET-CT에서는 진단에 의미있는 관찰을 할 수 없었다. supine position과 비교하여 prone position은 구조물의 중력에 의한 변형수치가 낮아, 병변의 구별이 곤란한 경우 명확하게 감별되었다. 각 자세에서 SUV분석은 유의수준 0.004로 유의하였다. Supine position을 통한 PET-CT 전신검사 후의 보정구를 이용한 prone position로 병변에 대한 lesional scan은 두 자세의 비교가 모두 가능하였으며, 경우에 따라 결정적으로 진단에 영향을 주었다. 두 가지 자세의 영상비교에 있어 prone position이 원발성(primary) 병변의 진단은 물론, 미세전이(micrometastasis)의 검출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prone position을 기반으로 구조적인 문제를 정량적 분석과 함께 극복한다면 병변의 진단에 있어 보다 유용한 진단적 정보를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