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Classroom Program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8초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운영 방안 -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cheme for Operation of Reading Classroom Program in Public Libraries : A Case Study of Public Libraries in Pusan)

  • 김수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1-93
    • /
    • 2007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독서교실의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독서교실 운영 현황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은 부산지역 22개 공공도서관에서 실시하였던 2007년 겨울 독서교실 운영계획서와 결과보고서를 활용하였다. 또한 부산지역 22개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담당사서에게 질문지를 배포하여 답변을 듣고 독서교실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점으로는 정체성과 참여도, 교육내용, 인력, 사서재교육, 예산 시설 업무조직임을 밝혔다. 공공도서관의 고유성과 전통성을 유지하기 위한 독서교실 운영방안으로는 운영과정 전반에 관해 안내하는 독서교실 운영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운영 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Model for Reading Education Program in Public Library)

  • 황금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5-92
    • /
    • 2001
  • 공공도서관에서 수행되어온 독서교실은 어려서부터 독서의 즐거움과 필요성을 깨닫게 하고, 올바른 독서태도를 길러 스스로 즐겨 독서하는 습관을 갖게 하며, 도서관에서의 폭넓은 학습경험으로 도서관 이용을 생활화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평생교육 차원에서 독서교실을 통한 독서교육은 어린이나 학생에게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수행되고 있는 독서교실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독서교실 운영 프로그램 모형을 제시하여 독서교육이 좀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PDF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매뉴얼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nual for 'Reading Classroom' Program in Public Libraries)

  • 황금숙;김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33-251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수행되고 있는 독서교실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을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매뉴얼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개발의 기본 방향은 현행 학교 및 사교육시장에서 수행되어져 오는 독서교육과는 차별화된 독서의 본질에 충실한 독서활동을 통한 바람직한 독서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데 지향점을 두었다. 또한 독서교실 프로그램을 이용자의 요구와 인적 물적 등 도서관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운영 모형 (집중형, 단기형, 중기형, 장기형, 선택형)을 제시하였으며. 운영에 필요한 단계별 세부 업무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Effects of Smart Reading in the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 Jeong, Myeonggi;Jeon, Heecheol;Kim, Jeongry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2호
    • /
    • pp.59-6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mart reading program, Smartree, in an elementary English class. Recently in Korea, the use of smart technologies in education has become an issue with the introduction of a new educational platform and increased soci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 Smart learning paradigm is converging with technology and social learning. This study examines an English reading method using smart technology and how it affects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reading ability, we also suggest effective reading methods related to Smart learning suitable for this new educational tre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a tablet PC based Smartree reading program had meaningful effects on both improvements of cognitive reading ability and changes in affective attitude.

웹 기반 그림동화 활용 포괄적 언어교수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Comprehensive Language Teaching Program Using Web-Based Picture Books)

  • 박수진;주은희
    • 아동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1-102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n young children's vocabulary and reading ability of the comprehensive language-teaching program using web-based picture books. The comprehensive language program was put into operation for 9 weeks with a classroom teacher who had in-service training for this program. The language course for the 23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nly of ordinary language activities using teacher-made picture cards. Test results analyzed by t-test showed that the 25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gain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on reading attitude including the concept of reading, accuracy, verbal expression, participation, contents and originality. Also, the ability to read a fairy tale aloud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 PDF

저학년 외국인 가정 다문화 학생을 위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에 관한 실행연구 - A초등학교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Action Research on Reading Picture Books for Lower-Grade Multicultural Students from Foreign Backgrounds: A Case of Collaborative Lessons with A Elementary School Library)

  • 위현미;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9-87
    • /
    • 2023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외국인 가정 다문화 학생의 언어능력 향상과 정서적 안정감을 촉진시키기 위한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의 운영 사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을 계획하고 실제 수업을 진행하며 얻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과정에서는 다문화교육 및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그림책 활용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업의 주요 요소들을 도출하여 수업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계하였다. 실제로 경기도의 A초등학교에서 1학년과 2학년 다문화 학생 5개 반 43명을 대상으로 20주 동안 반별로 각각 3회의 시범수업과 17회의 본 수업, 총 100회의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이 다문화 학생들의 한국어 이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한국어 표현력과 발표 태도가 개선되었으며, 도서관 이용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은 학급생활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교도서관 활용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의 절차는 실제 학교교육 현장의 수업 운영과정에서 구상되고 발전된 것으로, 다문화 학생들의 증가에 따른 수업 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반영한 실행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을 위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이 어떻게 수업 환경을 개선하고 학습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웹과 스마트폰 기반의 증강현실 동화책 구현 및 적용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Fairy-Tale Book of an Augmented Reality Based on Smartphone and Web browser)

  • 이재인;유승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01-209
    • /
    • 2012
  •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인해 창의 재량 시간이 대폭 늘어났다. 이에 많은 학교들은 독서, 논술로 재량활동 시간을 대체하고 있지만 기존 수업과 차별화가 되지 못해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독서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스마트폰 활용 증강현실 동화책을 디자인하고 개발하였다. Junaio로 제작한 웹브라우저 기반 증강현실 동화책과 QCAR 툴로 제작한 스마트폰 기반 증강현실 동화책은 초등학교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쉽게 활용하였다. 개발한 증강현실 동화책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독서 수업에 대한 흥미도 및 이해도가 매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earners' Different Views on Korean and Native Teachers of English

  • Kim, Ree-Na;Kim, Haedong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157-17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learners' view on Korean and native teachers of English with regard to competence of teaching skills. A total of 166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the same high school in Korea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The students were asked a series of questions about their five Korean teachers of English and three native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e learners believed Korean English teachers would be better in teaching vocabulary, grammar and reading than native English teachers. The learners answered native English teachers would be better in teaching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In the areas of the accuracy of classroom language, the level of teacher-centeredness, and the amount of cultural information given in a classroo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arners' responses between Korea and native teacher of English. By recognizing the differences of the learners' views on two different types of ELT teachers, we suggest that it would be beneficial for learners if we would utilize their views in designing and administrating a team-teaching program.

  • PDF

학교도서관의 독서지도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Facilitating School Library Reading Programs)

  • 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7-4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독서지도 프로그램 활성화에 필요한 기본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에서의 독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독서지도와 관련된 연구 및 사례 문헌조사를 하였으며 학교도서관의 독서지도 운영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을 대상으로 독서지도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 독서지도 활성화를 위해서는 독서지도 혹은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정의의 확립이 필요하며 학교도서관 담당인력의 대부분이 일반교사로 업무과중, 경험부족, 전문성 부족 등으로 인해 효과적인 독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이 어려운 실정임이 나타났다. 또한 독서지도에 대한 연수 경험이나 방법의 다양성 또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독서지도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도서관 전담 인력 확보와 전담인력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수와 지침, 독서지도를 지원할 수 있는 장서개발, 교과 연계프로그램 개발 및 공공도서관과의 상호협력체계 확립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외국어교육 환경에서 영어습득을 위한 읽기유창성과 정확성에 관한 연구 (Reading Fluency and Accuracy for English Language Acquisition in EFL Context.)

  • 신규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49-256
    • /
    • 2018
  •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 읽기의 유창성과 정확성의 언어습득적 의의를 고찰하고, 효율적인 영어 학습 패러다임을 연구하는데 있다. 언어습득 측면에서, 제 2언어학습의 정확성과 유창성사이에서 무엇을 우선 가르치느냐의 문제는 중요한 이슈가 되어왔다. 제 1언어와 제 2언어의 교실상황에서, 많은 언어연구가들의 관심 때문에, 유창성은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정확성과 유창성은 둘 다 중요하지만, 외국어의 경우, 유창성 중심의 학습에서 정확성 중심의 학습으로 점진적인 학습 패러다임의 전환이 있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외국어의 유창성 개발을 위한 대안으로 자발적다독법을 제시하고 있다. 빠르고 정확한 단어 인지 기술과 읽기 유창성이 없으면, 좋은 읽기 능력을 가질 수 없다. 그러므로 유창성 개발을 위한 방법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것에 대한 해법으로, 자발적다독법이 외국어 교육상황에서 읽기유창성을 위한 효과적인 연구방법론임을 입증하고 있다.