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Factors

검색결과 423건 처리시간 0.028초

독서에 있어서 주요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in Factors in Reading)

  • 남태우;류반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13-332
    • /
    • 2012
  • 본 연구는 다양한 독서의 정의와 독서를 다루고 있는 인접 학문들의 관점에서 독서의 여러 측면들을 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독서의 요인을 추출하고 요인의 성격을 조사하였다. 독서의 주요 요소는 저자, 독자, 텍스트, 맥락의 4가지이다. 본 연구는 독서의 커뮤니케이션 측면, 특히 독자와 맥락과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어 결론을 이끌었다.

PISA 2009에서 도서관방문이 독서태도 및 독서방법과 읽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ibrary Use Factor on Reading Achievement, Reading Attitude and Behavioral Factors of PISA 2009)

  • 박주현;사공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69-191
    • /
    • 2014
  • 이 연구는 OECD PISA 2009 원자료를 활용하여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영향력과 책무성을 확인하고 공교육의 내실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 PISA 2009에 참여한 우리나라 만 15세 4,989명의 설문자료와 읽기성취도 점수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하여 도서관방문이 독서태도와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방문은 독서태도,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와 인과관계가 있었으며, 독서태도는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와, 독서방법은 읽기성취도와 인과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인과관계에 집단을 적용한 결과, 일부 개별 경로에서 집단이 조절변수로 작용하였다.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 연구 사서교사와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acit Knowledge of Attitude toward Reading)

  • 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05-33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을 확인하고 독서태도를 측정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정보와 시사점을 획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5개의 초등학교에서 사서교사와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과 교사들은 독서태도를 평가하는 기준과 특성을 학생의 능력, 성격 및 행동적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학생들은 독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독서를 즐거운 감정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독서능력이 하인 그룹의 학생들은 다른 그룹의 학생들보다 독서가 학업적 목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독서를 보다 부정적인 정서로 표현하였다. 학생들은 또래집단과 교사, 가족구성원을 독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책의 주제 및 내용과 더불어 책 자체의 특성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교사들은 독서태도를 책에 대한 태도와 그 책을 읽는 태도를 포괄한 개념으로 인식하였고, 독서환경과 관심, 습관, 책, 경험 등을 독서태도의 영향요인으로 언급하였다.

아동의 독서태도 검사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Reading Attitudes Test Tool for Children)

  • 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329-358
    • /
    • 2016
  • 이 연구는 아동의 독서태도를 다양한 측면에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선행 독서태도 검사 도구, 독서태도 모델과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 연구를 토대로 구성요인을 설정하고 문항을 작성하였다. 검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차와 2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독서태도 검사도구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개의 구성요인에서 8개의 하위요인을 추출하였고, 추출된 8개의 요인은 전체변량의 66.29%를 설명하였다. 문항내적 상관계수 r값은 모든 문항에서 0.4이상으로 나타났고, 독서태도 검사도구의 Cronbach ${\alpha}$값이 0.950으로 나타나 개발된 독서태도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인지, 정서, 행동의지를 독서태도 구성요인으로 하고 독서효용성과 독서효능감, 여가, 자극, 몰입, 표현, 학습, 적극성을 하위요인으로 하는 독서태도 검사도구는 아동의 독서태도에 관한 다양한 측면을 검사하기에 유용한 도구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독서보조기기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대체자료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Alternative Materials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Reading Aids Devices)

  • 황신애;이승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1-211
    • /
    • 2020
  •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들의 독서보조기기를 이용한 정보접근에서 발생하는 한계와 문제점 등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독서보조기기를 이용한 대체자료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인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 분석 결과를 통해 독서보조기기의 이용을 활성화하는데 있어서의 제한요인을 여섯 가지 측면으로 도출하였다. 도출한 제한요인을 중심으로 독서보조기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정책적, 운영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저가의 독서보조기기 개발, 독서보조기기 지원 정책에 대한 인지도 제고, 독서보조기기 적용성 향상을 위한 웹 표준 지침 준수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운영적 측면에서는 시각 이외에 청각 활용 기능의 보강, 독서보조기기 활용 관련 정보서비스 확충, 독서보조기기의 휴대성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독서태도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Attitude toward Reading)

  • 박주현;이명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71-297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태도 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에 독서태도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선행 독서태도 모델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새로운 독서태도 모델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독서태도 모델은 크게 독서환경 변인, 독자 변인 및 독서행동 변인으로 구성되었다. 독서태도 모델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태도의 구성요인을 인지, 정서, 행동의지로 구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독서태도를 확인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둘째, 독서태도의 행동적 요인을 행동의지와 몸짓으로 드러나는 독서행동으로 구분하여 독서태도의 구성요인에 관한 논리성을 강화시켰다. 셋째, 독서태도의 대상으로 물리적인 책(텍스트)과 책읽기를 모델에 명시화하여 책의 중요성을 독서태도 모델에 반영하였다. 넷째, 독서경험을 통한 인지적이고 정서적인 스키마를 제공하여 독서태도와 독서행동의 변화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독서태도 모델은 독서환경과 독서환경으로부터 유발된 자극이 독자와 독자의 독서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피드백 되는지에 관한 영향 관계가 제시되어 독서태도의 형성과 작동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대학생 독서부진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University Students Poor Readings)

  • 박정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0
    • /
    • 2006
  • 현하 한국대학생들의 독서율이 점차 저하되고 있다. 독서부진의 제반 요인을 여러 부분에서 진단, 고찰하고, 독서저해요인을 추출함으로써 독서생활을 조장하고 독서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독서철학 확립을 위한 논의를 정리하고, 또한 대학생 독서부진 해결을 위한 교육제도적 방안으로서 독서학점부과제도 또는 독서인증제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 PDF

The Positive Effects of Corporate Reading Management on Employee Performance

  • JUNG, Sung-Hyun;AHN, Byoung-Soon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5-64
    • /
    • 2022
  • Purpose - Corporate reading management requires employees capable of doing their job since employee performance is crucial to the firm's profitabi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itive effects of corporate reading management on employee management. It focuses on factors increasing employee productivity and the impacts corporate management brings about on the overall productivity of any kind of compan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current authors have investigated and conducted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CA) to obtain the adequate textual dataset in the prior and current literature. One of the primary benefits of doing research using content analysis is that it enables the researcher to employ a combin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Result - Based on the review of the prior literature, the present authors found that there are four corporate reading management solutions to improve employee performance, following those instructions - A. Increased Motivation and Productivity, B. Employee Development, C. Businesses' Objective Alignment, and D. Improved Work Environment. Conclusion - This study addressed and figured out different factors that reading corporate can apply to influence employee performance, thus increasing the company's productivity. Future research should evaluate the adverse effects businesses might face from unfavorable working environments. The research also needed to address how ethics influences employee performance.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읽기 동기 구성요인과 읽기 능력의 관계 (Relationships of Various Motivational Constructs and Read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권민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3-67
    • /
    • 2005
  • It has been suggested that children's reasons for reading are various; reading efficacy, challenge, curiosity, involvement, importance, recognition, competition, compliance, grades, avoidance and social interactions. To extend previous studies in which only one or two motivational constructs were studied in relation to reading abilit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11 inter-relationships of motivational constructs and their relationships to reading abilities. Using the MRQ of Wigfield & Guthrie(1997), and the Basic Learning Skills Test of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1989), 334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measured for their reading motivation and 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11 motivational constructs were interrelated, which were also related with reading abilities. Out of 11 motivational constructs, importance was able to predict the reading abilities in multiple-regression analyses. From F-tests, those groups with high reading efficacy, challenge, curiosity, involvement, recognition, competition and social interactions outperformed those with low motivational constru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that children read for various reasons, and internal motivation and social interactions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reading abilities. It is proposed that the internal reasons for reading are also more significant factors in explaining reading abilities than external reasons. Finally, cultural influences on reading motivation and comprehension are also discussed.

PISA 2009 과학성취도 상중하 집단별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의 영향 (Effects of Reading Motiva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on the Population of High, Middle and Low Scores in Science Achievements of PISA 2009)

  • 김동화;서혜애;김미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38-551
    • /
    • 2013
  • 우리나라는 PISA 2009 과학성취도 영역에서 참여국가 65개국 가운데 4~7위로 상위권 국가에 포함되었으나, 제6수준의 최상위 집단에 포함되는 학생 비율은 1.1%로 18위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최상위 집단의 성적 저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PISA 2009 과학성취도 상위 집단에게 미치는 동기적 요소의 읽기태도 및 행동적 요소의 읽기방법의 영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PISA 2009 과학성취도 자료와 학생용 설문조사 문항에서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에 관련되는 변인을 추출하였다. PISA 2009 과학성취도와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간에 인과관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 중위, 하위집단 모두의 과학성취도에는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위 집단은 읽기방법에서 암기학습이 과학성취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위 및 하위 집단은 암기학습이 과학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