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Flow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7초

LEAN CONSTRUCTION MEANS TO PROMOTE GOOD- AND ERADICATE BAD VARIATION

  • Iris D. Tommelei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51-59
    • /
    • 2009
  • Lean constructio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ave established a new paradigm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This paradigm stems from insights gained by viewing project delivery as one kind of production and, inspired by the success of the Toyota Production System, leveraging Toyota's 'lean thinking' in the context of such one-of production. Premises of lean construction are that (1) production systems are riddled with variation, (2) variation can be good or bad, but most of it is bad, (3) most of this variation-good or bad-is self-inflicted; consequently 'lean' passionately promotes good- and relentlessly eradicates bad variation. This paper surveys a few of many lean construction means to manage variation. Lean thinking encompasses a lot more than thinking about variation, but that is the lens used here through which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is viewed. Pairing these premises with lean variation-management tools may help readers broaden the insights they can gain from reading the lean construction literature.

  • PDF

GIS를 이용한 인제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석류 분석 (Debris Flow Analysis of Landslide Area in Inje Using GIS)

  • 김기홍;윤찬영;이환길;황제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7-53
    • /
    • 2011
  •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덕산리 지역은 2006년 7윌 12일부터 16일까지 4일간 국지적 집중호우로 인하여 대규모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한 지역이다. 이때 발생한 산사태 및 토석류로 인한 가옥 매몰로 2명이 사망하는 등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 하였다.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 지역이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져있어 현장에 직접 접근하여 피해규모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항공사진을 이용하면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 지역 특성 및 피해규모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강원도 인제 지역의 토석류 발생지역을 확인, 분석하였다. 토석류 발생지역을 발단부, 유하부, 퇴적부로 나누어 육안판독에 의한 디지타이징으로 각 지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였고, GIS를 이용한 지형도, 염상도, 토양도와의 중첩 분석을 통하여 토석류 발생지점에 대한 지형학적, 임상학적, 토양학적 특성 및 발생 현황을 분석하였다. 종합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36^{\circ}$ 정도의 경사에서 산사태가 발생하여 $26^{\circ}$ 경사도에서는 흐름으로 진행하다가 $21^{\circ}$ 경사 아래에서는 더 이상 흐름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퇴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임상인자 중에서는 수종의 종류에 따라 큰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토양인자 중에서는 유효토심 및 토양모재, 침식등급과 토석류 발생과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콴다효과를 이용한 익 주위의 유동제어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low control around Foil with Coanda effect)

  • 오경근;조대환;이경우;고재용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65-69
    • /
    • 2006
  • 물제트분사장치가 부착된 NACA-0021 익 주변의 흐름을 업자영상유속계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R_e=6.0261\times10^4$에서 영각 (a) 을 $0^{\circ}\sim35^{\circ}$로 변화시켜가며, 물제트분사 속도를 0[m/s], 9.2[m/s] 의 2 가지로 조절한 결과 익 후류영역에서는 박리 후 비정상적인 (unsteady) 재순환 재부착 영역이 형성되었으며, 박리영역의 폭이 콴다 효과 (Coanda effect)를 갖는 물제트분사로 인하여 최대 1/3만큼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물분사가 없는 조건에서의 박리는 영각(a) $17^{\circ}\sim18^{\circ}$부근에서 시작되는 것이 관측되었으나, 물제트분사를 시켰을 경우 $20^{\circ}\sim21^{\circ}$에서 박리가 시작되는 것을 유통관측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유통계측을 통해 익의 후연부 (trailing edge) 에서 생성되었던 와 (vortex, eddy) 가 물제트분사로 인해 소멸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영각이 작고 물분사 유속이 빠를 수록 박리영역의 감소가 더욱 가속화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스마트워터그리드를 위한 LoRa IoT 원격검침 및 계량데이터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LoRa IoT Automatic Meter Reading and Meter Data Management System for Smart Water Grid)

  • 박정원;박재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72-178
    • /
    • 2022
  • 본 논문은 스마트워터그리드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수도미터 원격검침(AMR)을 LoRa IoT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주된 내용은 한 대의 PC 서버에서 LoRa 통신으로 다수 세대의 수도미터기 검침 값을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한편 인터넷을 통하여 웹 서버의 클라우드 저장을 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검침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테스트 결과를 보인다. 시스템 구성을 위하여 디지털 수도미터기 메인보드의 하드웨어와 펌웨어를 자체적으로 설계 제작하고, PC 서버프로그램으로서 계량데이터운용시스템(MDMS) 프로그램을 비주얼 C#으로, 사용자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앱 프로그램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자체 설계 제작한다. 제작된 각각의 구성을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을 실험실 내의 유량 테스트벤치에 장착하여 테스트하여 결과를 보이고, 실제 사용환경 테스트를 위하여 대학 주변의 5곳을 선정하여 전송 거리 테스트를 하여 개발된 시스템이 실사용 현장에 사용 가능함을 보인다. 본 연구결과는 워터그리드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 물 사용량 소비패턴, 위치 정보 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물 사용량 관리뿐만 아니라 독거, 치매 어르신 등이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지를 추정까지 가능하다는 등 다양한 사회안전망으로도 확대 가능하다.

디지털 출판물 유통 플랫폼 개념설계에 관한 연구 - 사회적 협동조합형 비즈니스 모델 - (Conceptual Design on the Marketing Platform for E-Books - The Business Model on the Notion of Social Cooperative -)

  • 정준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3-55
    • /
    • 2019
  • 납본시스템 기반의 유통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도서관이 출판플랫폼이어야 한다는 기존 논문의 완결작업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의 납본 시스템과 연계하여 전국의 도서관망을 체계적으로 묶은 전자책 유통 플랫폼이다. 목적은 전자책을 하나의 유통 공간으로 묶어내고 자연스럽게 독자를 규합함으로써 국내 출판사, 저자, 서점 및 다양한 출판/구독 서비스를 수행중인 플랫폼들의 가상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전제를 전자책의 판매가 아닌 임차 개념이지만 이와 무관하게 플랫폼은 유효하다. 뿐만 아니라 플랫폼을 출판/독서와 연관된 모든 구성원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하여 사회적 협동조합의 형식을 취하였다. 납본시스템 기반의 유통 플랫폼은 현실과 타협한 가장 이상적인 비즈니스 모델이다. 개념적 (Conceptually)으로는 출판 콘텐츠 관련 산업의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면서 협동공간인 납본시스템으로부터 모든 콘텐츠가 공급되는 모형이며 기술적(Technically)으로는 중앙의 전자책 데이터베이스가 모든 콘텐츠의 흐름을 장악하지만 가상적 (Virtually)으로 출판 콘텐츠 관련 산업이 그 흐름을 제어하는 형식을 취한다.

복합화에 의한 공공도서관의 경향과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nd and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y by the Mixed)

  • 장우석;손광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99-207
    • /
    • 2011
  • After the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since the 15th century and the rise of citizen consciousness in the 18th century, the library has taken a public concept. And after the 20th century, its role as a public library for the public was stressed, and as its spatial composition became miniaturized and specialized, its function changed from stacking and reading to various kinds including culture and service and is getting more complex beside the function of a library. Thereupon,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limitations of public libraries' opening years shown in advanced researches and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patial composition by complexation with the subjects of five public libraries opened after the end of December, 2006 in order to examine their tendencies of complex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by the complexation of public libraries. As a result, the present public libraries have at leaser more than two spaces with complex func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types, locational relations between spaces showed the mixed type the most. In the types of building allocation, the building integrated type had a higher percentage than the separated type. About the types of entrance, the one common door type was fewer than the two separate door type. In the analysis on the types of the interior line of flow, the common type was similar to the dispersed type, and it is thought to be resulted from spatial composition rather than the preplanned line of flow.

역류 흐름 검출기능을 갖는 무선 디지털 원격 수도검침기 설계 (A Design of RF Digital Remote Water Gauge with Counterflow Detection Capability)

  • 남종현;이재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97-104
    • /
    • 2015
  • 기존의 1구 홀센서 방식의 수도 검침기는 역류 감지와 저속 흐름 감지가 어렵고 대기상태에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개의 홀센서를 $120^{\circ}$간격으로 배치해 유량의 흐름을 감지하고 유량의 방향을 검출하여 국가 기술 표준 작동연한 (8년)을 충족하는 역류 검출기능을 갖는 무선 디지털 원격 수도 검침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검침기의 동작 알고리듬은 3개의 홀센서가 유량의 속도에 상관없이 동작하며 오차없이 유량을 카운트 하도록 구성하며 홀센서에 이벤트 발생 시 RF 모듈을 통해 지정한 주파수로 수도 검침기의 ID, 현재 시간 그리고 카운트 값을 중계기 또는 중앙 관제센터에 보내고 대기모드에서 전력이 소비되지 않게 한다.

물분사장치를 이용한 2차원 익 주위의 PIV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IV Analysis around 2-Dimensional Foil with Blowing)

  • 오경근;조대환;이경우;고재용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1권)
    • /
    • pp.45-49
    • /
    • 2006
  • 물분사장치가 부착된 NACA-0021 익 주변의 흐름을 입자영상유속계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R_w=6.0261{\times}10^4$에서 영각(a)을 $0^{\circ}{\sim}35^{\circ}$로 변화시켜가며, 물분사 속도를 0[m/s], 9.2[m/s]의 2가지로 조절한 결과 익 후류영역에서는 박리 후 비정상적인(unsteady) 재순환 ${\cdot}$ 재부착 영역이 형성되었으며, 박리영역의 폭이 콴다 효과(Coanda effect)를 갖는 물분사로 인하여 최대 1/3만큼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Nㄴ사가 없는 조건에서의 박리는 영각(a) $17^{\circ}{\sim}18^{\circ}$ 부근에서 시작되는 것이 관측되었으나, 물분사를 시켰을 경우 $20^{\circ}{\sim}21^{\circ}$에서 박리가 시작되는 것을 유동관측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유동계측을 통해 익의 후연부(trailing edge)에서 생성되었던 와(vortex, eddy)가 물제트분사로 인해 소멸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영각이 작고 물분사 유속이 빠를수록 박리영역의 감소가 더욱 가속화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개선된 패스트리를 이용한 지능형 생산관리 시스템 (Intelligent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with the Enhanced PathTree)

  • 권경락;류재환;손종수;정인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4호
    • /
    • pp.621-630
    • /
    • 2009
  • 최근 RFID 기술과 기업정보시스템을 연계하여 사용하려는 많은 시도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동시에 많은 양의 인식할 수 있는 RFID의 기본적인 특징에만 충실했을 뿐, 리더로부터 생성되는 많은 양의 데이터에 대한 관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시간이나 흐름과 관련된 연속적이고 동적인 정보를 얻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대량의 RFID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RFID 데이터 마이닝 기법의 하나인 경로 트리(PathTree)를 보완한 공정트리(Procedure Tree)라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실제 기업 정보 시스템과 연계하여 실시간 공정 관리 시스템에 적용한 후 제안한 시스템의 효율성을 평가한다. 제안한 방법을 통해 기존 RFID 기반 생산관리 시스템이 하기 어려운 실시간 공정 관리를 위한 공정 흐름의 예측이나 추적과 같은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희수식 전자 맥진기의 재조명 (Study on Reillumination of Hi-soo type Electronic Manometer)

  • 김은혜;김병수;강정수
    • 혜화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7-45
    • /
    • 2009
  • In early 1970s, Electronic Manometers were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modernization and objectification of pulse diagnosis. Method of finger pressing, also known as cuffs pressing, is essential for sensing a pulse wave. I think comprehension and deduction of problem from the existing Hi-soo type electronic manometer, will be important for making a better one. The Hi-soo type electronic manometer is constructed of cuff pressing type sensor, differential amplifier, transmitter and recorder. Pulse movement and pulse wave, gauging blood flow, is analyzed by pulse image of "Yixuerumen(醫學入門)". At standard of pulse wave, huanmai(緩脈) is distinguish from chishu(slow and fast, 遲數), fushen(float and sink, 浮沈), interference wave, modificated wave, and phase angel. The Hi-soo type electronic manometer had no explanation of formational mechanism,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pulse wave which is early known and reported. The strength of Hi-soo type electric manometer is use of cuff pressing type sensor. Above all, the importance of electric manometer is reading the pulse movement accurately then expressing it as pulse wave. From now on the improvement of precise sensor should make a progr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