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culture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31초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독서문화진흥사업 평가와 스마트 시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roject and Develpment Direction of Smart Era at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 강지혜;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3-221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 혁명시대로의 진입에 따른 교육환경 변화와 독서문화 진흥의 직접적 수혜자인 어린이청소년의 독서문화프로그램 요구변화를 면밀히 분석하고,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추진했던 어린이청소년 대상 독서문화진흥사업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시대의 요구에 맞는 독서문화진흥사업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국내외 독서문화진흥사업의 사례를 조사하여 그 경향을 파악하고, 사업참여 경험이 있는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 전문가를 초빙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으며, PDCA 방법(Plan, Do, Check, Act)에 의거 각 독서문화프로그램 사업에 대한 개별 사업 평가를 수행하였다. 사례조사와 전문가 평가를 통해 도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지향해야 할 독서문화진흥사업의 발전방안 및 새로운 사업의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취합하여 '인터랙티브 전자책 만들기 플랫폼 제작/보급 사업', '게임형 독서 프로그램 제작/보급사업', '거꾸로 학습법을 활용한 하브루타 독서문화 보급 사업', '청소년 코딩 브랜딩 "Teen-Start-Up"' 등을 새로운 서비스로 제안하였다.

도서관을 통한 장애인 독서문화 확산 및 활성화 방안 (Improving Strategy of Reading Culture for Printed Disabled People in the Library)

  • 안인자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1호
    • /
    • pp.187-212
    • /
    • 2012
  • 장애인 독서문화 활동의 진흥은 정보소외계층의 정보격차해소, 독서문화 활동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도서관 핵심 사명을 수행하는 주요한 업무이다. 활성화 방안을 도출을 위해 독서문화 진흥정책과제에서 사용하는 4개 과제 영역을 틀로 사용하였으며, 국내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도서관 장애인서비스는 장애인 독서환경조성, 균등한 독서 기회 제공 서비스가 대부분이고, 장애인 독서생활화 및 독서운동 활성화과제는 매우 부족하였다. 독서 생활화를 위한 독서교육, 독서체험, 이용자중심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장애인 독서운동 확산을 위하여 도서관 홍보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독서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Reading Survey for the Establishment of Goyang City Reading Culture Promotion Plan)

  • 송민선;장인호;황금숙;김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285-308
    • /
    • 2023
  • 본 연구는 고양시민들의 독서 실태를 조사·분석해 고양시 '제2차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독서실태 조사 관련 선행 연구 및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의 설문 문항 등을 참고하여 성인 및 학생 응답자 특성을 반영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고양시에 거주 중인 성인 960명, 학생 5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해 그 결과를 분석하고,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독서자료의 범주를 전통적인 종이매체에서 다양한 매체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 장서 확충 및 실제 도서 구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시민들이 원하는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온라인 운영 방식 등으로 독서활동 및 동아리 활동 참여 기회를 늘여야 한다. 넷째, 독서 활성화를 위한 시설 및 서비스 환경은 시민들의 생활 반경 내 접근이 쉬운 곳으로 조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독서문화진흥사업 중 '스마트도서관', '상호대차서비스', '독서 및 문화프로그램 운영', '고양 북페이' 사업 등은 지속·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실효성 있는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실제 시민들을 대상으로 독서 실태를 조사하고, 정책 방향 설정에 필요한 의견을 수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독서문화 환경 분석 및 관련 사업 성과 평가 연구 (Promoting Reading Culture in Goyang City: An Analysis of the Reading Environment and Evaluation of Related Projects)

  • 송민선;김수경;황금숙;장인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31
    • /
    • 2023
  • 본 연구는 고양시 제2차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그동안 고양시에서 시행해 왔던 주요 독서문화 진흥사업들의 추진 성과를 평가·분석함으로써, 고양시 특성을 반영한 독서문화 진흥정책의 주요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각종 문헌 및 통계자료를 토대로 고양시의 독서문화환경을 분석하고, 2017년에 수립된 '제1차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c 및 해당 계획에 따라 수행된 주요 사업들의 추진 여부 및 주요 성과를 파악한 후, 추진 성과 평가를 위한 설문을 구성하여 고양시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수행된 고양시 독서문화 환경 분석 결과 및 사서 대상 설문 조사에서 도출된 독서문화진흥 사업 성과를 평가한 결과, 그리고 이전의 관련 선행연구에서 고양시민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던 독서실태조사 내용 중 독서진흥사업과 관련한 의견수렴 항목의 결과 등을 종합하여 향후 제2차 고양시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고양시 도서관에서 고려해야 할 여섯 가지 주요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Importance of Learning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on: Focused on TOEIC Reading Comprehension

  • Shin, Myeong-Hee;Lee, Eunpyo
    • 영어어문교육
    • /
    • 제18권3호
    • /
    • pp.207-221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learning language and cultural integration in general English class focused on TOEIC reading comprehension.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learning and learners' cultural awareness has long been a subject of debate. This study was not only to analyze the improvement of students' interest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f TOEIC through cultural learning, but also to ensure students who learn American culture overcome cross-cultural miscommunication and improve their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Pre-post surveys and the pre-post TOEIC tests were used to measure language proficiency and American cultural knowledge 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had better TOEIC scores with improved motivation after understanding American culture relevant to the lessons. Seco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with regards to TOEIC also improved, compared with the students who were not exposed to American culture due to lack of opportunity.

  • PDF

어린이.청소년 독서문화 진흥 선진화 방안 연구 (A Study for the Promotion of Reading Culture for Children & Young Adults)

  • 황금숙;김수경;장지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77-308
    • /
    • 2011
  • 어린이 청소년기부터 체계적인 독서문화 활동을 통해 독서습관을 배양하여 평생교육으로 유도하는 국가적인 독서문화 진흥 방안이 절실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청소년으로 하여금 독서의 즐거움을 통한 독서의 생활화를 유도하고 건전한 독서문화가 전개될 수 있도록 보다 조직적이고 효율적인 민 관 협력체계의 제도적 기반 구축을 통한 국가적 차원의 선진적 독서문화 진흥 모델 정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 문헌조사, 2) 사례조사, 3) 설문조사, 4) 전문가 회의 및 공청회 등의 연구방법을 채택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 청소년 독서문화 진흥 기본 정책 방향 수립, 2) 어린이 청소년 독서문화 환경 인프라 구축, 3) 어린이 청소년 독서문화 진흥 전담조직 구성, 4) 어린이 청소년 독서문화 진흥을 위한 비전, 목표, 추진전략 및 과제 제시.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진흥 정책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ibrary Use and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ies Reflecting Local Community Characteristics: Focusing on Chungcheongnam-do)

  • 김보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7-51
    • /
    • 2023
  • 이 연구는 사회 환경변화에 따라 충청남도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진흥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에 충청남도를 대상으로 도서관 일반 현황, 도서관 및 독서문화 인프라, 법제도 등의 환경분석과 도민(학생, 일반) 대상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에 관한 실태조사 및 도서관 직원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충청남도의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하고 그에 따른 정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충청남도를 6대 지역생활권역으로 구분하고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진흥 정책과제 발굴, 충청남도 도서관 직원 대상 의견을 수렴하여 총 20개의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진흥 정책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지역생활권 도서관의 노력뿐만 아니라 광역대표도서관의 역할과 위상 강화와 함께 충분한 인력과 예산 확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읽기/쓰기 문화의 변천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상(浮上) : 바흐친의 '일상생활의 산문'을 중심으로 (The Transition of Reading/Writing Culture and Emerging Digital Contents-Focusing on Bakhtin's "The prose of everyday life")

  • 구모니카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71-382
    • /
    • 2011
  • 인류가 고대로부터 물려받은 읽기/쓰기 행위는 인류의 의사소통 체계이자 지식정보 전달 체계로서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다. 특히 디지털적 읽기/쓰기로 개개인의 일상사에 의미와 가치가 부여되는 시대, 그야말로 혁명적으로 일상적 담론과 대화들이 증폭된 지금 본 연구자는 이 시대의 '디지털적' 읽기/쓰기 방식과 이에 따른 의사소통 수단을 바흐친의 '일상생활의 산문'을 중심으로 점검하고, 그러한 현상이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로 재창조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과거 읽기/쓰기는 '기록'의 과정을 통해 '서사의 창조'라는 지점에서 신성성을 부여받아왔다. 그러나 이는 현대로 오면서 데이터 간의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통해 변모하고 있다.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읽기와 쓰기는 선형적 서사성의 결여로 비난 받아야 할 현상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변화의 한 과정이며 결과로 재평가되어야 한다. 읽기와 쓰기 방식의 변화는 콘텐츠의 층위, 지위, 의미, 가치의 변화를 수반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디지텔링'이라는 개념을 제안하여,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읽기/쓰기 방식을 새로운 대중문화 현상으로 접근해야 함을 주장하는 바이다.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Model of Reading Culture Program in Public Library for Free-semester)

  • 황금숙;김수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99-128
    • /
    • 2016
  • 현 정부에서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핵심 교육정책으로서 중학교를 대상으로 2013년도부터 자유학기제를 도입하여 2016년에는 모든 중학교에서 전면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여 보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생, 교사, 학부모, 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독서문화 프로그램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자유학기제 자율과정 구성에 따른 4가지 영역(진로탐색활동, 동아리활동, 예술 체육활동, 주제선택활동)의 도서관 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국내외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평가와 개선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Policy for Reading Promotion)

  • 정일권;조윤경;채영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69-190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외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평가를 통해 독서 문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독서진흥 정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독서문화진흥법"을 중심으로 국내 독서진흥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해외 독서진흥 정책은 인프라 구축, 세제 지원법, 캠페인으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 작업을 위해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정책에 대한 인지 정도, 독서진흥에 기여정도, 여론지지 정도, 정책 시행의 현실성 등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정책의 대상이자 독서를 하는 일반인들의 의견도 수렴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가 교육적 도구가 아닌 즐거움의 도구라는 인식의 전환과 그러한 독서 문화 정착을 위한 사회적 캠페인을 활성화할 필요성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