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Competency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공공도서관 사서 직무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Perceptions of Public Librarian Jobs)

  • 홍현진;노영희;정영미;정대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3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등 새로운 시대 변화에 따라 현재 공공도서관 사서 및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서관의 환경요소(장서규모, 직원수, 운영 주체 등)와 더불어 현재 직무에 대한 내용 및 인식, 도서관 사서직무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현 도서관 사서의 직무현황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현재 직무 내용 및 인식으로, 현재 사서들은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독서문화프로그램 계획수립, 이용자 정보서비스 등의 순으로 업무를 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서들은 각자 맡은 업무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노동강도의 경우 과반수 이상이 현재 맡고 있는 노동강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향후 각 업무에 해당하는 세부 능력단위 중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능력과 추가적으로 보완해야 하는 요소, 본 연구를 통해 낮게 나타난 요소 등을 고려하여 보다 적합한 능력단위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도서관의 정규직 인원 수와 경력이 많을수록, 사서자격증 급수와 현재 직위가 높을수록 현재 업무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전문성이 높게 나타나 향후 도서관의 정규직 사서 수를 확대시켜 지속적으로 해당 업무에 대한 경력을 쌓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America School Library Standards Sets that the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 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49-7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AASL이 2018년에 발행한 "학습자, 사서교사, 학교도서관을 위한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 문서에 제시된 기준의 체계와 내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한국 학교도서관 기준의 방향과 내용에 참고할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ASL의 미국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은 학습자 기준과 사서교사 기준, 학교도서관 기준 및 이들 3개의 기준을 통합한 통합 학교도서관 기준틀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학교도서관이라는 시설과 공간에서 교육의 수요자인 학습자와 교육자인 사서교사의 교육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와 사서교사의 역량을 성장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이라는 물리적인 환경이 어느 정도 구축된 상황에서 학습자와 사서교사의 교육내용과 역량에 관한 기준을 제정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내용을 포함한 자료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공공도서관의 미래역량 프로그램 현황 및 사회적 인식조사 연구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Libraries' Future Competency Programs and Social Awareness Survey)

  • 신영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151-178
    • /
    • 2023
  • 본 연구는 도서관이 미래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기관이자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는 시점에서,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미래역량 프로그램 현황을 전반적으로 조사하고 이와 함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서관과 미래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미래역량이라는 키워드로 프로그램이 기획 및 제공되고 있으나, 대부분 메이커스페이스 프로그램 및 에듀테크 프로그램, 체험 프로그램 등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세부 프로그램 종류도 3D, 코딩, AR, VR 등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미래역량별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보다는 미래역량이라는 포괄적인 의미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식조사에서는 교육, 미래역량, 도서관 등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도서관의 독서, 책, 문화, 프로그램 등이 미래역량 강화와 관련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에 향후 도서관은 미래역량별로 체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연령별·대상별 미래역량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 적용에서의 쟁점 분석 (Analysis of the issues derived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1st and 2nd grade)

  • 김성경;오택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2호
    • /
    • pp.263-282
    • /
    • 2019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1~2학년 적용 실태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은 '놀이 수학' 코너가 교과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며, 수학 학습량 및 내용의 수준, <수학> 및 <수학 익힘>의 어휘 수준과 문장의 길이 등은 적절하다고 보았으나 일부 교사들은 어휘가 어렵고 문장도 길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수학 이해 및 한글 해득에 있어서의 학생 간 수준 차이가 크다는 것이 초등학교 1~2학년 수업 운영의 주된 어려움이라는 교사들의 인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수학 이해 및 한글 해득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국내 이공계 대학생의 의사소통 교육 인식조사 (A Study of Communication Education of Engineering Undergraduates)

  • 한국은;원상봉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51-161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이공계 대학생 355명을 설문 조사하여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실증적인 인식을 파악하였으며 이 연구에서 조사한 내용 중 중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이공계 학생들은 의사소통 영역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은 듣기와 말하기 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오늘날 소통의 시대에서 듣기와 말하기 역량이 업무 성과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현상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앞으로 읽기와 쓰기 못지 않게 듣기와 말하기 역량을 높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공계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조사하여 앞으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를 제공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학교도서관진흥법시대의 과제와 전망 - 인력 문제를 중심으로 - (Current Issues and Prospects of the Era of School Library Promotion Act - with a focus on manpower issue -)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159-180
    • /
    • 2019
  • 이 연구는 모든 학교에 1명 이상의 전담인력을 배치하도록 규정한 학교도서관진흥법과 시행령의 개정에 따라 제기되는 인력 문제의 과제와 전망을 탐구하였다. 정부의 정책과 계획을 토대로 사서교사 인력 수요를 검토하고 현재의 인력 양성 규모의 문제를 정리하였다. 향후 예측되는 인력 수요를 고려하여 교육대학원 과정의 증설과 학부 교직 승인 인원의 증원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법을 통해 개선된 인력제도가 현장에 깊이 뿌리내기 위한 과제로 양성 교육의 내실화와 현장 역량의 강화 방안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의 독서교육과 정보활용교육 역량 제고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이원화된 인력체제의 통합 방안을 검토하였다.

기본간호학 실습에 있어 자가학습을 통한 능숙도 측정 - 배변관장을 중심으로 - (Measurement of competency through self study in basic nursing lab. practice focused on cleansing enema)

  • 고일선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532-543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for basic nursing practice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 by examining the students' competency in cleansing enema after doing the self study instead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To examine the competency in cleansing enema after the self study, this study is an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at subjects did the enema practice through the self study. The subjects were 89 sophomore students at Y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In basic nursing lab practice class, cleansing enema self study module was given to the students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sked them to finish doing the pre study and checking the self study evaluation criteria after reading the goal, learning activities and theoretical guideline. After watching the video tape, students practiced the process in the module by themselves. For the competency in cleansing enema. repeated autonomous practices were done during the open lab other than the regular class. Whenever the practice was done, the frequency and time were measure and documented. When the student felt confident through repeated practices, the competency was evaluated by the researcher and two assistants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process was repeated till the student could perform all the items on evaluation criteria completely. The data were collected for 42 days from Oct. 15 to Nov. 26 in 1996.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variance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43.2% of the students were favorable to nursing and 63.6% like lecture, but 71.6% like practice. So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practice than in lecture. 2. 62.3% of the students scored high in written test, 97.8% scored high in practice. So the practice score was better. 3. The frequency of repeated practice to pass the test ranged from 1 to 4 and the average is 2.2. 4. The average time needed in preparation and the performance was nearly the same regardless of the frequency. It took 5 to 38 minutes for those who passed the test after practicing once and the average was 16 minutes. 5 to 60 minutes were taken for those who practiced twice to pass the test and the average was 21 minutes. Those who passed the test after three practices needed 8 to 30 minutes and the average was 15 minutes, which was similar to the time that the students who passed the test for the first trial. Only one student passed the test after 4 practices and it took 10 minutes. 5. 64% of the students agreed that the context and the content of the module were appropriate for the self study and 68.2% were satisfied. And 71.9% said that the module helped them to practice the enema self study 6. Though only 42%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video. 50.6% said that it was helpful for the self study. 7. 52.3%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self study method, and 86.6% obtained self-confidence when performing the enema. 8. The lower the student's practice score was, the more practices were needed for them to pass the test(r=-.213, P<.05). As a result, for performing the enema practice competently, two or more practice opportunities were needed to be given.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less complex nursing skills through the self study, when enough learning resources and assistance such as learning guidance or video tapes are provided. Based on this study. I want to suggest that. 1. There must be college policy that can support the new method instead of the traditional learning method for the students to attain the proficiency in basic nursing skills. 2. The assistant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to promote the self study of basic nursing skills.

  • PDF

Quality of Same-Day Sputum Smears Microscopy and Presumptive Tuberculosis Patients Drop-out at Health Facilities of Addis Ababa, Ethiopia

  • Taddese, Boja Dufera;Misganaw, Abay Sisay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3권1호
    • /
    • pp.89-95
    • /
    • 2020
  • Background: Same-day sputum microcopy is recommended in areas where sputum smear microscopy external quality assessment (EQA) is effectively implemented and sturdy. In Addis Ababa, the status of EQA and drop-out of same-day sputum smear microcopy has not yet been asses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quality of same-day sputum smear microscopy and diagnostic drop-out of presumptive tuberculosis (TB) patients in health facilities (HFs) across Addis Ababa, Ethiopia. Methods: Amulti-analysis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6 to July 2017 to determine the status of external quality assessment and diagnostic drop-out of presumptive TB patients registered for same-day sputum smear microscopy. Data was coded and entered in Microsoft Excel, and subsequently transferred and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0.0. Results: The drop-out of same-day sputum smear microscopy was 209 (6.2%). More than 33% of the specimens collected for purposes of same-day sputum smears were of poor quality. Among the selected HFs for the study: 13 (46.4%) used filter reagents prior to sputum smear staining while 75% of the selected HFs for the study used smear microscopy services interruption in a year.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HFs participating in regional quality assessment scheme for the diagnosis of TB was 97.4% and 99.6%, respectively. Conclusion: The diagnostic drop-out of same-day sputum smear microscopy was high in Addis Ababa. Strengthening EQA, competency-based laboratory professionals training on sputum smear microscopy might reduce the reading errors in sputum smear. Awareness creation of the community on the benefits gained from completion of specimen provision for the same-day approach decreases diagnostic drop-out and enhances TB control program.

직무분석을 통한 국립중앙도서관사서의 핵심업무 및 전문사서 유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out the Key Tasks and Developing the Professional Type of National Librarians through Job Analysis)

  • 안인자;황금숙;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9-148
    • /
    • 2008
  • 능력중심의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사서직이 고숙련의 전문직으로 전문성강화를 하기 위하여 직무분석을 통하여 국립중앙도서관사서의 핵심직무를 도출하고, 전문사서의 유형을 개발하였다. 직무분석 결과 국립중앙도서관사서의 업무는 22개의 책무와 216개의 작업이며, 96개의 핵심업무로 구성되었다. 이를 체계적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우선순위 결정도구에 의하여 분석하고,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결과 기능별 10종, 이용대상별 2종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유형은 다음과 같다:장서개발전문사서, 분류 목록전문사서, 정보조사제공전문사서, 독서전문사서, 국제표준(ISO/TC, ISBN, ISSN, CIP)연구전문사서, DB전문가 및 시스템전문사서, 국내협력지원전문사서, 국제교류전문사서, 도서관마케팅전문사서, 교육설계전문사서, 어린이 전문사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념과 교육내용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Concept and Educational Contents)

  • 박주현;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23-2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념을 규정하고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분석과 현장 전문가 대상 인터뷰, 사서교사 대상 설문조사가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현장 전문가들은 미디어를 정보를 활용하는 도구로 인식하였으며 정보문제해결능력과 독해능력, 미디어의 기능, 사례 활동, 정의적 영역을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교육의 영역으로 인식하였다. 사서교사들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에 있어서 정보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을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에 비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개념을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가 중복된 영역으로 지식, 기능, 태도가 포함된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민주사회에 참여, 미디어 도구와 콘텐츠의 종류, 인간의 기본권, 기능, 디지털 도구 조작, 정보 문제 해결 과정이 맥락에 따라 결합되어 응용될 수 있도록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