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culture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3초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 - 196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ading Popularization Movement : Focus in 1960's)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71-294
    • /
    • 2007
  • 이 연구는 196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과 독서 경향을 조명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시기는 공교육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교양으로서의 '독서'에 대한 학문적이며 정책적인 관심이 고조되었던 시기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1960년대 독서 및 독서 교육의 제반 현상들을 주로 신문 자료를 토대로 기술함으로, 일종의 '독서 사회'의 형성 과정을 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살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제시하면 첫째, 1960년대의 독서 경향으로써 1) 일반 독서 경향 2) 학생 독서 실태를 둘째, 독서 대중화 운동으로서 1) 도서관의 독서 운동 2) 마을문고와 독서 운동을 등으로 대별하여 그 양상을 고찰했다.

  • PDF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 연구 (The Contribution Strategy of Public Library to Local Cultural Development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20
    • /
    • 2015
  • 이 연구는 문화기반시설인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공공도서관이 수행하는 업무와 지역문화발전의 상의적 수수관계를 바탕으로 기여도를 평가하고 한계를 적시하였다. 이어 공공도서관과 밀접한 지역문화를 지식문화, 독서문화, 학습문화, 대중문화, 여가문화로 구분하고 이들의 발전과 진흥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기여전략(장서개발과 이용서비스 중심의 핵심역량 제고, 디지털 정보해득력 교육 지원기능 강화, 독서생활화를 위한 독서촉진과 저변확대, 평생학습(문화)프로그램 제공서비스의 최적화, 시설 공간의 개방화 및 친숙성 증대, 지역 유관기관과의 연계 협력사업 확대)을 제안하였다.

어린이를 위한 낭독공연의 유형 연구 (A Study on the Type of Reading Aloud Performance for Children)

  • 오판진
    • 공연문화연구
    • /
    • 제37호
    • /
    • pp.223-247
    • /
    • 2018
  • 낭독공연이란 배우들이 희곡을 암기하지 않고 읽는 것을 통해 관객들에게 희곡의 의미를 전달하는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이 용어는 오래전부터 사용하였지만, 우리 문화계에서 낭독공연을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라고 할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연극교육을 강화하면서 '낭독공연'에 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낭독공연을 교육의 장에서 풍부하게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성인들의 낭독공연에서 찾아보고, 이를 어린이 교육의 장에서 활용하고자 분석하였다. 낭독공연에는 배우들이 무대 위에서 '희곡을 보면서 읽는 유형'과 '희곡을 암기하여 연기하는 유형' 및 '두 유형을 혼합한 유형'이 있다. 결국, 낭독공연의 형식에는 정해진 규칙이 없다는 것이 핵심이다. 희곡을 보거나 보지 않거나 문제 되지 않는다. 낭독공연의 주체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적합한 형식의 공연을 하되 낭독공연은 꼭 이렇게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가질 필요는 없다. 어린이와 청소년 또한 낭독희곡의 개념을 유연하게 이해하면 교육적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더 커질 것이다. 이런 분석을 근거로 어린이를 위한 교육의 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준거로 '낭독공연의 형식을 한 가지로 고집하지 않기', '여러 유형의 낭독공연 선택하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여러 유형의 낭독공연 선택하기'에 필요한 하위 준거로는 '희곡의 내용 가운데 특정 장면 선택하기', '학생의 수준이나 상황을 고려하기', '새로운 유형의 낭독공연을 만드는 데 주저하지 않기'가 있음을 밝혔다. 이 글이 낭독공연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교육계에 활력을 넣고, 이론의 부재로 인해 교육적 설계가 미흡해지는 점을 해소하는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

소리 내어 읽기가 유학생의 영어 정형화 배열 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ding Aloud on International Students' English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 이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341-348
    • /
    • 2022
  • 정형화 배열이란 연속적이거나 연속적이지 않은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되는 어휘 덩어리이다. 정형화 배열은 언어 발달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형화 배열의 습득 여부가 언어 발달의 성패를 좌우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학생들의 정형화 배열 학습방안으로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제안한다. 서울 소재 대학의 교양 영어 수업을 듣는 유학생 41명을 대상으로 소리 내어 읽기 활동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15주간 동영상 수업과 줌 실시간 수업을 병행하여 진행하였고, 교재는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을 이용하였다. 동영상 수업에서는 교사가 쉬운 한국어로 영화 대본을 해석하였고 정형화 배열을 소리 내어 읽기를 하였다. 학생들은 과제로 정형화 배열이 포함된 문장을 소리 내어 읽고 녹음하여 제출하였다. 실시간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동영상 수업에서 학습한 정형화 배열을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하였다. 사전 평가 대비 사후 평가에서 정형화 배열 해석하기와 쓰기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있었다. 설문에서는 학생들은 수업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아동의 TV 시청 시간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책 읽기 시간의 조절 효과 (Moderating Effect of Book Read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V Viewing and Creativity)

  • 이현아;강현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93-500
    • /
    • 2023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TV 시청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동의 TV 시청이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책 읽기 시간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0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만 9세 아동의 TV 시청 시간, 책 읽기 시간, 초등 도형 창의성 검사(K-FCTES)에서의 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의 TV 시청 시간과 창의성 간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아동의 책 읽기 시간과 창의성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TV 시간은 아동의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아동의 책 읽기 시간은 이 관계를 조절하였다. 본 연구는 출생과 함께 다양한 미디어에 노출되어 디지털 네이티브로 성장하고 있는 오늘날의 아동의 창의성 발달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미디어 노출의 부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고 그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 요인으로 책 읽기의 중요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청소년의 일본 번역 만화 구독과 대일 선망의식 (Adolescents' Reading of Japanese Comic Books and Envy of Japanese Goods, Japanese Culture, and the Japanese in General)

  • 이순형;이강이;정윤주
    • 아동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5-78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actual reading behavior of Japanese comic books among adolescents, (2) adolescents' perception of violence and sexuality in the comic books, and (3) the effect of Japanese comic books on attitudes toward Japan.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9 elementary, 102 middle and 104 high school adolescents.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iles, mean, ANOVA, $Scheff{\acute{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s. The results were that (1) Reading of Japanese comic books is a prevalent phenomenon among adolescents; (2) adolescents assessed the contents of Japanese comic books favorably; (3) adolescents evaluated Japanese goods as high quality, assessed Japanese culture positively and had favorable perception of the Japanese; (4)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cents' evaluation of Japanese comic books and envy of the Japanese.

  • PDF

경기도 책꾸러미 사업을 통한 양육자의 독서육아 효과 분석을 위한 지표개발 및 효과성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Indicatives for Analysis of the Effects of a Book Sharing Project on pre-schoolers of Supporter' Reading Care in Gyeonggi-do)

  • 최인자;윤성은;김수경;황금숙;이선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33-155
    • /
    • 2022
  • 본 연구는 2021년도 경기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에서 양육자의 독서 육아의 효과를 분석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표를 개발하고 효과성을 분석한 뒤 향후 경기도 독서문화 진흥 정책 수립 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사업은 소외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대상의 독서 복지를 위해, 기관과 가정이 연계하여, 가정에 책꾸러미를 정기 배송하고, 유아와 양육자를 대상으로 맞춤형으로 개별적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양육자의 독서 육아 효과 분석을 위한 측정지표는 가정 문식성, 부모 효능감 이론에 대한 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설정되었고, 이후 17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전문가를 통해 델파이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경기도 7개 시군(포천시, 양평군, 여주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 양주시)의 양육자 105명을 대상으로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사전/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전/ 사후 효과성을 조사한 결과, 유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의 양육자는 독서 상호작용과 독서 육아 효능감 면에서 향상을 가져왔다. 이러한 사업 효과를 고려할 때, 이 정책은 특정 지역을 넘어서 보편적인 조기 유아 독서 복지 정책으로 가정과 기관이 연계한 형태로 지속적인 사업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감각적 읽기 매체를 활용한 만2세의 그림책 (Exploring Picture Book Reding Ecperiences of 2-Year-Olds Using Sensuous Reading Media)

  • 남기원;이수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59-370
    • /
    • 2023
  • 본 연구는 감각적 읽기 매체를 활용한 만2세 그림책 읽기 경험이 영아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의미있는 읽기를 통한 언어능력 지원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만35개월 남아를 선정하였고, 자료수집은 가정에서의 참여관찰 및 현장기록노트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3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약 2개월간 연구대상이 그림책을 탐색하며 놀이하는 시간을 모두 녹화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녹화 시간은 약 20시간이고 수집된 자료를 및 현장기록을 전사한 자료는 A4 용지 108페이지이다, 연구결과는 만2세 영아의 감각적 읽기 매체를 활용하여 그림책 읽기 경험을 통해 새로운 매체를 탐색하기, 비슷한 매체와 비교 탐색하기, 매체를 활용한 그림책 읽기에 몰입이 흐름이 나타났으며. 또한 스스로 책을 선택하고 읽는 주도적 읽기의 출현, 읽기 매체를 활용한 탐색, 일상생활 속 그림책과 연계된 놀이로 변화되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감각적 읽기 매체를 활용한 만2세의 그림책 읽기 경험이 영아의 읽기 경험에 유의미함을 시사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고등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에 대한 인식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erception and Improvement in Records for 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Student)

  • 최영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5-2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독서활동상황' 기록에 대한 만족도, 독서활동 기록의 필요성, 독서활동 기록 방법 등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독서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현재 기록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독서를 통해 성장한 내용을 도서명으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성장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독후활동 기록, 교과교사와의 상호작용 활동 등을 기록하는 방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독서평가 방법의 변화와 학교 현장의 바람직한 독서문화에 큰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

The Efficacy of Zoom Technology as an Educational Tool for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in EFL Classroom

  • Kim, HyeJ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198-20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l-time remote video instruction using zoom on learners' English reading achievement. The study also sought to identify the efficiency of zoom video lectures and consider supplementing them by surveying learners' opinions and satisfaction regarding zoom video lectures. To this end,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set up, and two achievement tests and a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The study's results demonstrated that zoom video lectures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English reading achievement. The questionnaire found that learners are satisfied with zoom video lectures for the following reasons: 'increased interest in and motivation towards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ctive interaction', 'ease of access', 'ease of information retrieval'. At the same time, the questionnaire also found that some learners are dissatisfied with zoom video lectures due to 'mechanical errors or defects', 'poor audio quality', and 'the need to add customized functions for efficient classes'. In practice, zoom video lectures must be supplemented with automatic attendance processing, convenient data upload and download, and more efficient video screen management. Given the recent increase in online classes, we, as instructors, must develop teaching activities and/or strategies for video lectures that can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by lear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